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his works of fiction, Jung Hansuk experimented with a variety of subject matters and techniques in order to create portraits of Korean people in the changing world of post-war Korean society. A serious social problem he investigated with particular adroitness and sensitivity is one of generation gap; “An Old House” (Goga, 1956), a story of young people seeking to escape from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skillfully explores this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against the backdrop of war-torn Korea. Despite the fact that the world Jung Hansuk sketches in his fiction is fraught with moral deterioration accompanying extreme material privation, he maintains an ethical stance toward it and emphasizes the need to aspire to the ideal.
Es sus obras experimentó con una variedad de temas y técnicas para crear descripciones de la gente en el mundo cambiante de la posguerra en Corea. Un problema social que investigó con particular sensibilidad fue el de la diferencia generacional. Una casa antigua (Goga, 1956) es una historia de gente joven que intenta escapar del sistema familiar tradicional y explora este conflicto entre generaciones con la Corea devastada por la guerra como fondo. A pesar del mundo que Jung Hansuk muestra en esta obra está lleno de deterioro moral y extrema privación material, mantiene una posición ética y continúa aspirando a una sociedad ideal. Estas características son evidentes en sus primeras historias, como El viaje de Adán (Adamui haengno) y Una mujer loca (Gwangnyeo), ambas publicadas en 1952, y Traición (Baesin), que apareció en el siguiente año. La historia El libro de los sellos impresos de Jeonhwangdang explora las tensiones entre las tradiciones pasadas y la realidad contemporánea de otra forma: una dulce nostalgia por el mundo del clasicismo y la belleza impregna esta historia acerca de un artesano grabador de sellos que ya no encuentra quién alabe su trabajo. Esta obra yuxtapone con éxito el lenguaje clásico literario con el lenguaje coloquial corriente. Además, ha escrito obras de ficción histórica como "La pintura mural del santuario principal del templo" (Geumdang byeokhwa), Lee Seonggye y Nongae. Desde mediados de los años ochenta también ha publicado obras de poesía.4 Recibió el Premio de la Academia Coreana de Artes (1986) y el Premio de Cultura del 1 de Marzo (1988).
Il a expérimenté une grande variété de sujets et abordé des techniques d'écriture différentes afin de délivrer des portraits de ses semblables dans le monde constamment changeant de la société coréenne d'après-guerre. Il a étudié en particulier avec habileté et sensibilité le fossé de mentalités entre les générations. Ainsi, son récit Une maison ancienne (Goga, 1956) met en scène des jeunes qui cherchent à échapper au système traditionnel de la famille. Malgré le fait que le monde dépeint par Jeong soit empreint d'une certaine détérioration de la morale, il maintient une position éthique et continue d'aspirer à une société idéale. On retrouve ces caractéristiques dans ses premières histoires comme L'itinéraire d'Adam (Adamui haengno) et Une femme folle (Gwangnyeo), tous deux publiés en 1952, mais aussi Trahison (Baesin) qui paraît l'année suivante. Un sceau de pierre précieuse jaune (Jeonghwangdang inbogi) explore les tensions entre les traditions du passé et la réalité contemporaine d'une autre manière. En effet, ce travail traite notamment de la différence entre la langue classique des lettrés avec l'idiome populaire de la vie quotidienne. Il a également écrit des romans historiques comme La peinture murale du bâtiment principal du temple (Geumdang byeokhwa), Yi Seong-gye et Non-gae. À partir de milieu des années 1980, Jung a également publié des poèmes4.Il a reçu le prix d'honneur de l'Académie coréenne des Arts (1986) et le prix culturel du 1er mars (1988).
정한숙(1922~1997)은 대한민국의 소설가다.
생애
정한숙은 1922년 평안북도 영변에서 태어났다. 작가는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학년 때였던 1947년, 당시 전광용(당시 아동문학가 겸 소설가), 정한모(당시 문학평론가 겸 시인) 등과 〈주막〉의 동인을 조직하였다. 이듬해인 1948년 단편 〈흉가〉가 《예술조선》에 당선이 되면서 소설가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50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53년 중편 〈배신〉이 《조선일보》 현상 문예에 뽑혔고, 이때부터 시보다는 소설을 본격적으로 발표하기 시작했다. 이후 1955년 단편 〈전황당인보기(田黃堂印譜記)〉, 희곡 〈혼항〉이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부터 소설가 겸 극작가로 활동했다.
작가는 1957년부터 1988년까지 고려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로 일했다. 1975년 전국소설가협회 부회장, 1979년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이사, 1991년 문예진흥원의 원장을 지내는 등 학계와 예술행정에 다양한 성과를 남겼다.
3. 작품 세계
정한숙은 다양한 소재를 다양한 소설적 기법을 통해 작품에서 다뤄왔다. 작가가 소설에서 추구했던 것은 새로운 시대에서 살아갈 새로운 인간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는 신구(新舊)제도와 세대의 갈등, 현실에 대한 냉혹한 관찰, 끈질긴 이상의 추구 등을 지속적으로 작품의 주제로 삼아왔고 동시에 소설적 언어에 대한 탐구도 병행했다.
또한 작가는 전통이 지닌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을 소설로 형상화하기도 했는데, 단편 〈전황당인보기(田黃堂印譜記)〉(1955), 《사상계》에 발표한 〈금당벽화〉(1955), 《문학예술》에 발표한 단편 〈고가(古家)〉(1956) 등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작품들이 그러한 예다. 단편 〈전황당인보기(田黃堂印譜記)〉는 195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된 작품으로 전각가(篆刻家)의 생애와 전각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삼은 이야기다. 작가는 전각의 아름다움 뿐 아니라 전통적이고 고전적인 아름다움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에 대한 비판도 다뤘다.
장편소설 《바다의 왕자》(2008)는 작가가 《경향신문》에 1960년 4월 29일부터 1961년 6월 3일까지 338회에 걸쳐 연재되었던 것을 단행본으로 출간한 것이다. 한국 소설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았던 ‘장보고’를 주인공으로 삼은 장편역사소설이다. 연재 당시 ‘장보고’에 대한 학계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작가는 장보고와 관련된 많은 인물들의 일상까지 세밀하게 묘사해 현실감을 확보했고 입체적으로 장보고를 그렸다.
주요 작품
1) 소설집
《황진이》, 정음사, 1955.
《애정지대》, 정음사, 1957.
《묘안묘심(猫眼猫心》, 정음사, 1958.
《내 사랑의 편력》, 현문사, 1959.
《시몬의 회상》, 신지성사, 1959.
《우린 서로 닮았다》, 동민문화사, 1966.
《조용한 아침》, 청림사, 1976.
《안개거리》, 정음사, 1983.
《대학로 축제》, 문학사상사, 1987.
《금당벽화》, 고려대출판부, 1998.
2) 장편소설
《암흑의 계절》, 현문사, 1960.
《끊어진 다리》, 을유문화사, 1962.
《바다의 왕자》, 고려대학교출판부, 2008.
3) 기타
《현대한국소설론》, 고려대학교출판부, 1973.(개정판, 1996)
《소설기술론》, 고려대학교출판부, 1975(개정판, 2003)
《현대한국작가론》, 고려대학교출판부, 1976.
《해방문단사》, 고려대학교출판부, 1982.
《현대한국문학사》, 고려대학교출판부, 1982(개정판, 2003)
수상 내역
1958년 제1회 김내성문학상
1977년 제1회 흙의 문학상
1986년 대한민국예술원상
1983년 제15회 대한민국문화예술상
1988년 3.1문화상
1988년 국민훈장모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