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on Sang-guk (born 1940) is a South Korean writer.
Life
Jeon Sang-guk was born in Hongcheon, Gangwon Province. He earned his undergraduate and graduate degrees in Korean literature from Kyung Hee University. He taught high school for many years before becoming a professor of Korean literature at Gangwon University. Jeon made his literary debut in 1963, winning the Chosun Ilbo New Writer's Contest with his short story "Donghaeng" (동행 Side by Side). He has published many short stories and a small number of novels since the late 1970s. His first collection of stories, Baramnan maeul (바람난 마을 Fast-living Village) was published in 1977, and his first novel, Neupesoneun barami (늪에서 바람이 Wind From the Swamp) followed in 1980. His novel Gil (길 Road) has received particular critical acclaim. He is the recipient of the Literature Prize for Korean Writers, the Literature Prize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Dong-in Literary Award, the Yun Dong-ju Litearary Award, and the Kim Yu-jeong Literary Award, among others.
Writing
Jeon's work is commonly characterized by the adjective 'masculine'. This may be explained in a variety of ways. His style is tight and austere, and he has sometimes been criticized for his lack of ornamental details. His plots are boldly structured, usually focusing on themes related more or less directly with the division of Korea and the Korean War. His main characters are almost invariably masculine and the stories are frequently set in boys' middle and high schools. The problems inherent in Korean education are often evoked. He is a serious writer, and much of his work deals with the problem of evil. This theme of evil is linked to the way in which his male characters are often shown to suffer from strong, dictatorial father-figures. The challenge facing his characters is to find a way of confronting and overcoming the evil that pervades society. [1]
Jeon Sang-guk drew on his personal experiences of the Korean War and the ensuing division of the country to reconfirm the tragic consequences of these events. For Jeon, however, the real suffering is not in the war itself but in its aftermath, in the families ripped apart and the homes lost. In Abeui gajok (아베의 가족 Ah-be's Family), the wounds left by the war is symbolized in a mentally disabled child of rape, abandoned by his mother, who immigrates to the U.S. with her new family. The guilt-ridden mother, however, fails to find peace in the new land. The tragedy, therefore, is not only found in the rape and its by-product, the handicapped child, but also in the consequence of the attempt to escape the traumatic memories of it. Jeon's serial novel, Gil, further investigates the aftermath of the war through the problem of families separated by the war and the division.
In the 1980s, Jeon, who worked for a long time as a schoolteacher, expanded the scope of his literary topic to include problems in education. His stories "Usangui nunmul" (우상의 눈문 Tears of an Idol), "Doeji saekkideurui ureum" (돼지새끼들의 울음 The Squealing of Piglets) and "Eumjiui nun" (음지의 눈 Eye of Darkness) take the confined space of the school as a microcosmic setting, and explore the problematic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among the students themselves as they correlate to the similar issues in society at large.
References
[1] Korean Literature Today. Volume 4, No.2, Summer, 1999. http://anthony.sogang.ac.kr/klt/99summer/chonsangkuk.htm#content
Jeon Sang-guk habla sobre sus experiencias personales en la Guerra de Corea y la resultante división del país para reafirmar las trágicas consecuencias de estos sucesos.4 Sin embargo, para él el verdadero sufrimiento no es la guerra en sí misma si no sus resultados: las familias divididas y los hogares perdidos. A menudo la guerra saca a la luz los conflictos y las confrontaciones que existen en las relaciones humanas tradicionales. En La familia de Abe, las heridas que ha dejado la guerra se simbolizan en un niño minusválido mental, hijo de una violación, que es abandonado por su madre para irse a Estados Unidos con su nueva familia. La madre, arrepentida, no puedo encontrar paz en el nuevo país. La tragedia, pues, no solo está en la violación y en el niño minusválido, sino también en las consecuencias del intento de escapar de las memorias traumáticas. Su novela publicada en forma de fascículos La carretera (Gil) investiga más a fondo las consecuencias de la guerra a través del problema de las familias separadas por la guerra y la división. En los ochenta, Jeon Sang-guk, que trabajó durante mucho tiempo como profesor, expandió el espectro de sus temas literarios para incluir los problemas en la educación. En las historias "Las lágrimas de un ídolo" (Usangui nunmul), "Los gritos de los lechones" (Doeji saekkideurui ureum) y "El ojo de la oscuridad" (Eumjiui nun), el espacio aislado de una escuela es el microcosmos en el que explora las relaciones problemáticas entre los profesores y los alumnos, y entre los mismos estudiantes, con el fin de correlacionarlos con problemas similares en la sociedad.
Jeon Sang-guk a beaucoup écrit sur ses expériences personnelles concernant la Guerre de Corée et la division nationale et notamment sur les conséquences tragiques de ces événements4. Pour Jeon, cependant, la vraie souffrance n'est pas la guerre en elle-même mais bien ses conséquences, notamment dans les familles déchirées et les maisons perdues. La guerre est l'occasion pour l'auteur de se servir du drame du conflit pour révéler la complexité des relations humaines. Dans La famille de Ahbe (Abe-ui gajok), les blessures laissées par la guerre sont symbolisées par un enfant handicapé ayant subi un viol, et abandonné par sa mère qui émigre aux États-Unis. Cependant, la mère, rongée par les remords, ne parvient pas à trouver la paix dans sa nouvelle vie. La tragédie, par conséquent, se situe non seulement au niveau du viol de l'enfant handicapé, mais aussi dans la volonté de fuir de la mère. Le roman-feuilleton de Jeon La route (Gil), étudie les conséquences de la guerre à travers les problèmes rencontrés par le personnage Gajok Isan qui voit sa famille séparée par la guerre et la division nationale. Dans les années 1980, Jeon Sang-guk, qui a travaillé pendant longtemps comme instituteur, a élargi l'éventail de ses sujets en portant son attention sur les problèmes liés à l'éducation. Ses histoires telles que Les Larmes d'une idole (Usang-ui nunmul), Le Crissement des porcelets (Doeji saekkideurui ureum) et Les yeux de l'obscurité (Eumji-ui nun) prennent l'espace confiné de l'école comme cadre sociologique pour explorer les relations problématiques entre les enseignants et les étudiants, ainsi que les problèmes parmi les étudiants eux-mêmes car tous ces problèmes sont en corrélation avec les problèmes de la société en général1. En 1977, il remporte le Prix de littérature contemporaine (Hyundae Munhak) pour Lynchage (Sahyeong 私刑) et Se dépouiller de sa coquille (Kkeopdegi beotgi) et en 1980, le Prix Dong-in pour Nos ailes (Urideurui nalgae).
전상국(1940~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다.
생애
전상국은 1940년 강원도 홍천군에서 태어났다. 한국전쟁이 일어난 1950년에, 전상국의 가족들은 강원도 산골로 피난하여 직접적으로 전쟁의 참상을 경험하지는 않았으나 어린 시절 경찰에 잡힌 공산주의자를 구경하러 갔다가 충격을 받았다. 1954년 동창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홍천중학교에 입학했다. 이 시기에 주로 탐정 소설을 탐독했고, 1957년 고등학교에 입학해서는 ‘봉의문학회’를 만들어 글쓰기 연습을 했다.
1960년 경희대학교에 입학해 황순원, 양주동, 김광섭 등의 문학인들로부터 강의를 들었다. 1962년 단편소설 〈동행〉을 발표하여 대학 문화상을 수상했다. 이후 같은 작품을 일곱 번 다시 고쳐 쓴 후에 1963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다. 이듬해 《현대문학》에 〈광망(光芒)〉을 발표하고 1966년 《문학춘추》에 〈해바라기 시계〉를 발표한 이후 오랜 기간 창작을 하지 않았다.
대학 졸업 이후 고향에서 고등학교 교사로 일하다가 1972년 서울의 경희고등학교로 직장을 옮겼다. 1974년 《창작과 비평》에 단편소설 〈전야〉를 발표하며 본격적인 창작을 시작했다. 1977년 첫 소설집 《바람난 마을》을 출간했으며, 이듬해에는 김원일, 김문수 등 작가들과 함께 동인 모임 ‘작단’을 만들어 함께 창작 활동에 매진했다. 이후 꾸준히 문학작품을 하며 강원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는 등 활동을 하다가 2002년 김유정 문학촌의 촌장직을 맡았다.
작품세계
전상국의 작품들에서 가장 빈번하게 다루어지는 소재는 한국전쟁이다. 〈산울림〉(1978), 〈안개의 눈〉(1978) 등은 피난 시절의 고통을 다루고 있으며, 〈아베의 가족〉(1979)은 분단 현실이 갖는 비극성을 드러낸다. 〈아베의 가족〉은 한국전쟁 시기 미군에게 강간당해 낳은 아들 ‘아베’와 그 가족들의 이야기다. ‘아베’는 지적장애인으로, 가족들은 ‘아베’를 버리고 미국으로 이민을 떠난다. 이 작품은 전쟁으로 인해 몰락해버린 삶과 전쟁 후에도 그 상처가 아물지 못한 채 아픔을 견디며 살아야 하는 사람들의 삶을 형상화했다.
전상국이 자주 다뤘던 또 다른 소재는 전쟁 이후 새로운 시대를 맞은 한국의 교육현장이다. 전상국은 오랜 기간 교직 생활을 경험했고, 그러한 경험은 문학적으로 변용되었다. 예컨대, 단편소설 〈우상의 눈물〉(1980)은 한 학급의 문제아를 학급의 담임과 반장이 나서서 사랑으로 감싸고 보듬어줌으로써 그를 교화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사랑은 한 인간을 오롯이 이해하기 위한 것이 아닌, 학급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전체주의적 목적에 기반하고 있다. 이는 실상 질서 밖으로 벗어난 이방인을 굴복시키기 위한 전체주의적인 폭력이며, 이 작품은 그러한 전체주의적 질서가 지닌 폭력성을 탐구한 작품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주요 작품
1) 전집
《전상국 중단편전집》, 강, 2022.
2) 소설집
《바람난 마을》, 창작문화사, 1977.
《하늘 그 아래 그 자리》, 문학과지성사, 1979.
《아베의 가족》, 도서출판은애, 1980.
《외등》, 고려원, 1980.
《우리들의 날개》, 동서문화사, 1981.
《식인의 나라》, 소설문학사, 1981.
《형벌의 집》, 한겨레, 1987.
《지빠귀 둥지 속에 뻐꾸기》, 세계사, 1989.
《사이코》, 세계사, 1996.
《온 생애의 한순간》, 문학과지성사, 2005.
《남이섬》, 민음사, 2011.
3) 장편소설
《늪에서는 바람이》, 도서출판문장, 1980.
《불타는 산》, 고려원, 1983.
《길》, 정음사, 1985.
《유정의 사랑》, 고려원, 1993.
4) 산문집
《우리가 보는 마지막 풍경》, 북스힐, 2000.
《물은 스스로 길을 낸다》, 이룸출판사, 2005.
《길위에서 만난 사람들》, 도서출판 이치, 2005.
《춘천 사는 이야기》, 연인M&B, 2017.
수상 내역
1977년 제22회 현대문학상
1980년 제14회 동인문학상
1980년 대한민국 문학상
1988년 제4회 윤동주문학상
1990년 제1회 김유정문학상
1996년 제33회 한국문학상
2000년 후광문학상
2003년 제27회 이상문학상 특별상
2004년 제9회 현대불교문학상
2014년 제27회 경희문학상 소설부문
2018년 보관문화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