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Ki Hyongdo(기형도)

Writer default image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Ki Hyongdo
Family Name
Ki
First Name
Hyongdo
Middle Name
-
Preferred Name
Ki Hyongdo
Pen Name
Ki Hyung-do, Ki Hyoung-do, Ki Hyongdo
ISNI
0000000116481898
Birth
1960
Death
1989
Occupation
Poe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German(Deutsch)
  • Korean(한국어)

Ki Hyongdo (1960-1989) was a modern South Korean poet.


Life 

Ki Hyongdo was born the youngest of seven children in 1960 in Yeonpyeong, Gyeonggi Province. Ki's childhood was marred by poverty after his father suffered a stroke and was left unable to work. As a middle school student, Ki began writing poetry after his closest sister was murdered by a fellow church member. He began publishing his poems during his college years at Yonsei University, where he majored in political science. While working as a politics reporter for the JoongAng Ilbo in 1985, he made his literary debut winning the Dong-a Ilbo New Writer's Contest with his poem "Angae" (안개 Fog), a stinging critique of Korea's industrializing society. In 1986, he requested to be transferred to the paper's culture section, where he covered cultural events, publications and TV dramas. In the summer of 1988, he traveled to London and Paris, and transferred to the paper's editing section. On March 7, 1989, he died suddenly of a stroke at the Pagoda Theater in Jongro. His posthumous collection of poems Ip sogui geomeun ip (입 속의 검은 잎 Black Leaf in My Mouth) has gone through more than 86 printings in the three decades since his death.



Writing

Ip sogui geomeun ip, Ki's first and last poetry collection, is marked by a powerful individuality and intensely pessimistic worldview addressing themes of helplessness, longing, disappointment and anger. His untimely death added a sense of tragedy to the sorrow and despair already present in his works. 

The poet's earliest pain can be traced back to his childhood. In "Eomma geokjeong" (엄마 걱정 Worrying About Mom), the poet recalls his loneliness as a child when his mother would go out to work and not come back until late into the night. Another source of pain is parting with loved ones. “Bin jip” (빈 집 Empty House) begins with the lines, "My love is gone and I write/ Goodbye, short nights," after which the poet bids farewell to everything else: the fog outside the window, the candles in the room, the white papers, the reluctance filled fears, and all his past desires, and finally writes, "My poor love is locked in an empty house." Just as in “Eomma geokjeong,” the poet has shut his wounds in a small room and is now looking back in longing.

The poet’s gloom and isolation are directly related to the atmosphere of oppression and fear that was widespread throughout Korean society in the 1980s. As in the titular poem: “That summer, people disappeared in heaps/ and reappeared suddenly before the silence of the shocked/ the streets overflowed with the tongues of the dead.” Such indiscriminate violence is depicted to have taken root even in daily life. The fear felt has its peak where the phantom of the dead is overlapped with confession: “I pass this wilderness, this twilight, for the first time/ I’m afraid of the black leaf sticking stubbornly in my mouth.” If the “black leaf” refers to the deaths of nature and humans, the “black leaf in my mouth,” a metaphor for a stiff tongue, signifies that the life of the silent is no different from death. [1]

It was the literary critic Kim Hyun who chose the collection's title. Ki Hyongdo's initial title, "Jeonggeojangeseoui chunggo" (정거장에서의 충고 Warning at the Station), from a poem published in 1988, became the title for the memorial anthology published upon the 20th anniversary of his passing. The poem's first line begins: "I'm sorry but now I shall sing of hope."


References

[1] Korean Literature Now. Vol.8, Summer 2010. https://kln.or.kr/lines/reviewsView.do?bbsIdx=1415


Gi Hyeong-do wurde am 16. Februar 1960 in Incheon geboren. Sein Spitzname unter Kritikern war Personifikation der schwarzen Ontologie und er war eine der originellsten Stimmen der koreanischen Lyrik. Seine Kindheit war geprägt von Elend und extremer Armut, dem Tod seiner Schwester und der schweren Krankheit seines Vaters, was seine poetische Perspektive stark beeinflusste.

Er machte seinen Abschluss in Auslandspolitik und Diplomatische Beziehungen an der Yonsei Universität. Während er anfing als Reporter für den JoongAng Ilbo zu arbeiten, begann er Gedichte zu veröffentlichen, die geprägt waren von kraftvoller Individualität und einem extrem pessimistischen Weltbild. Obwohl er starb, bevor er Anerkennung als Lyriker erlangte, werden seine Gedichte heutzutage als Meisterwerke der modernen koreanischen Literatur angesehen. Selbst fünfzehn Jahre nach seinem Tod ist Gis Ansehen in der Öffentlichkeit nicht gesunken.

Eine Sammlung seiner Essays Bericht einer kurzen Reise (짧은 여행의 기록) wurde posthum an seinem ersten Todestag veröffentlicht. Die Sammlung Die Liebe ist weg und ich schreibe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kam zu seinem fünften Todestag heraus und enthält Essays in Erinnerung an den Dichter. 1999 erschienen die Gesammelten Werke von Gi Hyeong-do (기형도 전집). Der einzige Band mit Gis Gedichten, Ein schwarzes Blatt in meinem Mund (입 속의 검은 잎), wurde 1989 posthum veröffentlicht und bis heute über 40 000mal verkauft. Dieses Werk ist getragen von der Psychologie des Terror und der Ungerechtigkeit, die dem alltäglichen Leben immanent sind. Gis Lyrik erkundet Themen wie Armut, Tod, Entfremdung und Krankheit mit besonderer Wärme und lyrischer Schönheit. Durch die schmerzvollen Erfahrungen in seinem Leben entwickelte Gi einen einzigartigen Sinn für die sogenannte Ästhetik des grotesken Realismus, welche beunruhigende und bizarre Bilder verwendet, um die Unmöglichkeit von Kommunikation in der Moderne und die Aussichtslosigkeit von Existenz im Allgemeinen auszudrücken.[3]

Gi starb mit neunundzwanzig Jahren an einem Schlaganfall. Seine Leiche wurde in den frühen Morgenstunden des 7. März 1989 in einem Theater in Jongno 3-ga, einem Stadtbezirk in Seoul, aufgefunden. Bei dem Theater soll es sich angeblich um einen Treffpunkt für Homosexuelle gehandelt haben. Zu diesem Thema existieren jedoch stark umstrittene Annahmen[4].

 

기형도(1960~1989)는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생애

기형도는 1960년 경기도 연평도에서 태어났다. 시인의 부친의 고향은 황해도였으나 한국전쟁 중 연평도로 건너왔다. 1964년 시인의 가족은 경기도 시흥군 소하리(현 광명시 소하동)로 이사했다. 당시 소하리는 급속한 산업화에 밀린 철거민과 수재민들의 정착지로 도시 근교 농업이 발달한 농촌이었다. 1967년 시흥초등학교에 입학했다. 1969년 부친이 중풍으로 쓰러지면서 생활이 어려워져, 어머니가 생계를 꾸리게 되었다. 1973년 신림중학교에 입학했다. 1975년 작가의 누나가 불의의 사고로 죽고, 이 무렵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다. 1976년 중앙고등학교에 입학하여 교내 중창단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1979년 연세대학교 정법(政法)계열에 입학했다. 교내 문학 서클 〈연세문학회〉에서 문학 공부를 시작했다. 교내 신문인 《연세 춘추》에서 제정하고 시상하는 〈박영준문학상〉에 시〈영하의 바람〉이 가작으로 뽑혔다. 시인은 1980년 정법계열에서 정치외교학과로 진학했다. ‘80년의 봄’을 맞아 철야농성과 교내 시위에 가담했다. 1981년 병역 관계로 휴학하고 대구·부산 등지를 여행했으며, 방위로 소집되어 안양 인근 부대에서 근무했다. 안양에서 문학동인 활동을 하며 시작(詩作)에 몰두하여 초기작의 대부분을 이 때 쓰고 습작을 정리했다. 1982년 전역하여 양돈 등 집안일을 도우면서 창작과 독서에 몰두했다. 이때 다수의 시와 소설을 썼다. 1983년 3학년으로 복학하고, 교내 신문인 《연세춘추》에서 주관했던 〈윤동주문학상〉에 시 〈식목제〉가 당선되었다. 

1984년 중앙일보사에 입사하고, 시 〈안개〉로 198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됐다. 1985년 2월에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신문사 수습 후 정치부로 배속되었다. 시인은 1986년 문화부로 자리를 옮기고 활발하게 작품을 발표하는 한편 문학과 출판을 담당하면서 관련 인사와 교유를 넓혀 갔다, 1987년 여름에는 유럽을 여행했고, 1988년 여름에는 대구·전남 등지를 여행했다.

1989년 3월 서울에서 사망했다. 1989년 5월에 유고시집인 《입 속의 검은 잎》이 출간되었고, 1990년 1주기를 맞아 산문집 《짧은 여행의 기록》이 출간되었다. 2017년 광명시에 기형도문학관이 세워졌다.  


작품 세계 

기형도는 자신의 개인적인 상처를 드러내고 분석하는 것에서 시 작업을 시작하여, 작가가 직면한 현실과 세계의 고통으로 시선을 확장해 나갔다. 가난한 집안 환경과 아픈 아버지, 장사하는 어머니, 직장을 다니는 누이 등 어두웠던 어린 시절의 기억은 작가의 작품에 원체험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시인은 개인적인 고통이나 슬픔에만 주목한 것이 아니라 한국의 정치, 사회적인 모순과 억압이 개인의 삶에 영향을 기치고 있음을 놓치지 않았다. 

신춘문예 당선작인 〈안개〉(1985)는 억압적 현실 속에 뿔뿔이 흩어져 분열된 채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표현하고 있고, 〈전문가〉, 〈홀린 사람〉 등은 기만적인 정치 현실과 무력하게 그것에 휘둘리는 사람들을 풍자하고 있다. 시인의 이러한 사회비판적인 작품들은 현실의 문제점을 날카로운 시선으로 포착했지만, 시인의 비관적인 시선은 현실을 더 나은 상태로 만들기 위한 어떤 대안이나 전망을 제시하지는 못했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 

유고시집인 《입 속의 검은 입》(1989)은 〈안개〉, 〈전문가〉, 〈홀린 사람〉등이 수록된 시집으로, 일상에 내재하는 억압과 공포, 폭력과 가난 그리고 암울한 시대에 대한 시인의 절망을 추억이라는 형식으로 풀어내었다.     


주요 작품

1) 전집

《기형도 전집》, 문학과지성사, 1999.


2) 시집 

《입속의 검은 입》(유고집), 문학과지성사, 1989(개정판, 포엠포엠, 2015)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미발표 유고시), 솔출판사, 1994. 


3) 산문집

《짧은 여행의 기록》, 솔출판사, 1990.


수상 내역 

1982년 윤동주문학상


Original Works4 See More

Translated Books4 See More

E-news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