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Chong Hyon-jong(정현종)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Chong Hyon-jong
Family Name
Chong
First Name
Hyon-jong
Preferred Name
-
Pen Name
Chong Hyon-Jong, CHONG HYON JONG, HYONG-JONG CHONG
ISNI
0000000083942968
Birth
1939
Death
-
Occupation
Poe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German(Deutsch)
  • Korean(한국어)

Chong Hyon-jong (born 1939) is a South Korean poet and professor.


Life 

    Chong Hyon-jong was born on December 17, 1939 in Seoul. He attended Daegwang High School and entered the philosophy department of Yonsei University in 1959. His poems "Hwaeum" (화음 Harmony) and "Jugeomege" (주검에게 To a Corpse) published in the school paper, the Yonsei Chunchu, caught the eye of the poet Park Dujin who was teaching at the university's Korean department, and recommended them for publication in the May 1964 issue of Hyundae Munhak. The following year, shortly after graduation, Chong published two more poems, "Dongmu" (독무 Solo) and "Yeoreumgwa gyeourui norae" (여름과 겨울의 노래 Song of Summer and Winter) in the March and August issues of Hyundae Munhak, completing his literary debut. 

    In 1966 he formed the literary magazine Sagye with Hwang Tong-gyu, Park Ido, Kim Hwa-yeong, Kim Ju-yeon, and Kim Hyun. Chong published his first poetry collection, Samurui kkum (사물의 꿈  Dreams of Things), in 1972. He continued to work steadily as a poet while holding other jobs.

    From 1970 to 1973, Chong worked as a reporter for the Seoul Shinmun, and for the JoongAng Ilbo from 1975 to 1977. After leaving journalism, Chong was appointed professor of creative writing at Seoul Institute of Arts, where he taught poetry writing. In 1982 he went to teach on the Korean literature faculty of Yonsei University, where he remained until his retirement in 2005.


Writing

    Chong's poetry revises and reviews traditional lyric poetry. His early poems in Samurui kkum discarded the trend of nihilistic, traditional lyric poetry from the postwar perio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ranscending the pain of reality within the tense relationship between the dreams of self and of the external world. Even as his poetry addressed the conflict and strife of conflicting ideas or elements like pain and celebration, water and fire, heaviness and lightness, and sadness and happiness, it explored the dynamic tension of a mentality that sought to transform pain into happiness, and reality into a dream.

    He continued this poetic exploration in his second and third books of poems, Naneun byeolajeossi (나는 별아저씨 I'm Mr. Star) and Tteoreojyeodo twineun gongcheoreom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Like a Bouncing Ball). Like the flame of life burning freely, this state of‬ ‪rapture can only be attained when one has relinquished all attachment to the self or material‬ ‪things, and embraced freedom of heart and mind. Only when greed for them is discarded can‬ ‪one have genuine rapport with things; only when the attitude of hypocrisy and artificiality is‬ ‪cast off, can life throb buoyantly. Such a view evolves into an attitude of reverence for life and‬ ‪heightened environmental awareness. [1] ‬‬‬‬‬

    Chong's fourth collection, Saranghal sigani manchi anta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 So Little Time to Love), was a turning point in the poet's career, in its examination of the rapture and acceptance of life, and the wonders of nature. These works also evinced a new penchant for the world of reconciliation rather than conflict. This change in poetic interest became more evident in his fifth book of poems, Han kkotsongi (한 꽃송이 A Blossom), and the following collections Sesangui namudeul  (세상의 나무들 Trees of the World), and Galjeungimyeo saemmurin (갈증이며 샘물인 Thirst‬ ‪and Spring Water), in which he remains guarded toward all that is artificial or man-made, while‬ ‪embracing love and reverence for life, limpid and shimmering like the “green bliss” discovered‬ ‪in an “old and diseased world.”‬ [1]‬‬‬


References 

[1] Yi, Nam-Ho, et al. Twentieth Century Korean Literature. Eastbridge Books, An Imprint Of Camphor Press, 2005. p.67


Chong Hyon-jong wurde 1939 geboren. Wie die meisten seiner Generation wurde sein Leben sehr stark durch die Nachkriegszeit und die Ereignisse der Demokratiebewegung geprägt. Ab der Mittel- und Oberschule beschäftigte er sich mit der Literatur, der Musik, dem Ballett, der Philosophie und studierte anschließend Philosophie an der Yonsei Universität. 1965 erschienen seine Erstlingswerke Solo Tanz und Lied des Sommers und des Winters. Ein Treffen mit dem Literaturkritiker Kim Hyun gab seinen Werken, die bis dahin auf den schmerzvollen Tod nach dem Leben fokussiert waren, eine entscheidende Wende. Er zählt zu den repräsentativsten Dichtern der ersten Koreanisch sprechenden Generation nach Befreiung von der japanischen Besatzungsmacht. Seine Gedichte überwanden die gängigen Sprachstile und übernommenen Emotionen der koreanischen Gedichte aus der japanischen Kolonialzeit und haben die lyrische Welt Koreas reformiert. 

 

정현종(1939~ )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생애

정현종은 1939년 서울 용산에서 태어났다. 3세에 아버지의 근무지를 따라 경기도 고양으로 이사하고 그곳에서 청년기를 보냈다.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다양한 분야의 예술, 철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특히 사르트르와 카뮈의 작품을 탐독했다. 중학교 시절부터 고해성사가 고통스러워 성당에 나가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1959년에 연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했다. 재학 중 대학신문인 《연세춘추》에 시를 발표하고, 이 시가 당시 시인이자 연세대 교수였던 박두진의 눈에 들어 시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 1965년 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해 《현대문학》에 시 〈독무〉와 〈여름과 겨울의 노래〉를 발표하며 본격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66년 황동규, 김현, 김주연 등과 함께 동인지 《사계》를 결성하여 활동하였다. 1970년부터 《서울신문》 문화부 기자로 일하였고, 1972년 첫 시집 《사물의 꿈》을 출간했다. 이후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하며 1975년에는 《중앙일보》 월간부에서 일하였다. 1977년 신문사를 퇴직한 뒤 서울예술전문대학 문예창작과 교수가 되었다. 1982년부터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2005년에 정년퇴임하였다.


작품세계

정현종은 시적 언어와 기법의 실험을 지속하며 절제된 정서, 난해한 기법 등으로 시의 특성을 구현한 시인으로 평가된다. 그의 시적 언어는 일상의 논리를 건너뛰고 관습적인 사고(思考)의 체계를 거부한다. 때로는 대상을 왜곡하고, 그 대상으로 인해 시적 자아의 형상까지 왜곡시킨다. 그의 초기 시들은 이처럼 관념적인 특성을 갖고 사물의 존재 의의에 대한 탐구를 이어나갔으나, 1980년대 이후로는 생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공감을 표현하는 시를 발표했다. 

정현종의 첫 시집 《사물의 꿈》(1972)은 시인의 꿈과 사물의 꿈이 하나라는 물아일체의 경지를 형상화한 작품들을 묶어서 수록했다. 꿈과 현실, 기쁨과 고통, 가벼움과 무거움과 같은 대립되는 가치들의 갈등을 노래하며 그 양자를 일치시키려는 시 의식을 드러내는 한편, 이전 세대의 시와는 구별되는 시인만의 개성이 감각적인 언어로 표현되어 있다.  

1989년에 발표된 시집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는 현실과 꿈의 갈등을 노래하던 이전 시들과 달리 자유와 생명에 대한 시인의 관심이 드러난다. 시집의 화자는 소소한 사건이나 사물을 관찰하면서 사물에 내재한 생명을 발견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자유로운 상상력을 통해 만물과 교류하는 정신을 전개하고 있다. 2008년에 출간된 《광휘의 속삭임》은 주제 의식과 기법의 다양한 양상을 보여준다. 특히 자연과 사물을 수용하며 생명 세계와의 조화로운 공존을 제시한다. 사물과 자연, 그리고 인간의 상호 보완적인 관계가 이 시의 중요한 특징이다.  


주요 작품

1) 전집

《정현종 시전집》, 문학과지성사, 1999.


2) 시집

《사물의 꿈》, 민음사, 1972.

《나는 별아저씨》, 문학과지성사, 1978.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문학과지성사, 1984.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 세계사, 1989.

《한 꽃송이》, 문학과지성사, 1992.

《세상의 나무들》, 문학과지성사, 1995.

《갈증이며 샘물인》, 문학과지성사, 1999.

《견딜 수 없네》, 시와시학사, 2003.

《광휘의 속삭임》, 문학과지성사, 2008.

《그림자에 불타다》, 문학과지성사, 2015.


3) 산문집

《날자 우울한 영혼이여》, 민음사, 1975.

《숨과 꿈》, 문학과지성사, 1982.

《관심과 시각》, 중원사, 1983.

《생명의 황홀》, 세계사, 1989.

《날아라 버스야》, 백년글사랑, 2003.


수상 내역

1978년 한국문학작가상

1990년 제3회 연암문학상

1992년 제4회 이산문학상

1995년 제40회 현대문학상

1996년 제4회 대산문학상

2001년 제1회 미당문학상

2004년 제12회 공초문학상

2004년 파블로 네루다 탄생 100주년 기념 메달

2005년 근정포장

2006년 제2회 경암학술상(예술 부문)

2015년 은관문화훈장

2015년 제19회 만해문예대상



Original Works21 See More

Translated Books25 See More

E-books & Audiobooks2

E-news5 See More

Events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