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Kim Kirim (1908 - ?) is a Korean poet, literary critic, and literary theorist. In mid-1930s, he formed the Circle of Nine (Guinhoe, 구인회)[1] with leading modernists, including Yi Sang, Park Taewon, and Lee Hyo-seok. Under the conviction that literature should reflect the sentiments of the times, he contributed substantially to the establishment of Korean modernist literature in both theoretical and creative domains. He underscored intellectualism and formalism, criticizing sentimentalism and biases of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the country’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he showed commitment to helping build a new sovereign nation by calling for the engagement and involvement of the literary world.
Life
Overview
Kim was born in Haksung, North Hamgyeong Province, in 1908. He dropped out of Posung High School in Seoul and went to Tokyo to continue his studies in 1921. After graduating from Nihon University with a bachelor’s degree in literary arts in 1930, he returned to Korea and began working as a newspaper reporter. Then he went back to Japan in 1936 and earned a master’s degree in English literature with a thesis on I.A.Richards. He returned to Korea and resumed his job as a newspaper reporter, which he lost in 1940 as the newspaper was coercively discontinued. He went back to his hometown in 1942 and taught English and mathematics at a middle school.[2] Immediately after the country’s liberation, he fled to the South from Soviet Union occupied North Korea in 1946. He took part in progressive Chosun Writers’ Union (조선문학가동맹)[3] along with other neutral writers, including Jeong Ji-yong and Lee Tae-jun. Then, he withdrew from the union around the time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1948. It is presumed that he died in North Korea, to which he was kidnapped during the Korean War in 1950.[4]
Writing career and publications
Kim made his debut as a poet in 1930, publishing poem Gageora saeroun saenghwalro (가거라 새로운 생활로 Away to the New Life) while working as a newspaper reporter. In the following year, he started his career as a literary critic by publishing a short essay about intellectualism, Pieroui dokbaek (피에로의 독백 Pierrot’s Monologue).[5]
A founding member of the Circle of Nine (구인회), he played an active part as a modernist poet along with Lee Sang. He was at the forefront of introducing intellectualist literary with Choi Jai-sou and established his own literary theory based on Richards’s theory. His notable poetry collections include Gisangdo (기상도, The Weather Chart)(1936) and Taeyangui pungsok (태양의 풍속 Wind Speed of the Sun)(1939). He also wrote essay collection Badawa yukche (바다와 육체 The Sea and the Body)(1948) and theoretical publication Munhakgaeron (문학개론 Introduction to Literature)(1946). In 1988, Gimgirim jeonjip (김기림 전집 The Complete Collection of Kim Kirim) was published.[6]
Writing
Pre-liberation
Kim, a leader in the modernist literary circles in the 1930’s, moved faster than others in embracing the modernist theories of the West and established and applied his own theory into his works. He believed that Korean literature should aim to reach modernity in step with the progress in modern civilization. He argued that to this end, its focus should shift from excessive sentimentalism and content itself to intellectualism and form.[7]
In Gisangdo (1936), influenced by T.S. Eliot’s “The Waste Land,” Kim applied his own literary theory. It is a satire on modern civilization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unstable international circumstances in the 1930s to a situation where a typhoon was developing.[8] The work was highly regarded for his insight into Western literature and modern viewpoints, but, at the same time, faced criticism that it failed to capture reality of the time with preoccupation with techniques. The caustic criticism of Gisangdo triggered Kim’s self-reflection and theoretical change, leading him to create “total poetics” in the late 1930s, where balance between modernist techniques and critical social consciousness was pursued.[9]
Poetry collection Taeyangui pungsok (1939) represents Kim’s poetic style in the 1930s along with Gisangdo. In the preface, he says, “We should emulate the wind speed of the sun that is vigorous, bold, cheerful and sound while refraining from crying for no reason, attachment to the past that cannot be saved, immoderate sentimentalism, and lamentation.” This sentence reflects the essence of the modernist movement in poetry of the time, seeking to adopt Western literary techniques and express civilization-related sensibilities.[10] In title poem Taeyangui pungsok, he desires the moment of the sun eliminating darkness. His desire for the sun is a display of his will for the future, clearly revealing the move away from the conventional poetic tendencies in the 1930s.[11]
Post-liberation
After the country’s liberation, Kim sought to meet the demand of the time ̄the establishment of a new ethnic community. He published writings, highlighting the connection between literature and reality and calling for writers’ social engagement. This is not an abrupt change; it is an extension of his old theory, ‘total poetics’ in particular, where he argued poetry should deliver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is sense, the post-liberation era was the right time for him to put his conviction about the role of poets into practice.[12]
Saenorae (새노래 The Birdsong) (1948) is the poetry collection that represents his poetics at this time. Most poems in the collection portray the post-liberation realities with the joys of liberation and hopes for a new country. In Padosori hechigo (파도소리 헤치고 Getting through the roar of the waves), he declares that “the morning of once lost homeland” has arrived and calls on “brothers” to look at “the splendid morning and longed-for sun.”[13] At the end of the collection, he explains that he wanted to break away from a private lonely monologue and sing as one of the people who were shaping a new history. After liberation, he went beyond modernism and presented a new aim of a national community,[14] but some criticize that he was so carried away that he failed to remain realistic in understanding the trends of the time.[15]
Works
1) Complete Collection
《김기림 전집》 1-6, 심설당, 1988. / Gimgirim jeonjip 1-6 (The Complete Collection of Kim Kirim), Simseoldang, 1988.
박태상 편, 《원본 김기림 시전집》, 깊은샘, 2014 / Edited by Park Tae-sang, Wonbon gimgirim sijeonjip (The Original of Kim Kirim Poetry Collection), Gipeunsaem, 2014.
2) Anthology
김기림, 김유중 편, 《김기림 시선》,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 Edited by Kim Kirim and Kim Yu-jung, Gimgirim siseon (Kim Kirim Poetry Anthology), Zmanz, 2012.
김기림, 김유중 편, 《김기림 평론선집》, 지식을만드는지식, 2015. / Edited by Kim Kirim and Kim Yu-jung, Gimgirim pyeongronseonjip (Kim Kirim Criticism Anthology), Zmanz, 2015.
3) Critical Biographies
김학동, 《김기림 평전》, 새문사, 2001. /Kim Hak-dong, Gimgirim pyeongjeon (Critical Biography of Kim Kirim), Saemoonbook, 2001.
이숭원, 《김기림》, 한길사, 2008. / Lee Sung-won, Gimgirim (Kim Kirim), Hangilsa, 2008.
4) Poetry Collections
《기상도》, 창문사, 1936. / Gisangdo (The Weather Chart), Changmunsa, 1936
《태양의 풍속》, 학예사, 1939. / Taeyangui pungsok (Wind Speed of the Sun), Hakyesa, 1939.
《바다와 나비》, 신문화연구소, 1946. / Badawa nabi (The Sea and the Butterfly), Sinmunhwayeonguso, 1946.
《새노래》, 아문각, 1948. / Saenorae (The Birdsong), Amungak, 1948.
5) Theoretical Publications
《문학개론》, 신문화연구소, 1946. / Munhakgaeron (Introduction to Literature), Sinmunhwayeonguso, 1946.
《시론》, 백양당, 1947. / Siron (Poetics), Baekyangdang, 1947.
《시의 이해》, 을유문화사, 1950. / Siui ihae (Understanding Poetry), Eulyoo, 1950.
《문장론신강》, 민중서관, 1950. / Munhangronsingang (New Lecture on Syntax), Minjung, 1950.
6) Coterie Publication
유진호 외, 《학원과 정치》, 수도문화사, 1950. / Yu Jin-ho et al. Hakwongwa jeonchi (Academe and Politics), Sudomunhwa, 1950.
7) Essay Collection
《바다와 육체》, 평범사, 1948. / Badawa yukche (The Sea and the Body), Pyeongbeom, 1948.
8) Translations
John Arthur Thomson, Introduction to Science, 1911./ 《과학개론》, 김기림 역, 을유문화사, 1948.
Works in Translation
朝鮮文学の知性 金起林, 新幹社, 2009, 青柳優子.16)
References
(1) Notes
1) The Circle of Nine (구인회) is a friendly literary gathering formed in 1933. It was named after the number of the founding members ̄Kim Kirim, Lee Jong-myeong, Kim Yu-young, Lee Hyo-seok, Lee Moo-young, Yu Chi-jin, Lee Tae-jun, Jo Yong-man, and Jeong ji-yong. Members changed several times with Lee Hyo-seok and Yu Chi-jin leaving and Park Tae-won, Lee sang, Kim Yujeong joining, but the number of members always remained nine. In opposition to the Korea Artists Proletariat Federation (KAPF), a socialist literary group, they pursued purity in literature and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odernist literature.
Kwon Young-min, Unabridged Dictiona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6997&cid=60555&categoryId=60555
2)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820
3) Chosun Writers’ Union is a left-leaning literary society formed in Seoul in December 6, 1945. It was officially launched by holding Chosun Writers Congress in February 1946. Kim Kirim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union as the chairman of the poetry subcommittee and delivered a lecture on ‘directions on Korean poetry’ at the Congress.
“A Study on Kim Kirim’s Literary Activities and Ideolog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Kim Kirim and Lyuh Woon-hyung,”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48, 2016.
4)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wiki/김기림
5)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820
6) Kwon Young-min, Unabridged Dictiona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3202&cid=41708&categoryId=41737
7) Jang Seokju et al. I am Literature, Namuiyagi, 200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55820&cid=60538&categoryId=60538
8) Kang Jin-ho et al. Annotated Bibliograph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Ⅰ, Modern Literature Information Center,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5.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0550&docId=4353831&categoryId=63761
9) Jang Seokju et al. I am Literature, Namuiyagi, 200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55820&cid=60538&categoryId=60538
10)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8993
11)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1547
12) Kwon Young-min, Unabridged Dictiona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3202&cid=41708&categoryId=41737
13) Kwon Young-min, Unabridged Dictiona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4549&cid=41708&categoryId=41737
14)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820
15) Jang Seokju et al. I am Literature, Namuiyagi, 200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55820&cid=60538&categoryId=60538
16)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https://library.ltikorea.or.kr/node/11422
(2) See Also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Kim_Kirim
도입부
김기림(1908~미상)은 한국의 시인, 비평가, 문학이론가이다. 1930년대 중반 이상, 박태원, 이효석 등 대표적인 모더니스트들과 함께 구인회1)를 결성했다. 문학이 시대의 감수성을 표현해야 한다는 믿음 아래 이론과 창작 양 방면에서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확립에 크게 기여했다. 일제 강점기에는 문학의 감상주의와 내용 편향성을 비판하며 지성과 형식을 강조했고, 해방 이후에는 문학의 사회 참여를 강조하며 새로운 국가 건설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생애
간략한 생애
1908년 함경북도 학성에서 태어났다. 1921년 서울 보성고보를 중퇴하고 도쿄에서 유학했다. 1930년 니혼대학 문학예술과를 졸업한 뒤 조선으로 돌아와 신문 기자로 일했다. 1936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도호쿠대학 영문과에서 리처즈(I.A.Richards)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39년 귀국하여 신문 기자로 복직하였으나 1940년 신문사가 강제 폐간되어 직업을 잃었다. 1942년 고향으로 돌아가 근처의 중학교에서 영어와 수학을 가르쳤다.2) 해방 직후 소련이 점령한 북한을 떠나 1946년 남한으로 넘어왔다. 정지용, 이태준 등 많은 중간파 문인들처럼 진보적 성향의 조선문학가동맹3)에 가담해서 활동하다가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전후해 탈퇴했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납북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4)
주요 활동 및 저서
1930년 기자로 일하던 중 시 〈가거라 새로운 생활로〉를 발표하면서 시인으로 데뷔하였다. 이듬해에는 주지주의에 관한 단상인 〈피에로의 독백〉 등을 발표하면서 문학 평론에도 뛰어들었다.5) 1933년 구인회 결성에 참여하고 이상(李箱)과 더불어 대표적인 모더니즘 시인으로 활약하였다. 또한 최재서 등과 함께 주지주의 문학을 앞장서서 소개하였으며, 리처즈의 이론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문학 이론을 정립하였다. 주요 시집으로 《기상도》(1936), 《태양의 풍속》(1939) 등이 있으며, 그밖에 수필집 《바다와 육체》(1948)와 평론집 《문학개론》(1946) 등의 저서가 있다. 1988년 《김기림 전집》이 간행되었다.6)
작품세계
해방 이전
김기림은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기수로서 서구의 모더니즘 이론을 앞장서서 수용하였을 뿐 아니라 자신만의 문학 이론을 창안하고 이를 창작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그는 근대 문명의 발달에 발맞추어 한국 문학 또한 근대성의 성취를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지나치게 감상적이고 작품의 내용을 중시하는 경향으로부터 벗어나 지성과 형식을 중시해야 한다는 것이 김기림의 관점이었다.7)
T.S. 엘리엇의 《황무지》의 영향을 받은 《기상도》(1936)는 김기림이 자신의 문학 이론을 창작에 적용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김기림은 1930년대의 불안한 국제 정세를 태풍이 몰려오는 상황에 빗대며 현대 문명을 풍자한다.8) 《기상도》는 발표 당시 서구문학에 대한 교양과 현대적인 감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기교에 함몰되어 현실을 총체적으로 담아내지 못했다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기상도》에 대한 신랄한 비판은 김기림의 자기 성찰과 이론적 변화를 촉발해, 1930년대 후반 모더니즘 기법과 비판적 사회의식의 균형을 추구하는 ‘전체시론’의 창안으로 이어진다.9)
《태양의 풍속》(1939)은 《기상도》와 더불어 1930년대 김기림의 시 세계를 대표하는 시집이다. 이 시집의 서문에서 김기림은 “까닭모를 울음, 과거에의 구원할 수 없는 애착, 무절제한 감상(感傷), 탄식 등을 배제하고 활발하며 대담하고 명랑, 건강한 태양의 풍속을 배우자”고 쓴다. 이는 서구 현대문학의 기법을 도입하고 문명에 대한 감수성을 표현하고자 했던 당대 모더니즘 시 운동의 정신을 고스란히 반영한 것이다.10) 표제작 〈태양의 풍속〉에서 시인은 태양이 어둠을 몰아낼 순간을 열망한다. 태양을 향한 시인의 희구는 새로운 미래를 향한 의지를 표출한 것으로, 과거의 시적 경향과 결별하고자 했던 1930년대 시의 면모를 확연히 드러낸다.11)
해방 이후
해방 이후 김기림은 새로운 민족 공동체의 건설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적극적으로 부응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문학과 현실의 연관성을 강조하고 문학인의 사회 참여를 주장하는 글을 발표했는데, 이것은 돌연한 변화가 아니라 시가 시대 정신을 전달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종래의 이론, 특히 전체시론과 이어지는 주장이다. 해방 직후는 시인의 역할에 대한 그의 신념을 실천으로 옮기기에 적합한 무대였던 셈이다.12)
《새노래》(1948)는 이 시기 김기림의 시론이 반영된 시집이다. 시집에 수록된 대부분의 작품들은 해방 이후의 시대 상황을 주요 소재로 삼고 있으며, 해방에 대한 감격과 새로 건설될 국가에 대한 희망으로 가득 차 있다. 〈파도소리 헤치고〉에서 시인은 “잃어버렸던 조국의 아침”이 도래했음을 선언하며 “형제들”로 하여금 “화려한 아침/고대하던 태양”을 바라보도록 촉구한다.13) 시집의 끝부분에서 김기림은 개인의 고독한 독백에서 벗어나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가는 민족의 일원으로서 노래하고 싶었다고 창작 동기를 밝힌다. 해방 이후 김기림은 모더니즘의 한계를 벗어나 민족 공동체라는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했지만,14) 격정에 치우쳐 당대 현실의 흐름을 냉철하게 파악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다.15)
주요작품
1) 전집
《김기림 전집》 1-6, 심설당, 1988.
박태상 편, 《원본 김기림 시전집》, 깊은샘, 2014.
2) 선집
김기림, 김유중 편, 《김기림 시선》,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김기림, 김유중 편, 《김기림 평론선집》, 지식을만드는지식, 2015.
3) 평전
김학동, 《김기림 평전》, 새문사, 2001.
이숭원, 《김기림》, 한길사, 2008.
4) 시집
《기상도》, 창문사, 1936.
《태양의 풍속》, 학예사, 1939.
《바다와 나비》, 신문화연구소, 1946.
《새노래》, 아문각, 1948.
5) 연구서 및 이론서
《문학개론》, 신문화연구소, 1946.
《시론》, 백양당, 1947.
《시의 이해》, 을유문화사, 1950.
《문장론신강》, 민중서관, 1950.
6) 동인 공동단행본
유진호 외, 《학원과 정치》, 수도문화사, 1950.
7) 수필집
《바다와 육체》, 평범사, 1948.
8) 번역서
John Arthur Thomson, 김기림 역, 《과학개론》, 을유문화사, 1948.
번역된 작품
Japanese, 朝鮮文学の知性 金起林, 新幹社, 2009, 青柳優子.16)
참고문헌
(1) 후주
1) 구인회는 1933년 작가들이 결성한 문학 친목 모임이다. 발족 당시 김기림, 이종명, 김유영, 이효석, 이무영, 유치진, 이태준, 조용만, 정지용 등 9명이 참여하여 ‘구인회(九人會)’라고 이름 붙었다. 이후 이효석, 유치진 등이 빠지고 박태원, 이상, 김유정 등이 새로 합류하였으나 언제나 9명의 인원수가 유지되었다. 사회주의 문학단체인 KAPF(Korea Artists Proletariat Federation)에 반대하여 문학의 순수성을 추구하였으며 모더니즘 문학의 확립에 크게 기여하였다.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6997&cid=60555&categoryId=60555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820
3) 조선문학가동맹은 1945년 12월 6일 서울에서 결성된 좌익 계열의 문학 단체이다. 1946년 2월 조선문학자대회를 개최하면서 정식으로 출범하였다. 김기림은 조선문학가동맹의 시분과위원장을 맡는 등 핵심 인물로 활동하였으며 조선문학자대회에서 ‘우리 시의 방향’이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하기도 했다.
김유중, 〈해방기 김기림의 문학 활동과 이념 노선에 대한 일 고찰-김기림과 여운형〉, 《한국현대문학연구》 48, 2016.
4)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김기림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820
6)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3202&cid=41708&categoryId=41737
7) 장석주 외, 《나는 문학이다》, 나무이야기, 200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55820&cid=60538&categoryId=60538
8) 강진호 외, 《한국 근대문학 해제집 Ⅰ-단행본》, 국립중앙도서관 근대문학정보센터, 2015.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0550&docId=4353831&categoryId=63761
9) 장석주 외, 《나는 문학이다》, 나무이야기, 200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55820&cid=60538&categoryId=60538
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8993
1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1547
12)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3202&cid=41708&categoryId=41737
13)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4549&cid=41708&categoryId=41737
1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820
15) 장석주 외, 《나는 문학이다》, 나무이야기, 200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55820&cid=60538&categoryId=60538
16) [한국문학번역원] 전자도서관 번역서지정보 https://library.ltikorea.or.kr/node/11422
(2) 기타 참고 자료
위키피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Kim_Kir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