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n Junghyo (born 1941) is a South Korean novelist and literary translator.
Life
Ahn was born in Seoul. He earned his undergraduate degree in English literature from Sogang University. Upon graduation, he began a career in journalism, working for the Korea Herald and later the Korea Times. He was editorial director for the Korean division of Encyclopædia Britannica from 1971 to 1974. In 1975, Ahn's translation of Gabriel Garcia Marquez's One Hundred Years of Solitude was serialized in the monthly Literature and Thought. From that time until the late 1980s, he translated approximately 150 foreign works into Korean.
Ahn made his debut as a novelist in 1983 with Jeonjaenggwa dosi (전쟁과 도시 Of War and the Metropolis), inspired by his service in the Vietnam War. The novel was first serialized in Literature and Practice. Ahn personally translated the novel into English and it appeared in the US under the title White Badge. In 1992 it was made into a film, shot on location in Vietnam. The book was then reissued in Korea as Hayan jeonjaeng (하얀 전쟁 White War) in 1993. Ahn's major published works include Eunmaneun oji anneunda (은마는 오지 않는다 Silver Stallion), Mineul (미늘 Mineul), and Heolliudeu kideuui saengae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 The Life and Death of the Hollywood Kid). He is the recipient of the Kim Yu-jeong Literary Award for the novella Akbujeon (악부전 Story of a Bad Father).
Writing
Although Ahn's worldview is reflected in the depressive undertone characterizing his works, it does not overpower his fundamental faith in human worth nor undermine his ceaseless inquiry into the nature existence that renders his works relevant and meaningful beyond the particular context of Korean history. Based on meticulous observations and immaculate depiction of the real world, his works can be dry at times, but still retain a wealth of stories and possibilities for many discoveries.
Silver Stallion offers an intimate, mournful perspective on the Korean War, as the harmony of a tiny village is destroyed by the arrival of friendly foreign troops. In 1950, the hamlet of Kumsan is much the same as it was a century earlier; a rich elder serves as the arbiter of propriety, children play together in gangs, men farm and women run the households. But when air raids begin and Western soldiers set up camp, Kumsan's delicate structure collapses. The author keeps his scale small but faultlessly detailed, letting events unfold primarily through the eyes of Mansik, a young boy whose mother is raped by soldiers and then shunned by the other villagers; eventually, she seeks work in a prostitute shantytown to feed her children.
Heolliudeu kideuui saengae stars an eccentric character named Lim Byeong-seok, a film buff nicknamed "the Hollywood kid" by his childhood friends. Given the dark milieu of the period, Lim's obsession only seems natural, as going to the cinema offers a rare escape from the impoverished and hopeless conditions of life. Years later, however, the Hollywood kid is still addicted to the fantastic visions of alternate reality offered by the movies. His childhood friend, now a film director, discovers Lim living in abject poverty, spending his days reliving scenes from movies he has seen over the years.
Ahn wurde 1941 in Seoul geboren und erlebte als Kind den Koreakrieg mit. Er studierte an der Sogang University Englische Literatur. Nach seinem Abschluss war er Kriegsberichterstatter in Vietnam. Anschließend arbeitete er für diverse Zeitungen (z.B. Korea Times, Korea Herald) und als Übersetzer. So übersetzte er auch den Roman „Hundert Jahre Einsamkeit“ von Gabriel García Márquez 1975 ins Koreanische, des Weiteren zahlreiche englischsprachige Autoren wie beispielsweise John Irving.[2]
1983 erschien Ahns Romandebüt Krieg und Stadt, das als Serie in der Zeitschrift Realistische Literatur (Silch'ŏn munhak) herausgegeben wurde. Das Thema des Romans - die Teilnahme Südkoreas am Vietnamkrieg - galt zu Zeiten des Regimes unter Chun Doo-hwans als riskant.[3]
In einer geänderten Fassung wurde das Werk unter Weißer Krieg 1989 wiederveröffentlicht, dessen englischsprachige Übersetzung Ahn selbst anfertigte und der unter dem Titel White Badge in den USA erschien. Ein Jahr später erschien der Roman Der silberne Hengst (kor. Originaltitel 은마는 오지 않는다), der sich inhaltlich mit dem Koreakrieg, speziell mit der Präsenz der US-amerikanischen Besatzungsmacht in einem koreanischen Dorf, befasst.
Für seine Arbeit sowohl als Übersetzer als auch als Schriftsteller wurde er gewürdigt.[4] 1982 erhielt er den koreanischen Übersetzerpreis und 1992 den Kim Yu-jŏng-Literaturpreis. Drei seiner Werke wurden bisher verfilmt.
Su primera novela fue Guerra blanca (Hayan jeongjeng), publicada en 1983 con una fría acogida de la crítica. Habla de sus experiencias como soldado del ejército de la República de Corea en la Guerra de Vietnam. Él mismo la tradujo al inglés y se publicó en Estados Unidos en 1989 bajo el título La insignia blanca.5 Se volvió a publicar en Corea en 1993 y tuvo una recepción mucho mejor que la anterior.
Son premier roman s'intitule Sur la guerre et la ville (Jeonjaeng-gwa dosi), plus connu aujourd'hui sous le titre Guerre blanche (Hayan jeonjaeng), publié en 1983. Il parle dans ce récit de son expérience en tant que soldat sud-coréen dans la guerre du Viêt Nam. Il a traduit lui-même son roman en anglais, publié aux États-Unis en 1989 par Soho Publishing sous le titre de White Badge (L'insigne blanc). En 1992, son récit est adapté en film intitulé White Badge (L'insigne blanc), tourné au Viêt Nam4. La version finale de son livre Guerre blanche (Hayan jeonjaeng) en Corée, est publiée en 1993 et reçoit un bien meilleur accueil que lors de sa première édition en 1983.
1941年12月2日、ソウルに生まれる。1965年西江大学校英文科卒業。1964年Koreaherald文化部記者を務め、Koreatimes記者、韓国britannica編集部長、Koreatimes文化体育部長を歴任した。
1973年、『실천문학(実践文学)』に長編『전쟁과 도시(戦争と都市)』を発表して登壇。以後、『하얀 전쟁(白い戦争)』と改作され、1989年アメリカで出版される。『가을바다 사람들(秋の海の人々)』,『학포장터의 두 거지(ハクポ市場の二人の物乞い)』,『동생의 연구(弟の研究)』, 『은마는 오지 않는다(銀馬は来ない)』、『미늘(鉤)』、『헐리우드 키드의 생애(ハリウッドキッドの生涯)』『나비 소리를 내는 여자(蝶の音を出す女)』, 『낭만파 남편의 편지(浪漫派旦那の手紙)』, 『태풍의 소리(台風の音)』、『착각(錯覚)』、『실종(失踪)』などの作品を発表した。
1975年にガブリエル・ガルシア=マルケス (Gabriel Garcia Marquez)の『百年の孤独(One Hundred Years of Solitude)』の翻訳本を始め、今まで約150以上の本を翻訳した。
20年以上の翻訳経験を元に英語の参考書『안정효의 영어 길들이기(翻訳編、英作編、英訳編)』を出版し、大きな話題となった。また、梨花女子大通翻訳大学院で文学作品の翻訳の講義もしている。
안정효(1941~)는 대한민국의 소설가며 번역가다.
생애
안정효는 1941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65년 서강대 영문과를 졸업한 후, 1964년 《코리아헤럴드》 문화부 기자를 시작으로 《코리아타임스》, 《주간여성》 기자, 한국 브리태니커 회사 편집부장, 코리아타임스 문화체육부장을 거쳤다. 1975년 가브리엘 마르께스의 《백년 동안의 고독》을 비롯해, 다수의 책을 번역하였다.
1983년 《실천문학》에 장편소설 《하얀전쟁》으로 등단 후 작품 활동과 번역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하얀전쟁》은 《White Badge》라는 제목으로 영역하여 미국에서 출판되었고, 이후 베트남어로도 번역되었다. 또한 1987년에 출간된 장편소설 《은마는 오지 않는다》는 폴란드어로 번역되는 등 그의 소설은 영어, 독일어, 일본어, 덴마크어로도 번역되었다.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교수로 일하기도 했다.
작품 세계
안정효는 그의 작품에서 한국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 국가가 만들어낸 전쟁이라는 폭력이 인간에게 남긴 상처를 기록하고 동시에 붕괴되는 농촌과 가난한 시골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인간의 삶과 죽음이 지닌 의미를 묻고 있다.
장편소설 《하얀전쟁》(1993)은 1983년 《실천문학》에 연재했던 장편소설 《전쟁과 도시》를 제목을 바꾸고 내용을 수정하여 출간한 소설이다. 작가는 월남전의 처참한 상황에 대한 객관적 묘사,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에서 인간의 본성이 어떻게 드러나는가 등의 실존적 물음을 던졌다. 작가는 베트남 전쟁 뒤에 숨은 인간의 모습과 현대인의 삶 속에 숨은 죽음과 어둠의 그림자를 탁월하게 묘사했다. 월남전에 지원했다가 귀국한 후 후유증에 시달리는 주인공을 통해 그와 함께 죽고 산, 여러 인간군상을 통하여 전쟁이 인간에게 끼친 영향을 고발하고 있다. 한편 이 소설은 1992년 영화로 만들어져 도쿄 국제영화제에서 최우수 작품상과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장편소설 《은마》(2012)는 작가가 1987년에 출간한 장편소설 《은마는 오지 않는다》(1987)를 제목과 내용을 수정해서 출간한 소설이다. 소설은 6.25전쟁의 와중에 미국 문화의 유입으로 급속도로 붕괴되는 한국의 전통적인 시골마을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작가가 어린 시절 경험했던 전쟁을 바탕으로 쓴 소설이라서 전쟁 당시의 시대상, 마을 사람들의 생활모습, 사건 등이 생생하게 담겨있다.
소설집 《미늘의 끝》(2001)은 다섯 편의 중단편을 수록한 소설집으로, 1991년에 출간된 장편 《미늘》의 주인공들의 10년 후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작가는 무책임한 행동 때문에 표류하게 도거나 이혼한 사람들,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미국에 간 인물의 죽음 등 쓸쓸하거나 무모해 보이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작품집의 주제로 삼았다.
주요 작품
1) 소설집
《동생의 연구》, 책세상, 1989.
《낭만파 남편의 편지》, 민음사, 1995.
《착각》, 오늘, 1999.
《미늘의 끝》, 들녘, 2001.
2) 장편소설
《가을바다 사람들》, 고려원, 1985.
《하얀전쟁》, 고려원, 1993(개정판, 세경, 2009).
《나비 소리를 내는 여자》, 현암사, 1994.
《태풍의 소리》, 현암사, 1996.
《미늘》, 열음사, 1991(개정판, 나남출판, 2012).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 오늘, 1999.
《은마는 오지 않는다》, 고려원, 1990(개정증보판, 《은마》, 나남출판, 2012)
《솔섬》, 나남출판, 2012.
3) 산문집
《하늘에서의 명상》, 디자인하우스, 1998.
《가뢰와 뒤쥐》, 넥서스, 2003.
4) 기타
《신화와 역사의 건널목》, 들녘, 2002.
《동양의 빛과 그림자》, 들녘, 2003.
《지성과 야만》, 들녘, 2003.
《안정효의 오역사전》, 열린책들, 2013.
5. 수상 내역
1982년 번역문학상
1992년 제3회 김유정문학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