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속해보겠습니다
Kyesok'aebogetsŭmnida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Hwang Jungeun / 황정은 / 2014 / -
This is a novel by Hwang Jeongeun, published in 2014. It tells the story of wounded people becoming healed through people. It expresses dense and deep emotions through trivial actions and dialogue.
-
디디의 우산
Didi ui usan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Hwang Jungeun / 황정은 / 2019 / -
This book explores the meaning of revolution in the daily lives of individuals against the backdrop of social upheaval.
-
백의 그림자
Baegui geurimja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Hwang Jungeun / 황정은 / 2010 / -
This is a novel by Hwang Jungeun, which was first printed in the fall issue of Segyeui munhak (Literature of the World) in 2009, and published in the book form in 2010. In the same year, this book won the 43rd Hankook Ilbo Literary Award. It tells the story of good people who are exposed to structural violence and a life of painful reality, centered on the protagonist who works in a downtown shopping mall that is about to be demolished and turned into something new.
-
서울, 포르토프랭스: 바이링귀얼 리뷰
Seoul, Poreutopeuraengseu: Bairinggwieol Ribyu
French(Français) Printed/Published WorkHwang Jungeun et al / 황정은 et al / 2015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Reportage > Misc.
-
아무도 아닌
Amudo anin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Hwang Jungeun / 황정은 / 2016 / -
2016년에 출간된 황정은의 소설집이다. , , , 등 2012년 봄부터 2015년 가을까지 발표한 단편 8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들 작품들은 작가가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서 통과해온 시간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당대를 직접 반영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쓸쓸한 노인의 일상, 층간소음으로 발생한 이웃간의 공포, 비정한 목격자 등 혼자 감당할 수 밖에 없는 일상을 기록(, , )하거나 서비스직의 감정노동문제를 계급의 문제로 바라본 작품()들이 그것이다.
-
야만적인 앨리스씨
Yamanjeogin aelliseussi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Hwang Jungeun / 황정은 / 2013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Fiction > 21st century
This is a novel by Hwang Jungeun, published in 2013. It was originally serialized in the quarterly magazine Munhakdongne from the spring to the summer issues of 2012. The author uses a homeless woman as the main character to show a human being exposed to desolate and brutal violence. In addition, it raises questions about our daily life, in which many of us ignore the world destroyed by violence.
-
양의 미래
Yangui Mirae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Hwang Jungeun / 황정은 / 2015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Fiction > 21st century
This is a short story by Hwang Jeongeun, published in the fall issue of the quarterly journal 21 segi munhak (21st Century Literature) in 2013, and it was the fifth K-Fiction published by ASIA Publishers in 2015. In addition, it is also included in the author's short story collection Amudo anin (Nobody), published in 2016. It tells the story of a girl who becomes a witness to a girl’s disappearance. With her uniquely dense and detailed language, the author expresses the main character’s guilt, anger, loneliness, and resentment.
-
서울, 밤의 산책자들
seoul bamui sanchaekjadeul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Jon Kyongnin et al / 전경린 et al / 2011 / -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여성작가들이 그려내는 여섯 빛깔의 서울. 익숙하고도 낯선 도시, 서울을 노래하는 6인의 이야기. '서울'에 대한 다양한 소설적 탐사를 보여주는 테마 소설집. 2009년에 출간된 『서울, 어느 날 소설이 되다』의 후속편인 이 책은 전경린, 김미월, 황정은, 윤이형, 이홍, 기준영 등 여섯 작가가 들려주는 도시 서울의 각기 다른 이미지를 담고 있다. 이 책을 가득 채운, 서울을 산책하는 작가들의 증언은 그들 각자의 독특한 시선과 감성을 담아내며 도시의 다층적인 속살을 포착한다. 작가들이 묘사하는 서울은 작품 속 인물들의 상황에 따라 천차만별의 양상을 보인다. 그들의 삶에서 서울은 가족의 행복을 위해서는 어떤 일도 할 수 있는 섬뜩하고 느끼한 욕망의 하수구로도(이홍, 「삼인구성의 가정식 레시피」), 양심이나 자의식 따위는 얼마든지 삭제해버려야 하는 결투장으로도(윤이형, 「결투」) 그려진다. 도시는 꿈에서 그리는 이상적인 삶의 터전이기도, 지치고 고단한 우리의 시간을 그대로 방치하는 소름 끼치도록 차가운 공간이기도 하다. 독자들은 이 여섯 편의 소설을 통해 우리 외부에 존재하는 하나의 풍경을 넘어 우리 내부에서 숨쉬는 욕망의 원풍경으로서의 서울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4748336
-
2019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2019 gimseungongmunhaksang susangjakpumjip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Yoon Sung-hee et al / 윤성희 et al / 2019 / -
한국문학의 올스타 스테이지 새로움보다 새로운, 동시대 문학의 일곱 개의 별 『2019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2019년부터 김승옥문학상을 문학동네에서 주관한다. 등단 10년 이상의 작가들이 1년간 발표한 단편소설 가운데 작가 정보를 지운 블라인드 심사로 가장 뛰어난 7편을 뽑고 그중 대상작 1편과 우수상 6편을 선정해 독자들에게 선보인다. 봄에는 푸르고 에너지 넘치는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으로, 가을에는 원숙하고도 단단히 여문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으로 문학동네는 한국문학의 외연을 넓혀가는 동시에 그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더 자주 독자들과 나눌 예정이다. 올해 김승옥문학상 수상 작가는 윤성희, 권여선, 편혜영, 조해진, 황정은, 최은미, 김금희다. 수상자 모두 독자적인 소설세계의 일가를 이룬 한국문학의 기둥이자 중심에 선 작가들이다. 이 빛나는 리스트에서 “모든 작가들이 자신만큼 잘해냈지만 윤성희는 윤성희보다 더 잘해냈”(신형철)기에 윤성희 작가에게 대상이 주어졌고, 편혜영, 조해진, 황정은, 최은미, 김금희 작가는 젊은작가상 수상자에서 김승옥문학상으로 이름을 옮겨놓으며 몸소 한국문학의 미래가 되었음을 증명하였다. 김승옥문학상의 새로운 시작에 값하는 일곱 작가의 일곱 작품. 새로움보다 새로운, 한국문학의 깊이와 이채로움을 만나고 또 만끽할 시간이다.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79375642
Original Works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literature titles (classical, modern and contemporary) in multiple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