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Cho Byeonghwa(조병화)

Writer default image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Cho Byeonghwa
Family Name
Cho
First Name
Byeonghwa
Middle Name
-
Preferred Name
-
Pen Name
Cho Byung-Hwa, 趙炳华, Pyŏng-hwa Cho
ISNI
0000000081272710
Birth
1921
Death
2003
Occupation
Poe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Spanish(Español)
  • French(Français)
  • Japanese(日本語)
  • Korean(한국어)

Cho Byunghwa (1921 – 2003) was a South Korean poet, critic and essayist.


Life 

Cho Byunghwa was born in Anseong,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e. He graduated from Gyeongseong Normal School in Seoul, and in 1945 he completed his studies at Tokyo Teachers College with a major in physics. He then taught at Inchon Middle School and Seoul High School. He made his literary debut in 1949, publishing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Beorigo sipeun yusan (버리고 싶은 유산 The Heritage I Want to Disown).

Cho's academic career began with his 1959 appointment to Kyung Hee University, where he rose to become dea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1981 he left to become head of the literary faculty at Inha University, and later became dean of the graduate school there. Cho occupied leading positions in such organizations as the Korean Poets' Association,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the Korea Arts Council and the Kore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 He was also president of the 4th World Congress of Poets, held in Seoul in 1979. In 1999 he was awarded an honorary degree from Victoria University, Australia.


Writing

Cho officially entered the literary world in 1949 with his book of poems, Beorigo sipeun yusan, which was soon followed by more collections. His early works were written in standard form and rhythm, and expressed the love, joys and sorrow of modern man. His later works give insight into the existence and fate of humanity. He was an extraordinarily prolific poet, using a frank conversational style, although often employing fragmented grammar and broken phrases.

Cho has been lauded as a poet who tore down the notion that modern poetry must be obscure and won the sympathy of many readers by his candid expression in everyday language of the sentiments and experiences of his own life. For some critics, however, his vision is too self-centered and pays scant attention to the social or political dimensions underlying the realities he describes. Thus the critical reception of his poetry divides between admiration of its harmony while noting that it lacks innovation. The sheer volume of his published work, which includes 44 poetry collections among his 130 books, has probably done him a disservice.

Besides poetry, he published four books of poetic theory, including Bami gamyeon achimi onda (밤이 가면 아침이 온다 When Night Goes, Morning Comes), and nearly thirty collections of essays, including Siinui bimangnok (시인의 비망록 A Poet's Notebook), as well as albums of his paintings.

 

Después de entrar de forma oficial en el mundo literario en 1949 con el poemario La herencia que no quiero poseer (버리고 싶은 유산), que se publicó en 1949, publicó varias antologías de poesía. Sus primeras obras expresan el destino y el amor, las alegrías y las penas del hombre moderno con un ritmo y una forma estándar, pero en sus trabajos posteriores posa una mirada profunda a la existencia y el destino de la humanidad. Publicó más de cuarenta poemarios, además de numerosas obras de prosa.3 Fue un poeta muy prolífico, en parte por el estilo puramente conversacional que emplea para expresar los problemas de la vida, la muerte y la esencia de la vida humana. Ha sido elogiado como el poeta que ha echado abajo el prejuicio de que la poesía moderna ha de ser oscura, y se ha ganado la simpatía de muchos lectores gracias a la cándida expresión y el lenguaje cotidiano que utiliza para hablar de los sentimientos y experiencias de su propia vida. Ha publicado cuatro libros de teoría poética y treinta colecciones de ensayos.

 

Cho Byeong-hwa fait son entrée dans le monde littéraire en 1949, avec son recueil de poèmes intitulé L'Héritage dont je souhaite me débarrasser (Beorigosipeun yusan). Ses travaux les plus anciens traitent des thèmes de l'amour, du destin, de la joie, de la tristesse de l'homme moderne avec des formes d'écritures standards. Cho a publié plus de 40 recueils de poèmes, en plus de ses écrits en prose3.Cho Byng-hwa fut un auteur très prolifique qui a privilégié une écriture simple, proche de la conversation. Il s'est ainsi éloigné des poésies obscures ou des écrits les plus modernes, cette approche par la simplicité lui a permis de faire connaître sa poésie à un grand nombre de lecteurs. Il a également publié 4 livres théoriques sur la poésie, incluant Si la nuit s'en va, le matin arrive (Bami gamyeon achimi onda), et une trentaine d'essais3.En 1974, il remporte le prix de l'Association des poètes coréens.

1921年5月2日、京畿道安城市に生まれる。1938年京城師範学校を卒業し、1943年東京高等師範学校で修学した。1945年6月に帰国、中央大学校、梨花女子大学校講師を経て、慶熙大学校国文科教授として在職した。 1949年に詩集『버리고 싶은 유산(捨てたい遺産)』を発表して登壇後、たくさんの詩集を発表した。初期は、現代文明の中で生きる人間の運命と愛、哀歓を平易な文脈と律調で詠ったが、その後は人間の存在と運命に対する深い洞察をみせた。趙の多作の秘訣は、生と死、人生の本質に対する広範囲な問題を易しい日常の言語で表現することで多くの読者と率直な対話ができたことにある。 そして、趙は現代詩は難解だという通念を壊した詩人であり、自分が経験した対象と感慨を素直に表現し、読者の共感を得ることに成功した詩人として評価されている。2003年3月8日死去。

 

조병화(1921~2003)는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생애

조병화는 1921년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났다. 호는 편운(片雲). 1938년 경성사범을 졸업하고, 1943년 일본 도쿄고등사범학교 이과에 입학하여 물리‧화학을 전공했다. 1945년 6월에 귀국한 후 경성사범, 제물포고, 서울고에서 교사 생활을 했다. 

작가는 1945년 해방 후 김기림의 주선으로, 오랜 시간 써두고 발표하지 않았던 시를 시집으로 묶었는데, 그 첫 시집이 1949년에 출간한 시집 《버리고 싶은 유산((遺産)》이었다. 이후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여 50권 이상의 시집을 출간했고, 이 시집 가운데 25권은 외국어로 번역 출판된 바 있다. 

중앙대, 이화여대 강사를 거쳐 1959년부터 1980년까지 경희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인하대로 옮겨 1984년 정년퇴임한 후, 명예교수로 재직하였다. 1990년 작가는 후배 시인들을 격려하기 위해 ‘편운문학상’을 제정했고, 현재까지 수상자를 내고 있다. 1993년 ‘조병화문학관’을 건립했다. 2003년 세상을 떠났다. 

 

작품 세계 

조병화의 작품은 사랑의 정서를 바탕으로 해서 인간의 그리움과 고독을 노래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또한 쉽고 아름다운 언어로 인간의 허무와 고독을 시로 형상화했다. 

작가는 50권 이상의 시집을 출간했는데, 이러한 다작(多作)은 삶과 죽음, 그리고 인생의 본질에 대한 문제를 쉬운 일상의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대중과 소통할 수 있었기 때문이고 비인간적인 현실에 대한 반성과 거리두기가 위안을 주었기 때문이다. 

한편 인간의 근원적 고독을 주제로 삼은 조병화의 시세계는 삶과 죽음을 모두 아우르는 허무라는 정념으로 삶을 일관되게 형상화했다. 

《버리고 싶은 유산(遺産)》(1949)은 시인의 첫 시집으로, 시집 전체에 드러난 그리움과 고독, 방황과 애상의 정조는 해방 전후의 혼란 속에서 인간 구원을 위한 모색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과거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회상이 비관적인 정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도 시인의 특징이다. 

《하루만의 위안》(1994)은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된 해방 이후 서울시민으로서의 혼란함과 소시민의 고뇌를 작품의 주제로 삼았다. 작가는 기교를 부리지 않은 언어와 소박한 정서를 담아낸 정감있는 시어로 고독하고 허무한 삶을 위로했다. 



주요 작품

1) 전집

《조병화 시 전집》, 국학자료원, 2013.


2) 시집

《버리고 싶은 유산(遺産)》, 산호장, 1949.

《밤의 이야기》, 정음사, 1961.

《먼지와 바람 사이》, 동화출판공사, 1972.  

《어머니》, 중앙출판공사, 1973. 

《머나먼 약속》, 현대문학, 1983. 

《어두운 밤에도 별은 떠서》, 혜진서관, 1985. 

《지나가는 길에》, 신원출판사, 1989. 

《찾아가야 할 길》, 인문당, 1991. 

《타향에 핀 작은 들꽃》, 시와시학사, 1992.

《하루만의 위안》, 동문선, 1994.

《헤어지는 연습을 하며》, 오상, 1998.


3) 산문집

《왜 사는가》, 자유문학사, 1986. 

《나보다 더 외로운 사람에게》, 둥지, 1996.

 

수상 내역 

1959년 아시아 자유문학상

1974년 한국시인협회상

1981년 서울시문화상

1985년 대한민국예술원상

1990년 3.1문화상

1992년 대한민국문학대상

1996년 대한민국금관문화훈장

1997년 5.16민족상


Original Works40 See More

Translated Books35 See More

Event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