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꽃살문
Kkotsalmun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Kim Jiyeon / 김지연 / 2014 / -
2014년 출간된 김지연의 그림동화다. 작품은 가상의 공간을 배경으로 어린이가 사계절을 넘나들며 친구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
마음에 없는 소리
maeume eomneun sori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Kim Jiyeon / 김지연 / 2022 / -
문학동네신인상 만장일치의 주인공, 올해의 신인 김지연 첫 소설집 2022 젊은작가상 수상작 「공원에서」, 2021 젊은작가상 수상작 「사랑하는 일」 수록 수백 편의 응모작 가운데 단 하나의 작품을 가려 뽑는 문학동네신인상은 다양한 안목을 지닌 심사위원들이 신중하면서도 과감하게 각자의 선택을 밀어붙이는 열기의 현장이다. 매년 치열하게 의견들이 경합하며 좀처럼 합의점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 종종 있어온 가운데 2018년에 당선작으로 결정된 작품은, “문학적 기준과 취향이 다른 일곱 명의 심사위원(소설가 김금희, 윤이형, 정용준, 조해진, 문학평론가 백지은, 신형철, 황종연) 모두에게서 잘 쓴 소설”이라는 평을 이끌어내며 “근래 문학동네신인상 소설 부문 심사에서도 특별한 경우”(‘심사 경위’에서)라고 할 만한 이례적인 풍경을 만들어냈다. “소설의 구조가 응모자에 대한 큰 기대를 갖게 했다”(김금희) “어떤 실험적 작위 없이도 새로움을 성취했다”(백지은) “필요한 문장을 정확히 제자리에 놓을 줄 알고 그 문장들로 상황을 내면화하는 데 어김없이 성공한다”(신형철)라는 평을 받으며 기대 속에서 작품활동을 시작한 신예 작가의 이름은 김지연, 등단작은 「작정기」이다. 이후 작가가 사 년 동안 여러 매체에 발표한 작품들 가운데 아홉 편을 선별해 내놓는 첫 소설집 『마음에 없는 소리』는 겹이 많은 페이스트리처럼 자신 안에 아주 많은 마음을 간직한 사람들을 그리며 누군가를 되새기거나 지난날을 곱씹는 동안 일어나는 변화를 세심하게 포착한다. 서정적이며 터프하고, 유머러스하면서 여운이 짙은, 모순적인 수식어의 조합을 가능케 하는 이번 소설집은 사 년 전 신인 작가를 향해 쏟아졌던 기대를 확실한 믿음으로 바꾸어낼 것이다.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07905541
-
2022 제13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2022 je13hoe jeoleunjakgasang susangjakpumjip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Lim Solah et al / 임솔아 et al / 2022 / -
임솔아의 「초파리 돌보기」는 오래전 실험동에서 초파리를 돌보는 일을 했던 이원영의 삶을 이원영의 딸인 소설가 권지유의 시선에서 그려낸 이야기로, 불행한 현실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삶의 의미를 ‘해피엔드’로 끌어올린 작가의 아름다운 의지가 돋보인다. 작고 보잘것없는 생명일지라도 그것을 돌보는 일의 가치를 발견하는 이원영과 이원영이 꿈꾸는 결말의 모습을 소설로써 완성해낸 권지유 두 모녀의 서사가 “불행과 절망 너머를 묘파한 작가의 절창”(구병모 소설가)이라는 극찬을 받으며 대상작으로 선정되었다. 김 멜라의 「저녁놀」은 ‘눈점’과 ‘먹점’이라는 여성 커플이 곤궁한 생활 속에서도 서로를 위하 며 ‘먹고사는 일’을 꾸려나가는 애틋한 모습을 딜도를 의인화한 화자 ‘모모’의 시선으로 그 려냄으로써 김멜라 특유의 퀴어-여성 서사의 독특한 결을 감각하게 하는 한편 유구하게 이 어져온 남성 중심의 서사를 비트는 전복적인 에너지를 뿜어낸다. 김병운의 「기다릴 때 우리가 하는 말들」은 게이 소설가인 화자 ‘나’가 인권단체의 독서 모임에서 만나 한때 친밀 하게 교류했던 무성애자 주호와 그의 애인 인주씨와 관련된 일화를 펼치면서 소수자라는 동 질적인 정체성을 공유하는 사이에서도 저지르기 쉬운 몰이해와 혐오, 그에 대한 반성의 목 소리를 곡진하게 들려준다. 김지연의 「공원에서」는 ‘공원’이라는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열려 있는 공공장소가 어떻게 폭력적인 차별의 공간으로 변모하는지를 강렬한 여성의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우리 사회에 만연한 여성혐오를 드러내 보인다. 김혜진의 「미애」는 자기 소유의 주거 공간을 지니지 못한 자와 지닌 자 사이의 계급적 차이 속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지독한 민낯과 복잡한 모순을 가차없는 단문으로 파고든다. 서수진의 「골드러시」는 호주라는 이국의 공간에서 살고 있지만 서로를 향한 어떠한 감정도 기대도 사라져버린 젊은 부부의 권태와 그 삶의 파국성을 폐광이라는 이미지를 통해 상징적으로 펼쳐 보인다. 서이제의 「두개골의 안과 밖」은 새의 개체수가 급증한 근미래를 배경으로, 까치와 닭으로 표상 된 ‘새’와 관련된 사건과 진술이 파편적으로 드러나는 가운데 살처분이라는 명목하에 자행 되는 무자비한 살상과 인간성의 상실을 묵시록적인 상상력과 다채로운 형식 실험을 통해 그려낸다.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08672470
-
2021 제12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2021 je12hoe jeoleunjakgasang susangjakpumjip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Jeon Hayoung et al / 전하영 et al / 2021 / -
전하영의 「그녀는 조명등 아래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는 계약직 행정사무 보조로 일하는 ‘나’가 우연한 계기로 자신의 대학 시절을 떠올리며 시작되는 이야기로, 열정적이면서 연약한 시절에 겪었던 일이 지금의 시점에서 어떻게 다시 쓰일 수 있는지를 긴 호흡으로 차분히 보여준다. 우리를 휘감는 예술의 아우라를 유머러스하면서도 날카로운 방식으로 꿰뚫는 이 작품은 “새로운 예술사가 쓰이기 시작한 분기점에서, 이 소설은 젊은작가상 대상의 자리에 충분히 값한다”(문학평론가 강지희)라는 호평을 받으며 대상작으로 선정되었다. 김멜라의 「나뭇잎이 마르고」는 ‘마음씨’라는 씨 뿌리기 동아리에서 만난 두 여성이 오랜 시간에 걸쳐 포개졌다 멀어지고, 또다시 포개지는 과정을 그려냄으로써 우리 사회의 가장 첨예한 이슈 중 하나인 ‘퀴어’와 ‘장애’ 문제를 김멜라 특유의 신비로운 문체와 부드러운 활기로 담아낸다. 김지연의 「사랑하는 일」은 ‘서로 사랑하는데 굳이 섹스까지 해야 하느냐’고 묻는 여자친구와 ‘애인이라고 밝히지 말고 친한 친구라고 해도 같이 사는 데는 지장이 없지 않느냐’고 말하는 아빠 사이에 놓인 ‘나’를 통해 레즈비언이 자신의 사랑을 증명하고 인정받는 일의 지난함을 드러내면서도,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자기 중심의 서사’를 써나가기로 결심한 이에게서 뿜어져나오는 사랑스러움으로 가득한 싱그러운 작품이다. 김혜진의 「목화맨션」은 세상의 잣대로 바라보았을 때는 쉽사리 수긍되지 않을 정도로 가깝게 지내던 한 임대인과 세입자가 각자의 상황에 맞닥뜨린 뒤 끝내 멀어질 수밖에 없었던 한 시절을 애틋하면서도 단호하게 그려내는 작품으로, 어떤 공간과 관계를 지나오면서 우리가 두고 온 것은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박서련의 「당신 엄마가 당신보다 잘하는 게임」은 아들을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할 준비가 되어 있는 엄마가 뜻밖에 게임의 세계에 진입하는 과정을 박진감 있게 전개함으로써 여성혐오와 게임의 규칙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면서 서로를 강화하는지, 그 견고하고 막강한 세계의 한 면을 펼쳐 보인다. 서이제의 「0%를 향하여」는 어린 시절에 독립영화에 매료된 뒤 그것이 비추는 작은 등불에 의지하며 앞으로 나아가는 인물들의 이야기를 교차해 보여주는데, 마음을 다해 무언가를 좋아하는 사람만이 품을 수 있는 빛이 어느 순간 주위를 압도할 만큼 강력해질 때의 아름다움에 대해 말하며 우리로 하여금 그 인물들 곁에 나란히 서게 한다. 한정현의 「우리의 소원은 과학 소년」은 식민지 조선을 배경으로 하는 촘촘한 삶의 세목들이 압도적인 작품으로, ‘다른 누구도 아닌 자기 자신’으로 살아가기 위해 분투하는 인물들을 조명함으로써 현재까지도 유구히 이어지는 혐오의 역사에서 ‘사랑’과 ‘낙관’을 향해 걸어가는 이들의 선명한 자취를 드러낸다.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99018415
-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22
ihyoseongmunhaksang susangjakpumjip 2022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Kim Mella et al / 김멜라 et al / 2022 / -
대상 수상작가 김멜라의 자선작으로 신작 〈메께라 께라〉 발표! 기수상작가 이서수의 자선작 〈연희동의 밤〉 수록!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22』는 대상 및 우수상 수상작 총 6개 작품 이외에도 대상 수상작가와 기수상작가의 자선작이 수록되어 알찬 구성을 이뤘다. 기수상작가 이서수 소설가는 2021년 이효석문학상 대상 수상 이후 장편소설 『헬프 미 시스터』를 출간하며 2021년 이효석문학상 대상 수상 당시 “세대 간의 가족 얘기를 노동과 버무려서 쓸” 예정이라고 말했던 포부를 지켜냈다. 자선작 〈연희동의 밤〉은 우연히 연희동 LP바에서 정태춘의 노래 ‘92년 장마, 종로에서’를 들은 계기로 썼다. 지금 이 시대를 두고 “기념비를 세우는 게 촌스러워진 시대”라고 말하는 주인공 ‘나’를 통해 N포 세대를 넘어 현실적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젊은 층의 시대상을 소설 속에 적극 반영한다. 대상 수상작가 김멜라 소설가의 자선작 〈메께라 께라〉는 어느 지면에도 발표한 적 없는 신작이다. 동생이 태어나기 전까지 잠깐 동안 주인공 ‘나’(소낭)는 제주도 “오름 어느 옴팡진 데”에 살고 있는 꾸모(할아버지)에게 맡겨지고 ‘안나 여사’와 ‘옥토끼’를 만나 하루하루를 보낸다. 제목에서처럼 “메께라”는 “어머나!” 하고 놀라는 감탄사로 자주 쓰이는 제주 사투리다. ‘나’는 “오름의 말”(제주 사투리)을 전부 알아들을 수 없지만 낯선 곳에서 ‘안나 여사’와 ‘옥토끼’가 부르는 노래로 한마음이 되고 만다. 소설 속 제주 사투리는 입말로 살려두었다. ‘나’의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말의 뜻을 유추하는 것보다 훨씬 중요한 걸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노랫말처럼 끝나지 않고 연결될 것이라는 희망을, 마침내 “내 마음의 옴팡진 곳”에 고인 기억이 추억이 될지 모른다는 믿음을, 갓 태어난 동생 ‘오롬’이의 존재를 인정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용기를.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12890059
Original Works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literature titles (classical, modern and contemporary) in multiple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