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짓말이다
Geojinmarida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Kim Takhwan / 김탁환 / 2016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Fiction > 21st century > Detective > Adventure
This novel is written in the form of a reportage about the allegations of manslaughter and accusations faced by divers who jumped into the sea to collect the bodies of students in the Sewol ferry disaster in 2014. The restrained expressions and thorough investigation in the book perfectly conveys the pain of the Sewol ferry tragedy.
-
나, 황진이 (1)
Na, hwangjini (1)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Kim Takhwan / 김탁환 / -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Fiction > 21st century > Historical > Biographical > Political > Social
This is a novel by Kim Takhwan, published in 2002. In the book, Hwang Jin-i looks back on her life on her deathbed. It reveals the delicate details of the frustrations and despair she felt as a woman living in a society ruled by a rigid, yangban-centered social hierarchy.
-
나, 황진이 (2)
Na, hwangjini (2)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Kim Takhwan / 김탁환 / -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Fiction > 21st century > Historical > Biographical > Political > Social
This is a novel by Kim Takhwan, published in 2002. In the book, Hwang Jin-i looks back on her life on her deathbed. It reveals the delicate details of the frustrations and despair she felt as a woman living in a society ruled by a rigid, yangban-centered social hierarchy.
-
노서아 가비
Noseoa Gabi]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Kim Takhwan / 김탁환 / 2009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Fiction > 21st century
This is a novel by Kim Takhwan, published in 2009. With the first Korean barista as the protagonist, the plot revolves around the conspiracies and schemes of politicians, including the conspiracy to poison King Gojong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
방각본 살인 사건. 상-하
Banggakbon sarin sageon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Kim Takhwan / 김탁환 / 2003 / -
This is a historical novel by Kim Takhwan, published in 2003. The author raises the interest of historical fiction through extensive research and detailed historical evidence. A serial murder case involving a number of silhak scholars of the Bukhak school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the Joseon dynasty is presented in the form of a mystery novel.
-
살아야겠다
Sarayagetda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Kim Takhwan / 김탁환 / 2018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Fiction > 21st century
-
아름다운 그이는 사람이어라
Areumdaun geuineun saramieora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Kim Takhwan / 김탁환 / 2017 / -
끔찍한 불행 앞에서도 침몰하지 않는 아름다운 사람들의 이야기 “끔찍한 불행 앞에서도 인간다움을 잃지 않고 참사의 진상이 무엇인지를 찾는 아름다운 사람들이 보였다. 그들의 목소리와 작은 희망들을 문장으로 옮기고 싶었다.” 이 말은 제33회 ‘요산김정한문학상’을 수상한 김탁환 작가의 수상 소감이다. 2014년 4월 16일의 세월호 참사는 역사소설가 김탁환에게 커다란 전환점이었다. 작가는 이 과정을 “심장을 바꿔 끼운다”라고 표현했다. 이 말은 타인의 호흡과 삶의 습관들을 내 몸에 익히고, 그것을 내 손을 통해 문장으로 내보낸다는 것이다. 세월호의 진실을 자신의 삶 속에서 녹여내고 문장으로 표현한다는 말이다. 고통스러운 창작일 수밖에 없다. 김탁환 작가가 세월호를 상기하는 태도는 ‘헌신’이다. 작품을 해설한 문학평론가 김명인은 작가의 헌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세월호 이후의 그의 모습에 ‘자기 헌신으로의 비약적 전환’이라는 말을 붙이는 것을 재고할 생각이 없다. ……그날 이후 많은 작가들이 고뇌하고 비통해했겠지만 그들 중 누구도 그만큼 행동하고 그만큼 쓰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아무튼 참사 이후 비로소 가까이 알게 된 김탁환은 한마디로 ‘세월호의 사람’이었다. _‘해설’ 중에서 3년 만에 떠오른 세월호의 처참한 모습을 보며 많은 사람들이 다시 그날의 아픔을 떠올렸다. 세월호의 상처만큼이나 많은 상처들을 우리도 내상(內傷)으로 갖고 있었던 것이다. 3년의 기간 동안 정확한 침몰 원인도, 미수습자 수습도, 책임자에 대한 처벌도 그 어느 것 하나 해결된 것이 없었다. 이러한 사실은 많은 이들을 자괴감에 빠지게 했다. 세월호의 인양과 함께 다시 한 번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아야 할 때다. 3년의 시간 속에서 김탁환 작가는 세월호를 잊지 않으려는 사람들의 아름다운 몸짓을 보았다. 그리고 그 몸짓 하나하나를 단편소설로 엮어냈다. 작은 기쁨들이 모여 큰 슬픔을 이겨내듯, 세월호를 잊지 않으려는 아름다운 사람들의 이야기들이 모여 크나큰 세월호의 아픔을 조금이나마 견딜 수 있다면, 소설의 쓸모를 다한 것이리라. 이 책은 그렇게 세월호를 기억하는 아름다운 사람들의 이야기를 엮은 8편의 세월호 중단편소설집이다.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38254912
-
돌아오지만 않는다면 여행은 멋진 것일까
Doraojiman anneundamyeon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Kim Takhwan / 김탁환 / 2017 / -
Original Works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literature titles (classical, modern and contemporary) in multiple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