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Kim Insuk(김인숙)

Kim Insuk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Kim Insuk
Family Name
Kim
First Name
Insuk
Middle Name
-
Preferred Name
Kim Insuk
Pen Name
Kim In-suk, Kim Insuk, キム・インスク
ISNI
0000000000462652
Birth
1963
Death
-
Occupation
Novelis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Spanish(Español)
  • French(Français)
  • German(Deutsch)
  • Japanese(日本語)
  • Korean(한국어)

Kim Insuk (born 1963) is a South Korean writer.


Life 

Kim Insuk was born in 1963 in Seoul. Her father died when she was five years old, and her mother took in boarders to make ends meet. She graduated from Yonsei University with a degree in journalism.       

Kim made her literary debut at the age of 20, in 1983, winning the Chosun Ilbo New Writer's Contest with her short story "Sangsirui gyejeol" (상실의 계절 Season of Loss). Kim, along with Shin Kyung-Sook and Gong Ji-Young, is one of the prominent new wave of female writers from the 386 generation (term for those who were in their 30s in the 1990s, attended university in the 1980s and were born in the 1960s). 

Kim has won all three of Korea's major literary awards, the Yi Sang Literary Award, Dong-in Literary Award, and Daesan Literary Award, among others. Since 2019, she has been part of the permanent panel of judges for the Dong-in Literary Award. A prolific writer, Kim has published over 30 books throughout a literary career spanning nearly four decades. Her latest works include the novel Beotkkochui uju (벚꽃의 우주 Galaxy of Cherry Blossoms) and the short story collection Dan haruui yeongwonhan bam (단 하루의 영원한 밤 One Eternal Night).


Writing

Kim Insuk's early works are based on her experience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Korea during the 1980s, such as "Hamkke geonneun gil" (함께 걷는 길 The Road Travelled Together), "Gakkaun bulbit" (가까운 불빛 The Light Nearby), and 79'~80 gyeoureseo bom sai (79'~80 겨울에서 봄 사이 Between Winter and Spring '79-80). After 1990, Korean society underwent abrupt changes in the midst of the shifts in the world order brought on by the end of the Cold War. Kim devoted herself to scrutinizing the problems of compromise, fatigue, depression, and lethargy that began to appear in Korean society as it internalized the new capitalist order. "Kallalgwa sarang" (칼날과 사랑 Blade and Love) and "Han yeoja iyagi" (한 여자 이야기 Story of a Woman) are some of her works from this period.

Kim has created stories that take place beyond the borders of Korea. Starting in 1993, Kim resided in Sydney, Australia, for one and a half years; at the beginning of the 2000s she stayed for three and a half years in Dalian, China. Kim's works Meon gil (먼 길 The Long Road), Sideuni geu pureun badae seoda (시드니 그 푸른 바다에 서다 Sydney, Standing at the Blue Ocean), and "Badawa nabi" (바다와 나비 Ocean and Butterfly) are based on those experiences. Michil su itgenni (미칠 수 있겠니 To Be Insane), set in an unnamed island hit by an earthquake and tsunami, was written in Bali over a period of four months. By coincidence, Japan was struck by a tsunami when Kim had finished writing the book, and she requested that its release be delayed out of respect for the victims.

From the beginning of her writing career, Kim Insuk has persistently produced works that deal with the problems of the present time and that offer introspection into human existence, without losing sight of the currents of changes in reality.


Kim Insuk trata de forma extensa la experiencia de los coreanos en el extranjero. De hecho, su libro La larga carretera (que ganó el Premio Hankook Ilbo de literatura el mismo año que se publicó7 ) es la única obra de ficción coreana sobre este tema traducida al inglés.8 Es una de sus obras de ficción en las que retrata el tiempo que pasó en Australia en los noventa. En 2003 ganó el Premio Yi Sang de literatura por El océano y la mariposa (Bada-wa nabi) y en 2010 ganó el Premio Dong-in de literatura por Adiós, Elena (Annyeong, ellena). La publicación de su última obra en coreano ¿Cómo volverse loco con esta vida? (Michil su issgessni, i salm-e) se retrasó a petición propia.9 La historia trata sobre un destructivo terremoto y tsunami, por lo que creyó que sería inapropiado publicarla justo después del terremoto y el tsunami que sufrió Japón.

 

De manière peu habituelle, son œuvre se concentre sur la vie des expatriés coréens. Son livre La longue route (Meon gil), qui a remporté le prix Hankuk Ilbo l'année de sa publication, est une des seules œuvres d'expatrié coréen qui ait été traduite en langue étrangère. Ce roman a pour trame ses années d'expatriée en Australie dans les années 1990. En 2003, elle remporte le prix Yi Sang pour sa nouvelle Océan et papillon (Bada-wa nabi) et remporte en 2010 le prix littéraire Dong-in pour Au revoir Élena3(Annyeong Elena). La publication de son dernier roman Pourrais-tu devenir fou de cette vie? (Michilsu itgenni, i salme) a été interrompue à sa demande : l'histoire met en scène notamment un tsunami ainsi qu'un tremblement de terre, et elle a estimé qu'il serait inapproprié de publier le roman après les tremblements de terre et le tsunami au Japon.

 

Kim Insuk wurde am 1. Januar 1963 in Seoul geboren. Seit ihrer ersten Veröffentlichung Jahreszeit der Verluste (상실의 계절) mit zwanzig Jahren durchlief Kim mehrere Entwicklungsphasen als Schriftstellerin. Ein Verlangen nach Freiheit und Reinheit begleitet von einer Abneigung gegen Grundsätze charakterisierten ihre frühen Werke.

Obwohl dieses Frühwerk als sensitive und nachdenkliche Betrachtung angesehen wird, stieß es im politischen und moralischen Klima der turbulenten achtziger Jahre kaum auf Resonanz. Weit davon entfernt, durch ihre Werke belehren zu wollen, erfuhr die junge Autorin heftige Kritik dafür, sich von den ärgsten Nöten der Allgemeinheit entfernt und die Sache der Arbeiter- und Demokratiebewegung ignoriert zu haben.

Ende der achtziger Jahre begann sie eine Reihe von Werken zu veröffentlichen, die einen klaren Wandel in ihrer Themenwahl demonstrierten, diese reichten von individueller Freiheit und persönlichen Begehren bis hin zu sozialen Problemen und Reformen. Diese Veränderung in Kims literarischem Fokus ist jedoch weder eine widerwillige Antwort auf externe Kritik, noch ist sie eine passive Akzeptanz von literarischer Mode; vielmehr zeigt sie die Bemühungen einer Autorin, die sich beständig mit Selbstbetrachtung, Transformation und Erneuerung beschäftigt.

In den späten neunziger Jahren erlebte ihr Werk eine weitere Metamorphose. Die zentralen Charaktere befinden sich nicht mehr auf dem Schlachtfeld des Lebens, stattdessen sind sie nun selbst-anerkannte Niemande ohne Vorbilder oder Hoffnungen, die sich in die Schatten im Hintergrund der Gesellschaft drängen und ein bedeutungsloses und ruhiges Leben führen.

Auf der Suche nach neuen Ideen lebte Kim von 2002 bis 2004 in Dalian, China.[3]

 

韓国の学生運動史である『79~80年の冬と春の間』(1987)、労働現場での体験を扱った報告文学である『共に歩む道』(1989)、資本主義の社会で生きる平凡な人々の内面を描いた『白刃と愛』(1993)、オーストラリアの移住民の暮らしを通して、定着できない人々の傷を感傷的な言語で表した『遠き道』(1995)、内面の傷を克服して成熟した愛に昇華していく過程を描いた『꽃의 기억』(1999)などの小説を出版した。
金仁淑は、『炎』(1985)までの初期作品では、個人的な葛藤と煩悶を、『70~80年の冬と春の間』と『共に歩む道』などでは、歴史的な現実に真正面で立ち向かった。 1990年代以降の作品は、日常空間を生きる平凡な人々の人生に注目している。

 

김인숙(1963~)은 대한민국의 소설가다.  


생애

김인숙은 1963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숙명여자중학교와 진명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였으며, 1987년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1983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상실의 계절〉이 당선되었으며, 같은 해 장편소설 《핏줄》을 발표하였다. 

작가는 1987년 대학시절 민중문화연합 산하의 굿패 '해원'에서 활동했으며, 1988년 보고문학인 《하나 되는 날》로 전태일문학상 특별상을 받았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생활했고, 2004년부터 중국의 다롄에서 지냈다. 작가는 시드니에서 체류할 때 쓴 장편소설 《먼 길》(1995)로 1995년 제28회 한국일보문학상을 수상하는 등 다수의 문학상을 받았다.

 

작품 세계 

김인숙은 1990년대 초반까지 불안한 사회 현실 속에서 삶의 지표를 상실한 채 방황하는 개인의 모습과 암울한 시대에 대응하면서 온몸으로 싸워나가는 젊은이들의 삶을 그린 작품이 많다. 역사적 현실을 정면에서 다룬 장편소설 《79-80 겨울에서 봄 사이로》(1987)와 《함께 걷는 길》(1989)이 그러한 작품들이다.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작가의 시선은 현실 사회를 향해 있던 관점을 개인의 일상공간으로 바꾼다. 개인의 삶과 존재의 가치를 추구하고자 하는 경향을 읽을 수 있다. 특히 삶의 주변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평범한 인물들의 존재 방식과 삶의 양상에 주목한 작품들을 많이 발표하고 있다. 

작가는 다양한 경향의 작품을 발표해왔는데, 격동기의 학생운동의 역사를 다룬 《79-80 겨울에서 봄 사이로》(1987), 노동현장 체험을 다룬 보고문학(報告文學)인 장편 《함께 걷는 길》(1989),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평범한 인물들의 내면을 그려낸 《칼날과 사랑》(1993), 호주 이주민의 삶을 통해 정착하지 못한 이들의 상처를 소설적 언어로 형상화한 《먼 길》(1995), 내면의 상처를 극복하며 이를 성숙한 사랑으로 승화시키는 과정을 담은 《꽃의 기억》(1999) 등이 있다.  

장편소설 《봉지》(2006)는 1970~80년대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한 여자의 삶을 중심으로 균열의 시대를 살아가는 주변부 인물들의 삶을 그려낸다. 작가는 주인공이 비루한 현실을 감내하며 절망과 상처를 삶의 토대로 만들어내는 과정을 작품의 주제로 삼았다. 

장편소설 《미칠 수 있겠니》(2011)에서 작가는 주인공의 절박한 상황과 그 상황 속에서 마주친 진실 그리고 사랑 이야기를 들려준다. 작품은 사랑에 관한 진정성뿐만 아니라, 거대한 자연재해를 겪고 살아남은 사람들의 희망과 연대에 관한 이야기다. 

소설집 《단 하루의 영원한 밤》(2018)은 불안한 현실을 살아가는 젊은 세대의 방황과 자유에 대한 추구 등 사회문제를 정면으로 마주하는 작품들을 수록한 소설집이다. 작가는 개인의 삶을 세밀하게 다뤄 핍진함을 보여준다.

장편소설 《벚꽃의 우주》(2018)는 2018년 7월에 발표한 소설을 퇴고해서 출간한 작품이다. 이 소설은 성수대교가 붕괴(1994.10.21.), 김일성이 사망(1994.7.8.), 지존파의 살인(1994.9)이 자행되었던 1994년을 작품의 중심 주제로 삼았다. 작가는 현실에서 벌어진 참혹한 사건들 속에서, 모든 것을 잃었지만 다시 지켜내고자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렸다. 


주요 작품

1) 소설집

《칼날과 사랑》, 창비, 1993. 

《당신》, 솔, 1996.

《유리 구두》, 창비, 1998. 

《브라스밴드를 기다리며》, 문학동네, 2001. 

《그 여자의 자서전》, 창비, 2005.

《안녕, 엘레나》, 창비, 2009. 

《단 하루의 영원한 밤》, 문학동네, 2018. 


2) 장편소설 

《핏줄》, 문학예술사, 1983.

《불꽃》, 문학예술사, 1985. 

《79-80 겨울에서 봄 사이로》(1~3), 세계, 1987. 

《긴 밤, 짧게 다가온 아침》, 동광출판사, 1992. 

《그래서 너를 안는다》, 청년사, 1993. 

《먼 길》, 문학동네, 1995. 

《그늘, 깊은 곳》, 문예마당, 1997. 

《꽃의 기억》, 문학동네, 1999. 

《우연》, 문이당, 2002. 

《봉지》, 문학사상사, 2006.

《소현》, 자음과모음, 2010. 

《미칠 수 있겠니》, 한겨레출판, 2011. 

《모든 빛깔들의 밤》, 문학동네, 2014. 

《벚꽃의 우주》, 현대문학, 2019. 


수상 내역 

1988년 전태일문학상 특별상

1995년 제28회 한국일보문학상

2000년 제45회 현대문학상

2003년 제27회 이상문학상

2005년 제12회 이수문학상

2006년 제14회 대산문학상

2010년 제41회 동인문학상

2012년 제12회 황순원문학상




Original Works14 See More

Translated Books19 See More

E-news8 See More

Events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