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Works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literature titles (classical, modern and contemporary) in multiple languages.

15 results
  • 딸에 대하여
    딸에 대하여

    Ttare daehayeo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Kim Hye-jin / 김혜진 / 2017 / -

    This book dissects the issues of homosexuality and sexual minorities in Korean society from a mother's point of view. It shows the process in which a mother reaches the best understanding she can of her daughter by facing the problem of double standards within us.

  • 중앙역
    중앙역

    Jungangyeok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Kim Hye-jin / 김혜진 / 2014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Fiction > 21st century

    2014년에 출간된 김혜진의 장편소설이다.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아무 것도 가진 것 없는 두 남녀의 사랑을 다루고 있다. 과거와 미래에 대한 관심을 끊고 오직 현재에만 몰입함으로써 신체가 느끼는 감각과 감정을 극도로 발전시키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어비
    어비

    Eobi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Kim Hye-jin / 김혜진 / 2016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Fiction > 21st century

  • 9번의 일
    9번의 일

    9beonui il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Kim Hye-jin / 김혜진 / 2019 / -

    평온한 일상을 밀어내는 참혹하고도 슬픈 일의 실체 『딸에 대하여』 김혜진이 응시한 한 남자의 조용한 비극 김혜진 장편소설 『9번의 일』이 한겨레출판에서 출간되었다. 『9번의 일』은 ‘일’에 대한 이야기다. 또한, ‘일하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작가는 통신회사 설치 기사로 일하는 평범한 주인공의 이야기를 통해 평온한 삶의 근간을 갉아가는 ‘일’의 실체를 담담하면서도 집요하게 들여다본다. 일하는 마음과 일을 앓는 마음 그 어딘가에서 작가가 짚어낸 건, 결국 끝까지 남아 계속 우리를 더 나쁜 쪽으로 밀어붙이는 일의 수많은 감정들이다. 이봐요. 나는 내가 무슨 일을 하는지 모릅니다. 알 필요도 없고요. 통신탑을 몇 개나 더 박아야 하는지, 백 개를 박는지, 천 개를 박는지, 그게 고주파인지 저주파인지 난 관심 없어요. 나는 이 회사 직원이고 회사가 시키면 합니다. 뭐든 해요. 그게 잘못됐습니까? _본문 중에서 『필경사 바틀비』의 주인공 ‘바틀비’가 “그렇게 안 하고 싶습니다”라고 외치며 버티고 버티다가 결국 우리에게서 잊혀져버렸다면, 『9번의 일』의 주인공 ‘9번’은 ‘그게 뭐든 하겠습니다’의 자세로 하고 또 하다가 자신을 망가뜨리고야 만다. 계속해서 일이란 것을 해야 하는 우리들은 ‘바틀비’나 ‘9번’이 아닌 다른 무엇이 될 수 있을까? 소설은 바로 그런 것들을 묻고 또 묻는다.

  • 너라는 생활
    너라는 생활

    Neoraneun saenghwal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Kim Hye-jin / 김혜진 / 2020 / -

    『딸에 대하여』 『9번의 일』 김혜진 신작 소설집 김혜진 작가는 2012년 등단한 이후 주류에서 소외된 이들의 삶, 혐오와 배제의 폭력성을 정면으로 다뤄왔다. 그가 내세운 인물의 면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앙역을 삶의 마지막 공간으로 삼은 노숙인 남녀(첫 장편 『중앙역』), 생활과 생업, ‘일다운 일’에 대한 물음을 품은 청년 세대(첫 소설집 『어비』), 레즈비언 딸을 둔 엄마(두번째 장편 『딸에 대하여』) 권고사직을 강요받는 통신회사 설치기사(세번째 장편 『9번의 일』), 재개발 이후 빈부격차로 양분된 지역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중편 『불과 나의 자서전』), 작가는 우리 사회의 위태로운 욕망과 불안감을 고스란히 담은 인물을 통해 시대와 세대를 묵직하고 깊이 있게 그려냈다. 등단 8년차, 30대 여성 소설가 김혜진의 작품은 동시대 ‘젊은 작가’의 작품 경향과 다른 데가 있다. 페미니즘과 퀴어 이슈로 대표되는 최근 한국문학의 ‘트렌드’에서 조금 비켜나 그 이슈들을 포함하되 세대와 시대의 문제, 구체적으로는 노동과 주거의 문제를 보다 핵심에 두고 쓴다. 차분하고 명확한 문장들로 작품 속 인물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묵묵히 그려낸다. 첫 소설집 출간 이후 꾸준히 발표한 단편 여덟 편을 모아 두번째 소설집을 펴낸다. 그사이 펴내고 호평받은 중 · 장편들의 씨앗이 된 인물과 모티브가 편편에 핍진하게 담겨, 지난 4년 작가가 관심 갖고 귀기울인 문제가 무엇인지, 우리 시대/세대가 마주한 문제가 무엇인지 거울처럼 비춘다.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92712689

  • DLKL
    3구역, 1구역

    3guyeok, 1guyeok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Kim Hye-jin / 김혜진 / 2020 / -

  • DLKL
    다른 기억

    Dareun gieok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Kim Hye-jin / 김혜진 / 2020 / -

  • DLKL
    자정 무렵

    Jajeong muryeop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Kim Hye-jin / 김혜진 / 2020 / -

  • DLKL
    동네 사람 7

    Dongne saram 7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Kim Hye-jin / 김혜진 / 2020 / -

  • DLKL
    우리는

    Urineun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Kim Hye-jin / 김혜진 / 20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