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hn Moo-Sook (1918-1993) was a South Korean writer.
Life
Hahn Moo-Sook was born into a progressive yet very traditional old Korean family. Han, whose artistic talent was discovered and nurtured from her early childhood, first pursued the career of a painter. An extended illness in her young adulthood and her marriage in 1940 to Kim Jin-Heung, a banker from an extremely conservative family, forced her to switch to writing to satisfy her artistic desires. [1]
In 1942, she won first prize in a contest sponsored by a leading monthly magazine, Sinsedae, for her novel Deungbul deuneun yoin (등불 드는 여인 A Woman with a Lantern). Soon afterwards, Han received first prizes in drama competitions with a one-act play, Maeum (마음 Heart) in 1943, and a four-act play, Seori kkot (서리꽃 Frost Flowers), in 1944. In 1948, she received first prize with another full-length novel, Yeoksaneun heureunda (역사는 흐른다 And So Flows History), in a competition sponsored by the Kukje Sinbo. She won the Asia Foundation's Freedom Literature Award for her short story "Gamjeongi inneun simyeon" (감정이 있는 심연 Abyss with Emotions), in 1957, and the Republic of Korea National Literature Award for her novel, Mannam (만남 Encounter), in1986.
Since 1995, the Hahn Moo-Sook Foundation has endowed the Hahn Moo-Sook (HMS) Colloquium at George Washington University's East Asian Languages and Literatures (EALL) Department, an annual meeting for the discussion of Korean humanities. [2]
Writing
Hahn Moo-Sook is known for her description of human dilemmas resulting from the conflicting worlds of consciousness and conventional reality. Critics have identified Han as a perceptive literary mediator, who sought harmony and balance between the contrasting forces. Her themes varied from universal concerns including love and suffering to issues specific to the Korean context, including her portrayal of the anguish of a generation that witnessed the brief democratic euphoria of the 1960 April 19 Revolution. All her works, however, reveal her multitude of literary skills including vivid description of customs, precise language, and skillful representations of inner consciousness.
One of the most traumatic experiences in Han's life was the tragic accident that killed her third child, a promising young medical doctor as well as a concert cellist whom everyone adored. Through this experience she met death in a most personal and intense way. She injured her back shortly after the funeral. Heart-broken, she lay paralyzed physically and mentally for a while. When she finally recovered, her literature seemed to show maturity that only such extreme experiences could bring. "Urisai modeun geosi" (우리사이 모든 것이 Everything Between Us) is a heart-rending story told in a form of letter addressed to her departed son. [1]
References
[1] http://anthony.sogang.ac.kr/klt/99summer/hahnmoosook.htm
[2[ https://eall.columbian.gwu.edu/hahn-moo-sook-colloquium
Su ficción abraza la pureza a través de la literatura. Mientras que muchos escritores coreanos desarrollaron el nihilismo o el existencialismo, ella retrató de forma cálida las alegrías humanas en vez de dejarse llevar por el pesimismo cínico. Trata desde temas universales como el amor y el sufrimiento hasta temas específicos de la historia de Corea, incluyendo el retrato de la angustiada generación que vivió la corta euforia democrática de la revolución del 19 de abril de 1960. Todas sus obras revelan su amplia gama de dotes literarias, como son la vívida descripción de las costumbres, el lenguaje preciso y la capacidad de expresar su interioridad.
Alors que de nombreux écrivains coréens se sont orientés vers le nihilisme ou l'existentialisme, Han Moo-sook s'est singularisée en rendant chaleureusement les joies humaines dans ses récits plutôt que de s'engager dans le pessimisme ou dans le cynisme. Ses thèmes englobent autant des thèmes universaux comme l'amour ou des thèmes relatifs au contexte coréen comme l'euphorie démocratique suscitée par la révolution du 19 avril 1960.
Han Moo-sook wurde am 25. Oktober 1918 in Seoul geboren und schloss 1937 die Pusan-Mädchenschule ab[2]. 1942 wurde ihre erste Erzählung Die Frau mit der Lampe (등불 드는 여인) im Magazin Neue Zeit (Sin saedae) veröffentlicht. Anschließend publizierte sie zwei Theaterstücke, Herz (마음) im Jahr 1943 und Frostblume (서리꽃) 1944. Im Jahr 1948 wurde Han Moo-sooks Roman Und so fließt Geschichte (역사는 흐른다) in der Tageszeitung Kukche Sinmun als Fortsetzungsroman abgedruckt. Han Moo-sooks Werke werden oft als Versuch gesehen, den Wert der Reinheit durch Literatur zu erfassen. In einer Zeit, in der die koreanische Literatur eingetaucht war in Nihilismus oder Existentialismus, machte sich Han Moo-sook einen Namen als Autorin, die danach strebte menschliche Freude und Probleme mit Wärme anstatt zynischem Pessimismus wiederzugeben. Die Themen, die sie anreißt, reichen von universellen Sachverhalten wie Liebe und Leiden bis hin zu Themen, die speziell auf die koreanische Gegenwart bezogen sind. So zum Beispiel die Qualen der Generation, die die kurze Demokratie-Euphorie der April-Revolution 1960 miterlebten. Alle ihre Werke spiegeln dabei durch die Anwendung von präziser Sprache, lebhafter Darstellung von Bräuchen und geschickter Abbildung des inneren Bewusstseins ihr literarisches Talent wider. Ihre erste Kurzgeschichtensammlung Mondring 월운 wurde 1956 veröffentlicht.[3] Han Moo-sook arbeitete in verschiedenen Positionen im Bereich Kultur und Literatur. So war sie zum Beispiel Direktorin des Koreanischen P.E.N. Club, des Koreanischen Nationalmuseums und der Vereinigung koreanischer Autorinnen[4]. Sie verstarb im Jahr 1993 [5]. Die Abteilung Ostasiatischer Sprachen und Literatur am Columbian College of Arts and Sciences der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veranstaltet seit 1995 jedes Jahr ein Han-Moo-sook-Kolloquium, das unter anderem von der Han-Moo-Sook-Stiftung in Seoul unterstützt wird.
雅号は香庭である。1918年、10月25日にソウルで生まれる。1936年、釜山高等女学校を卒業して、絵の才能があり、1937年東亜日報に挿画を描いたりした。国際ペンクラブ韓国本部の理事、韓国中央博物館会の理事、韓国女流文学人会の会長などを歴任した。彼女の作品世界は、純粋性を文学的に表現していると言える。これは、1950年代と1960年代には、多くの作家が実存的な悩みと虚無意識に没頭していることとは区別される。作家の関心領域もだんだん広くなって、因習の問題、恨み、愛と罪悪という普遍的な主題だけでなく、4‧19革命以降葛藤する階層の問題など現実的な問題まで扱って書いた。中心人物が経験した苦痛と葛藤について冷笑的ではなく、暖かい視線で見守ることがこの作家の特徴である。
한무숙(1918~1993)은 대한민국의 소설가다.
생애
한무숙은 1918년 서울 종로에서 태어나 부산 지역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어렸을 때는 미술에 관심이 많았다. 부산공립고등여학교를 졸업한 직후 김말봉의 연재소설 《밀림》의 삽화를 그리기도 했다. 1940년 결혼하면서 화가의 꿈을 접었다.
한무숙은 외국의 문학작품을 탐독(耽讀)했으며, 1943년 잡지 《신시대》의 장편소설 공모에 일본어 소설 《燈を持つ女 (등불 드는 여인)》이 당선되었다. 1948년 장편소설 《역사는 흐른다》가 국제신문 장편소설 모집에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한무숙은 조선 시대 양반가의 규율이 엄격했던 시부모의 집에서 어른들을 모시고 5남매를 키우며 창작활동을 했기 때문에 ‘규수(閨秀)작가’로 불리기도 했다. 이러한 별칭은 명문가의 딸, 며느리, 아내,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충실했던 한무숙의 삶과 그녀의 작품에 내포된 ‘구(舊)여성’적 면모를 동시에 가리킨다.
한무숙은 40여 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장편소설 5편, 중편소설 3편, 단편소설 38편, 수필 179편을 남길 정도로 많은 작품을 발표했다. 작가는 1962년부터 85년까지 국제 펜클럽 한국 본부 이사를 역임했고, 1986년 대한민국 예술원의 회원이 되었으며, 1991년에 출간한 장편소설 《만남》으로 대한민국 예술원 상을 수상했다. 1993년 74세로 사망했다.
작품 세계
한무숙은 문학적 주제와 소재의 관심이 넓고 다양한 작가다. 한국전쟁과 4.19 혁명 등 역사적, 현실적 사건들을 작품 속에 담아내면서도, 개인의 심리와 감정들을 세밀하게 담아낸 것이 특징이다. 작가는 전통적 소재와 역사적 인물을 작품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여성 인물의 감정과 심리를 재해석하면서 전통적 여성상을 탐구했다.
대표작인 〈감정이 있는 심연〉(1957)은 인간 심리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두드러진다. 어린 시절부터 ‘죄’에 대한 의식을 강요받으며 성장한 부유한 집안 출신의 주인공이 ‘죄악망상증’으로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주인공의 병은 여성에게 순결을 강요하는 사회적 압박 속에서 억압된 욕망이 결국 자기 파괴를 초래한 것으로 제시된다. 이처럼 한무숙의 소설은 개인의 감정이나 심리에 배경에 존재하는 역사적 맥락을 짚어냄으로써 ‘감정의 역사화’를 시도한다.
한무숙의 소설은 한국 여성들이 겪는 인습과 한, 사랑과 윤리의 문제를 다룰 뿐만 아니라 한국 현대사의 여러 사건들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통찰력을 보여준다. 또한 한무숙 소설 속의 인물들은 대체로 보수적이고 운명론적 세계관을 보여주며, 작가는 이들의 고통과 갈등을 따뜻한 시각으로 포용했지만, 같은 시기의 다른 작가들이 여성의 삶과 여성 주체의 목소리에 집중했던 것에 비해 한무숙은 관습적인 소재와 내용을 다루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주요 작품
1) 전집
《한무숙 문학전집》, 을유문화사, 1992 (전 10권)
2) 소설집
《월운》, 정음사, 1956
《감정이 있는 심연》, 현대문학사, 1957
《축제와 운명의 장소》, 휘문출판사, 1960
《우리 사이 모든 것이》, 문학사상사, 1976
《생인손》, 문학사상사, 1987
3) 장편소설
《역사는 흐른다》, 백양당, 1950
《빛의 계단》, 현대문학사, 1960
《만남 상/하》, 정음사, 1986
4) 수필집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신태양사, 1963
《이 외로운 만남의 축복》, 한국문학사, 1981
《내 마음에 뜬 달》, 스포츠 서울, 1990
《문학이 발견해야 할 삶의 은총》,한국소설가협회출판부, 2003
수상 내역
1973년 자유문학상
1986년 대한민국문화훈장
1986년 제 7회 대한민국 문학상
1989년 제 30회 3.1 문화상
1991년 제 36회 대한민국예술원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