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이(黃眞伊)
1. 기본정보
황진이(黃眞伊, ?-?)는 16세기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기생(妓生, female entertainer)으로, 시조 작가이다. 시와 음률에 뛰어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서경덕을 비롯한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하였다. 기발한 표현 기법으로 사대부 시조와는 달리 독자적인 영역을 개척하였으며, 한시와 6수의 시조를 남겼다.
2. 생애
황진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료가 남아 있지 않아 현재로서 황진이의 삶에 대해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 다만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어우야담(於于野談)》, 《송도기이(松都記異)》 등에 수록된 일화를 통해 황진이의 생애를 재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황진이는 16세기에 송도(松都, 오늘날의 개성)에서 진사의 서녀(庶女, an illegimate daughter)로 태어났으며 기명(妓名)은 명월(明月, 밝은 달)이다. 시와 노래에 이름이 높았던 그는 15세 때 기생이 되어 당시 이름이 높았던 문인들과 교유하였으며, 탁월한 재능과 용모로 그들을 매혹시켰다.
황진이에 대한 일화 중 특히 유명한 것은 지족선사(知足禪師, ?-?), 이종숙(李終叔, 1508-?), 서경덕(徐敬德, 1489-1546) 등에 대한 것이다. 당대에 10년 동안의 수도(修道)로 이름이 높았던 고승 지족선사를 파계하게끔 하였으며, 역시 군자로 널리 알려졌던 왕족 이종숙 역시 시조 한 수를 읊어 유혹하였다. 도학자 서경덕만이 황진이의 유혹을 물리쳤으나 서경덕의 높은 학식과 덕망에 감동한 황진이는 서경덕의 제자가 되기를 자청하였다. 이후 박연폭포(朴淵瀑布), 서경덕과 더불어 송도삼절(松都三絶, 송도의 세 가지 빼어난 존재)로 불렸다.
3. 작품세계
황진이는 한시와 시조 모두 창작하였으나 그 작품성을 더 인정받는 것은 시조 작품들이다. 현재 전하는 황진이의 시조는 총 6수로, 모두 절제된 감정을 뛰어난 표현 기법으로 읊어내고 있는 것들이다. 남아 있는 작품의 수가 많지는 않으나 기발한 이미지와 알맞은 형식, 세련된 언어구사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황진이의 작품은 높이 평가받는다.
아래의 시조는 황진이의 시조 중 대표적인 작품이다. 겨울이라는 계절적 배경에서 비롯된 고독을 따뜻한 봄, 임과의 만남에서 오는 기쁨으로 승화시키는 시상의 전개가 뛰어나다. 또한 밤이라는 추상적인 대상을 구체화하여 베어 내고 이불 속에 넣고, 꺼내어 붙이고 늘이는 수법 역시 훌륭하다고 할 수 있다.
(현대역)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베어내어
봄바람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사랑하는 님 오신 날 밤이면 굽이굽이 펴리라.
(원문)
冬至ᄯᆞᆯ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春風 니블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아래의 시조는 벽계수(碧溪水)라는 호를 쓰던 왕족 이종숙(李終叔)을 유혹하는 데 쓰인 것이다. ‘물빛이 맑아 푸르게 보이는 시냇물’을 의미하는 이종숙의 호 ‘벽계수’와 ‘밝은 달’을 이르는 자신의 기명 ‘명월’에서 착안하여 중의적 표현으로 발랄한 재기를 드러내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맑은 시냇물에게 바다에 닿으면 다시 오지 못하니 쉬어가라는 뜻이지만, 그 속뜻은 벽계수라는 사람에게 자신과 더불어 쉬어가라는 것이다. 푸른 산, 벽계수, 밝은 달, 비어있는 산 등의 시어가 어울려 이루는 풍류적 분위기가 두드러지는 작품으로, 황진이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으리라 장담했던 이종숙은 이 노래를 듣고 분위기에 취해 자신도 모르게 나귀에서 떨어졌다고 전한다.
(현대역)
푸른 산 속 맑은 시냇물아 쉽게 가는 것을 자랑 마라
한 번 넓은 바다에 이르면 다시 오기 어려우니
밝은 달이 온 산에 가득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원문)
靑山裏 碧溪水야 수이 감을 ᄌᆞ랑 마라
一到滄海ᄒᆞ면 다시 오기 오려오니
明月이 滿空山하니 쉬여간들 엇더리
4. 특징 및 의의
황진이는 전라도 부안의 기생 매창(梅窓, 1573-1610), 함경도 경성의 기생 홍랑(洪娘, 16세기 후반) 등과 더불어 기녀 시조 작가의 한 사람으로, 사대부 중심으로 창작되던 시조의 작가층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특히 황진이는 다른 기녀 작가들에 비해 걸출한 면모를 보여 대담한 상상력과 발랄한 개성이 두드러지는 시조들을 창작하였으며, 적은 작품 수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예술적 성취를 이루어냈다.
5. 기타사항
5.1. 번역현황
5.1.1. 영어
Peter H. Lee,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Younghill Kang, The Grass Roof, Charles Scribner's Sons, 1931.
Younghill Kang, The Happy Grove, Charles Scribner's Sons, 1933.
변영태 저, 민충환 편, Songs from Korea, The International Cultural Association, 1948.
6. 자료
6.1. 원전자료 및 출처
현재 황진이의 시조는 《청구영언(靑丘永言)》, 《해동가요(海東歌謠)》, 《가곡원류(歌曲源流)》를 비롯한 수종의 가집에 수록되어 있다.
7. 참고문헌 및 외부링크
7.1. 참고문헌
김흥규 외,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이신복, 〈황진이론〉, 《한국문학작가론》, 형설출판사, 1981.
장시광, 〈황진이 관련 자료〉, 《동방학》 3,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1997.
조동일, 《제4판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2005.
7.2. 외부링크
7.2.1. 참조 웹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황진이〉 항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1178&cid=46644&categoryId=46644
7.2.2. 현대 문화콘텐츠
황진이는 지금까지 다양한 문학 작품의 원천이 되어왔다. 특히 소설의 경우, 이태준 작 〈황진이〉(1938), 최인호 작 〈황진이〉(1972), 황석중 작 〈황진이〉(2004), 전경린 작 〈황진이〉(2004), 김탁환 작 〈나, 황진이〉(2006) 등 다수의 작품이 창작되었다.
한편 황진이는 드라마를 비롯한 대중문화의 주인공으로도 빈번하게 등장하였는데, 이들은 대부분 위의 소설 작품들을 영상화한 것들로, 황진이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대체로 이들 대중문화 작품에서 비롯되었다. 영화의 경우 조긍하 감독 작 〈황진이〉(1957), 배창호 감독 작 〈황진이〉(1986), 장윤현 감독 작 〈황진이〉(2007) 등이 각각 이태준, 최인호, 황석중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제작 되었으며, 드라마의 경우 김탁환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김철규 연출의 〈황진이〉(KBS2, 2006)가 방영 되었다.
Hwang Jini (黃眞伊, unknown birth and death date)
1. Introduction
Hwang Jini was a celebrated female entertainer (妓生 gisaeng) and sijo writer who is believed to have been active in the sixteenth century. She excelled in poetry and rhythms; and, based on her talents, she associated freely with prominent figures of the time, including Seo Gyeongdeok (徐敬德, 1489-1546). Unlike the sijo written by the sadaebu (士大夫 the literati), she pioneered her own domain with a novel expression technique, leaving Hansi (漢詩 Chinese character poetry) and six sijo poems.
2. Life
Since there are no historical documents directly related to Hwang Jini, it is not possible to know the exact details of her life. However, if one refers to the anecdotes in documents such as Seongso Bubugo (惺所覆瓿藁 Trivial Scripts by Heo Gyun), Eouyadam (於于野談 Unofficial Stories by Yu Mongin), and Songdogii (松都記異 Record of Weird Stories in Songdo City), one can reconstruct Hwang Jin Yi's life which is as follows.
Hwang Jini was born as an illegitimate daughter (庶女 seonyeo) of Jinsa (進士 highest examination graduates) in Songdo (松都 today's Kaesong) in the sixteenth century. Her name as a female entertainer was Myeongwol (明月 bright moon). Highly acclaimed in poetry and song, she became a female entertainer when she was 15 years old and interacted with distinguished writers at the time, fascinating them with her outstanding talent and appearance.
The most famous anecdotes about Hwang Jini are about Jijok Seonsa (知足禪師, unknown birth and death date), Lee Jongsuk (李終叔, 1508-?), and Seo Gyeongdeok. At that time, she led a Zen Mater Jijok who was known as the ascetic person for ten years to violate the Buddhist commandments. She seduced royal family Lee Jongsuk, who was also widely known as a man of virtue, by reciting a sijo poem. Only the Confucian scholar Seo Kyeongdeok resisted Hwang Jini's temptation; however, Hwang Jini, who was impressed by the profound knowledge and virtue of Seo, volunteered to be his disciple. Since then, she became one of the Songdo Samjeol (松都三絶 three outstanding beings of Songdo City) along with Bagyeon Waterfall and Seo Kyeongdeok.
3. Work
Hwang Jini created both Hansi and sijo; however, her sijo works are more recognized. There are six sijo poems by Hwang Jini, all of which convey restrained emotions with outstanding techniques of expression. Although there is not a lot of work left by Hwang Jini, her works are highly regarded for her original image, appropriate form, and refined language.
The following sijo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of Hwang Jini. Her poetic development is remarkable as it sublimates solitude from winter into joy from warm spring and meeting with a loved one. Moreover, she has an exceptional skill of embodiment as she embodies abstract objects such as night by cutting it, putting it into the blanket, pulling it out, pasting it, and stretching it.
(Translation into English)
I’ll cut a piece from the waist of this interminable evelventh moon night,
And wind it in coils beneath these bed covers, warm and fragrant as the spring breeze,
Coil by coil to unwind it the night my lover returns.
Translated by Kevin O’rourke (2014)
(Translation into Contemporary Korean)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베어내어
봄바람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사랑하는 님 오신 날 밤이면 굽이굽이 펴리라.
(Original Text)
冬至ᄯᆞᆯ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春風 니블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The following sijo was used to seduce the royal family Lee Jongsuk whose pen name is Byeokgyesu (碧溪水). The sijo reveals Hwang Jini’s witty talent as she employs a double meaning inspired by her pen name Myeongwol, which means “bright moon” and Lee Jongsuk’s pen name Byeokgyesu, which means “a stream which looks clear and blue.” On the surface, the sijo tells the clear stream to rest because it will never come back from the sea; however, its inner meaning conveys that ‘Byeokgyesu’ should rest with her. The sijo is distinguished by its poetic characteristics as it employs poetic words such as green mountains, Byeokgyesu, bright moon, and empty mountains. Lee Jongsuk, who promised not to be seduced by Hwang Jini, fell from a donkey since he was too immersed in Hwang Jini’s song.
(Translation into English)
Blue Stream, do not boast of swift passage through green mountains,
For having reached the sea, the return trip assumes real difficulty
Bright Moon fills the empty mountain; why not rest a little here?
Translated by Kevin O’rourke (2014)
(Translation into Contemporary Korean)
푸른 산 속 맑은 시냇물아 쉽게 가는 것을 자랑 마라
한 번 넓은 바다에 이르면 다시 오기 어려우니
밝은 달이 온 산에 가득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Original Text)
靑山裏 碧溪水야 수이 감을 ᄌᆞ랑 마라
一到滄海ᄒᆞ면 다시 오기 오려오니
明月이 滿空山하니 쉬여간들 엇더리
4. Style and Legacy
Hwang Jini was one of the sijo artists, along with the female entertainer Maechang (梅窓, 1573-1610) in Buan (扶安), Jeolla Province, and Hongrang (洪娘, circa sixteenth century) in Gyeongseong (鏡城), Hamgyeong Province. Hwang Jini’s social status has a great significance since it indicates the expansion of the class of sijo artists who were mainly the literati. In particular, Hwang Jini created remarkable poetry with the use of bold imagination and witty personality, showing exception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female writers. She has achieved outstanding artistic achievement despite the small number of works.
5. Others
5.1 Works in Translation
Lee, Peter, H.,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Kang, Younghill, The Grass Roof, Charles Scribner’s Sons, 1931.
Kang, Younghill, The Happy Grove, Charles Scribner’s Sons, 1933.
Written by Yeongtae, Byeon, Published by Chunghwan, Min, Songs from Korea, The International Cultural Association, 1948.
6. Resources
6.1 Sources of Original Text
Currently, Hwang Jini’s sijo is included in Cheongguyeongeon (靑丘永言 Songs of Green Hills), Haedonggayo (海東歌謠 Songs of Ancient Korea), and Gagogwollyu (歌曲源流 An Anthology of Poetry).
7. References and External Links
7.1 References
Kim, Heunggyu and others, Gosijo Daejeon (Compilation of Classical Sijo), Kore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2012.
Lee, Sinbok, Hwangjiniron (Theory of Hwang Jini), Hanguk Munhak Jakga ron (Theory of Korean Literary Writers), Hyungseul Publications, 1981.
Jang, Sigwan, Hwangjini Gwallyeon Jaryo (Resources Related to Hwang Jini), Dongbanghak 3 (Oriental Studies), Hanseo University Institute for Eastern Classic Studies, 1997.
Jo, Dongil, Je 4pan Hanguk Munhak Tongsa 2 (The Fourth Editio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Jisik Sanup Publications, 2005.
7.2 External Links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wang Jini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1178&cid=46644&categoryId=46644
7.2.2. Contemporary Cultural Contents
Hwang Jini has been the source of various literary works. Especially, in the case of novels, there are many works such as Lee Taejun's “Hwang Jini”(1938), Choi Inho's “Hwang Jini”(1972), Hwang Seokjung's “Hwang Jini”(2004), Jeon Gyeongnin's “Hwang Jini”(2004), Kim Takhwan's “I, Hwang Jini” (2006).
On the other hand, Hwang Jini frequently appeared as a protagonist of TV dramas and other popular cultures. Most of them are visual adaptations of novels, and Hwang Jini's general perceptions originated from these works of popular culture. In the case of films, the works by “Hwang Jini”(1957) by director Jo Geungha, “Hwang Jini” (1986) from director Bae Changho, and “Hwang Jini”(2007) by Jang Yunhyun were produced based on novels by Lee Taejun, Choi Inho, and Hwang Seokjung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TV drama, Kim Cheolgyu's “Hwang Jini” (KBS2, 2006), based on Kim Takhwan's novel, was a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