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Huh, Nanseolheon(허난설헌)

Writer default image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Huh, Nanseolheon
Family Name
Huh
First Name
Nanseolheon
Middle Name
-
Preferred Name
-
Pen Name
난설헌, 경번, 허초희
ISNI
-
Birth
1563
Death
1589
Occupation
Poet
Period
Classical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Works
  • Korean(한국어)
  • English(English)
  • Chinese(简体)

허난설헌(許蘭雪軒)

 

작성 : 최원경(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진재교(성균관대 교수, 윤문)

분류 : 일반주제

 

◆기본 정보

허난설헌(許蘭雪軒, 1563~1589)은 조선 중기의 여성 시인으로 그림과 서예에도 뛰어났다. 중국 일본에까지 여성 시인으로 알려졌는데, 현재 213수의 작품만이 전한다. 유고집으로 『난설헌집(蘭雪軒集)』이 있다.

 

◆작가 생애

본관은 양천(陽川). 본명은 초희(楚姬). 자는 경번(景樊), 호는 난설헌. 1563년 강원도 강릉(江陵)에서 허엽(許曄)의 셋째 딸로 태어났다. 그녀는 보수적이었던 조선 시대에 남자 형제들과 함께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문학적인 교류를 하며 성장하였다. 아버지에게 글을 배웠으며 동생 허균(許筠)과 함께 손곡(蓀谷) 이달(李達)에게 시를 배웠다. 8세에 「광한전 백옥루상량문(廣寒殿白玉樓上梁文)」을 지어 신동 소리를 들었고, 오빠 허봉(許篈)은 그녀를 글방의 벗이라고 칭찬하였다. 15세 무렵 김성립(金誠立)과 혼인한 후, 어린 자식들을 모두 죽음으로 잃고 유산까지 겹치며 불행한 결혼생활을 하였다. 1585년 23세에 자신의 죽음을 예언하는 시 「몽유광산산」을 지었다. 1589년 27세의 나이에 요절하였다.

 

◆작품 세계

허난설헌의 작품은 매우 많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녀의 유언에 따라 거의 소각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누나의 재능을 안타깝게 여긴 허균(許筠)이 남은 유작과 본인의 기억을 토대로 작품 210여 편을 모아, 『난설헌집』 초고를 만들고, 유성룡(柳成龍)에게 서문을 받았다. 1597년 정유재란 때 명나라에서 온 문인 오명제(吳明濟)에게 허균이 난설헌의 시 200여 편을 소개하였다. 그것이 중국의 『조선시선(朝鮮詩選』, 『열조시집(列朝詩集)』 등에 수록되었다. 1606년에 중국의 사신 주지번(朱之蕃)은 허균으로부터 난설헌시를 구해, 귀국 후에 중국에서 『난설헌집』을 간행하였다. 이후 조선에서도 간행되었다. 일본에서는 1711년에 교토의 분다이야지로베(文臺屋次郞)에 의해 화각본(和刻本)인 『난설헌집』이 간행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그녀의 작품은 조선사회의 모순과 불행한 개인사를 반영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현실 생활에서 해소되지 않는 여인의 외로움과 어머니로써 어린 자녀들을 잃은 아픔으로 인하여 시의 정서는 한(恨)으로 점철된다. 특히 남편에 대한 애정과 욕망, 어린 나이에 죽은 아이들에 대한 애절한 마음을 시로 표현했다. 둘째, 지배계층의 무능, 지배층에 희생되는 백성들, 신분 차별의 부당함 등을 지적하였다. 셋째, 현실 세계에서 일탈을 꿈꾸며 자신을 선인(仙人)으로 인식했다. 무엇보다 허난설헌의 시 213수 중, 세상을 떠나 신선 세계로 들어가고 싶은 내용을 담은 시가 128수나 된다. 이를 통해 그는 신선 사상에 심취했으며 차별받고 외로운 자신의 현실적 삶에 대해 회의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 문학사적 평가

허난설헌의 시는 중국에서 간행되면서 널리 읽혔으며, 일본에서도 애송되며 당대의 대표적인 여성 시인으로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심수경(沈守慶)은 『견한잡록(遣閑雜錄)』에서 허난설헌의 시에 감복하였고 유성룡(柳成龍)은 『난설헌집』 발문(跋文)에서 ‘사물을 보고 정감을 불러일으키며 시절을 염려하고 풍속을 걱정하는 열사의 기풍이 있다’고 평가하였다. 황현(黃玹)은 『매천집(梅泉集)』에서 허난설헌의 시를 신선의 재주에 비유하였다. 야담집(野談集)에서도 허난설헌의 시를 높이 평가한 내용이 적지 않게 있다. 김택영(金澤榮)도 난설헌의 작품은 웅장하고 드높은 격조를 지녔음을 인정하였다. 그녀의 오빠 허봉은 ‘배워서 얻을 바가 아니며 대체로 이태백이 남겨둔 글과도 통한다.’는 칭찬까지 한 바 있다. 허난설헌은 단순히 여성 작가가 아닌, 그 존재 자체로 평가를 받았다. 이는 그녀 스스로 자신의 자존감을 시적으로 잘 형상화해내었고, 여러 삶의 국면과 모습을 잘 표현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허난설헌의 작품을 두고 논란이 끊임없이 있었다. 그녀의 뛰어난 능력에 대해서는 인정하면서도, 동생 허균이 중국 시를 표절하거나 위작한 것이라는 비난과 논란이 계속되었다. 이수광(李睟光), 김만중(金萬重), 신흠(申欽) 등은 허난설헌의 시는 뛰어나지만, 주요 몇몇 작품들은 위작이라고 깎아내렸다. 일부 남성 문인들은 허난설헌의 시를 평가하는 데 이중적인 잣대를 엄격하게 들이대기도 하였는데, 이덕무(李德懋)는 난설헌이 옛사람의 말을 함부로 빌려 사용한 것을 문제 삼기도 하였다. 이러한 평가들은 당대의 남성 위주의 사회와 가부장제의 유교 이념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참고 문헌 및 사이트

박혜숙, 『허난설헌』,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4.

허미자, 『허난설헌』,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7,

장정룡, 『허난설헌 평전』, 새문사, 2007.

 

http://db.itkc.or.kr/dir/item?grpId=hj#dir/node?grpId=hj&itemId=MI&gubun=book&depth=3&cate1=Z&cate2=&dataGubun=서지&dataId=ITKC_MI_0276A [한국고전종합DB] 『난설헌시집(蘭雪軒詩集)』 해제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0572 [두산대백과] [허난설헌(許蘭雪軒)]

 

 

Introduction

Mid-Joseon poet Heo Nanseolheon (1563–1589) was also an outstanding painter and calligrapher. Though she was renowned for her poetry even in China and Japan, only 213 of her works survive today. A posthumous collection of her works is titled Nanseolheon jip (蘭雪軒集 Nanseolheon Anthology).

 

Life

Heo Nanseolheon was born into the Yangcheon Heo clan under the first name Cho-hui (楚姬). Her childhood name (ja 字) was Gyeongbyeon (景樊) and her pen name (ho 號) was Nanseolheon. She was born in 1563 Gangneung (江陵), Gangwon-do Province, as the third daughter of Heo Yeop. Amid the conservative climate of the Joseon period, Heo grew up in a liberal household, engaged in literary pursuits alongside her brothers. Her father taught her to write, and she learned poetry, together with her younger brother Heo Gyun, from Songok Yi Dal (蓀谷 李達). At the age of eight, she won acclaim as a prodigy after writing Gwanghanjeon baegongnu sangnyangmun (廣寒殿白玉樓上梁文 Inscriptions on the Ridge Beam of the White Jade Pavilion in the Gwanghan Palace). Her elder brother, Heo Bong, fondly described her as “my friend at school.” After marrying Kim Seong-rip (金誠立) at the age of approximately 15, Heo lost both of her young children, misfortune that was subsequently compounded by a miscarriage. In 1585, at the age of 23, she wrote Mongyu gwangsang san (夢遊廣桑山 Dream of a Mulberry Grove on a Broad Mountainside), a work foretelling her own death. She died in 1589, at the age of 27.

 

Works

Heo is known to have written many works, but most of these were burned after her death in accordance with her dying wishes. Her younger brother Heo Gyun, however, not wanting to see his sister’s talent go to waste, gathered some 210 works based on her surviving texts and his own recollections, created a first draft under the title Nanseolheon jip, and obtained a foreword for the anthology from Yu Seong-ryong (柳成龍). In 1597, Heo Gyun introduced some 200 of Nanseolheon’s poems to Wu Ming-ji (吳明濟), a Ming scholar in Korea during Japan’s second invasion of the country. These works were subsequently featured in Chinese texts including Chaoxian shixuan (朝鮮詩選 A Selection of Korean Poetry) and Liechao shiji (列朝詩集 Collected Poems of the Dynasties). In 1606, Chinese envoy Zhu Zhi-fan (朱之蕃) obtained some of Nanseolheon’s poems from Heo Gyun, later publishing Nanseolheon jip upon his return to China. The anthology was later published in Korea, too. In Japan, the publication of a carved and block-printed version of Nanseolheon jip by Bundaiya Jirobē (文臺屋次郞) in Kyoto in 1711 proved highly popular.

Heo’s works reflect the contradictions of Korean society and her own personal misfortunes. Their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ly, her poetry is interspersed with the unresolved loneliness of a woman, and with the pain of having lost two young children. In particular, her poems express love and desire for her husband and feelings of mourning for children. Secondly, her works highlight the incompetence of the ruling classes and the way they victimize commoners, and the injustice of status-based discrimination. Thirdly, Heo dreamed of breaking away from reality, perceiving herself as a type of Taoist immortal (seonin 仙人). No fewer than 128 of her 213 works express a desire to depart the mortal world and enter the world of immortals. It thus appears that she was infatuated by Taoist immortal thought and skeptical about her own lonely, discriminated existence.

 

Critical Reception

Heo Nanseolheon’s works were published and widely read in China and highly popular in Japan, gaining her a reputation as the leading female poet of her era.

In Gyeonhan jamnok (遣閑雜錄 Essays in Idleness), Sim Su-gyeong (沈守慶) mentions his admiration for Heo Nanseolheon’s poetry; in his postscript to Nanseolheon jip, Yu Seong-ryong describes the work as “evoking emotions at the sight of objects, and conveying the spirit of a patriot concerned about her times and customs.” In Maecheon jip (梅泉集 Maecheon’s Anthology), Hwang Yeon likens Heo Nanseolheon’s poetic talents to those of a Taoist immortal. In Yadam jip (野談集 Anthology of Unofficial Tales), too, Heo’s poetry is highly praised in many places. Kim Taek-yeong (金澤榮) also acknowledges the majesty and high style of her works. Her elder brother, Heo Bong, once went as far as to comment, “her talent is not of the kind that can be learned, and her writing is as good as that of Yi Tae-baek.” Heo was highly rated not just as a female author but for her existence itself. This is thanks to the way her works succeeded in poetically embodying her own sense of being, and in expressing various circumstances in her life.

But Heo’s work also attracts ongoing controversy. While her outstanding talent is acknowledged, some continue to claim that her younger brother, Heo Gyun, plagiarized Chinese poetry or forged other works in her name. Figures such as Yi Su-gwang (李睟光), Kim Man-jung (金萬重) and Sim Heum (申欽), while recognizing the excellence of Heo’s poetry, have slandered some of her key works as forgeries. Some male scholars have been rigorous in their application of double standards when evaluating her poetry, while Yi Deok-mu (李德懋) has taken issue with her arbitrary borrowing of the words of ancient figures. Such criticisms are doubtless related to the male-centered society and patriarchal Confucian ideology of her time.

 

References

Bak Hye-suk, Heo Nanseolheon (Heo Nanseolheon), Konkuk University Press, 2004.

Heo Mi-ja, Heo Nanseolheon (Heo Nanseolhe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2007,

Jang Jeong-ryong, Heo Nanseolheon pyeongjeon (A Critical Biography of Heo Nanseolheon ), Saemoon, 2007.

 

http://db.itkc.or.kr/dir/item?grpId=hj#dir/node?grpId=hj&itemId=MI&gubun=book&depth=3&cate1=Z&cate2=&dataGubun=서지&dataId=ITKC_MI_0276A [Hanguk gojeon jonghap DB (General database of Korean classics)] “Nanseolheon sijip” (Anthology of Poetry by Heo Nanseolheon)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0572 [Dusan baekgwa (Doosan Encyclopedia)] “Heo Nanseolheon” (Heo Nanseolheon)

许兰雪轩(1563-1589),朝鲜时期文人。尽管身处女性社会活动极受限制的时代,但她从小就因出色的文学天赋而被誉为神童。其作品以细腻的笔触和独特的感性描绘了作家因身为女性而无法施展才华的不幸遭遇。在许兰雪轩死后,其弟——《洪吉童传》的作者许筠将其生前创作的诗歌编撰成《兰雪轩集》(《난설헌집》)。


《兰雪轩集》(《난설헌집》,1590)

  • Vision of a Phoenix (2003)

Original Works10 See More

Translated Books13 See More

  • Poems from Korea
    English(English) Book
    Poems from Korea
    King Mu of Paekche et al / 무왕 et al / 1974
  • The moonlit pond
    English(English) Book
    The moonlit pond
    Ch'oe Ch'i-won et al / 최치원 et al / 1998
  • Mirrored Minds
    English(English) Book
    Mirrored Minds
    Ch'oe Ch'i-won et al / 최치원 et al / 2001

E-books & Audiobook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