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입부
이영광(1965년 ~ )은 대한민국의 시인, 교육자이다. 1965년 경상북도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2008년 제8회 「노작문학상」, 2011년 제11회 「지훈상」(문학 부문), 제11회 「미당문학상」을 수상했다. 삶의 비애를 정교한 언어로 묘사하면서도 절망에 머무르지 않고 다시금 살아갈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서정적으로 그려내는 시인이다. 2015년부터 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 생애
이영광(1965년 ~ )은 대한민국의 시인, 교육자이다. 1965년 경상북도 의성에서 태어나 안동에서 자랐다. 1986년에 친구와 동해를 가서 술을 먹다가 문득 시가 튀어나왔다고 한다. 1988년 <문예중앙>에 「빙폭」 등 10편의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고려대학교 영문과(학사)를 졸업했고 동 대학 국문과에서 서정주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신문에 오랫동안 글을 연재했고, 연재글을 모아 『홀림 떨림 울림』(나남, 2013)을 출간한 적도 있다. 2008년 제8회 「노작문학상」, 2011년 제11회 「지훈상」(문학 부문), 제11회 「미당문학상」을 수상했다. 2015년부터 모교 미디어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6년 서울국제작가축제에 참여했다.
3. 작품세계
이영광은 첫 시집 『직선 위에서 떨다』에서 강렬한 고통을 감내하는 청년의 고뇌를 문학으로 승화시키려 했다. 그의 시에는 옛것 혹은 폐허에 대한 슬픔이 짙게 배어 있었다. 이는 유년의 체험과도 무관하지 않겠지만 “궁핍한 삶의 소산”이라고 문학평론가 황현산은 해석한다. 그에 따르면 이영광은 오늘날의 세상에 무엇인가가 결여되어 있다고 느끼고, 자신이 그런 ‘궁핍한 시대’에 방치되어 있다는 자각을 가지고 있다. 시인은 세상을 불확실한 공간으로 여기면서도 그것을 넘어선 확실한 것을 찾아내고자 한다. 시집의 표제작 「직선 위에서 떨다」에서 “너무 단호하여 나를 꿰뚫었던 길”을 보고, 그 길이 “긁힌 한 인생을/엎드려 받아주고 있”다는 진술은, 시인이 명확한 ‘길’을 찾으려 노력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이영광의 두 번째 시집 <그늘과 사귀다>에는 죽음에 대한 인식이 드러나 있다. 그는 죽음을 성찰함으로써 삶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그는 장례나 제사 의식을 상세하게 묘사함으로써, 죽은 자와 산 자의 삶과 겹쳐지는 방식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시인은 전통적인 삶에서 상례의 절차와 상징적 의미 속에 죽음과 삶이 통합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죽음에 대한 시인의 관심은 세 번째 시집 <아픈 천국>까지 이어졌다. 다만 여기에서 죽음에 대한 인식은 시인으로 하여금 자유롭고 충만하게 살아갈 의지를 가다듬을 계기로 드러났다. 그의 최근 시집 <나무는 간다>에는 사회적인 문제에 관한 관심이 드러나 있다. 이전의 시집에서 ‘죽음’이 삶을 돌아보게 만드는 계기로 그려졌다면, <나무는 있다>에서는 사회적 부조리 때문에 억울하게 죽은 이들의 이야기로 집약된다. 시인은 특유의 감각으로 무고한 죽음을 낳는 참혹한 현실을 직시하고, 모순덩어리의 사회를 매섭게 질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영광의 시가 사회비판을 넘어서는 것은, 그런 죽음을 똑바로 바라봄으로써 새로운 희망을 피워낼 수 있으리라는 믿음을 피력하기 때문에 다다를 수 있는 시적 경지이다.
4. 주요 작품
시집
1. <직선 위에서 떨다>, 창작과 비평, 2003
2. <그늘과 사귀다>, 랜덤하우스 코리아, 2007
3. <아픈 천국>, 창비, 2010
4. <나무는 간다>, 창비, 2013
기타
1. <시름과 경이> 천년의 시작, 2012
2. <홀림 떨림 울림>, 나남출판, 2013
5. 수상 내역
1. 2008, 노작문학상
2. 2011, 지훈상 문학부문
3. 2011, 미당문학상
6. 같이 보기
1. 신형철, <느낌의 공동체>, 2011.
2. 장석주, <행복은 누추하고 불행은 찬란하다>, 2016
7. 주석
네이버 인물검색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이영광&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246114
한국현대문학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5559&cid=41708&categoryId=41737
한국현대문학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5559&cid=41708&categoryId=41737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6226491
http://book.naver.com/search/search.nhn?query=이영광&frameFilterType=1&frameFilterValue=5000022114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이영광&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246114
Lee Yeong-gwang
Intro
Lee Yeong-gwang (born 1965) is a South Korean poet and educator. He was born in 1965 in Gyeongsangbuk-do. He graduated from Korea University’s graduate school. He has won the 8th Nojak Literature Prize in 2008, the 11th Jihoon Prize (Literature Prize) in 2011, and the 11th Midang Literary Award in the same year. He is a poet who depicts life’s sadness in elaborate language, but does not dwell in despair, and lyrically shows the image of gaining the will for starting life again. He has been a creative writing professor at Korea University since 2015.
Life
Lee Yeong-gwang (born 1965) is a South Korean poet and educator. He was born in 1965 in Uiseong, Gyeongsangbuk-do, and grew up in Andong. According to him, in 1986, when he went to the East Sea with his friend and was drinking, poetry suddenly came out. He began his literary career with publishing 10 poems including “Bingpok” (빙폭 Glacier Fall) in 1988 on Joongang Literary Journal. He graduated from Korea University in English literature (bachelor’s), and he earned a doctorate degree from Korea University in Korean literature with a thesis on So Chong-ju. He serialized his writing on newspapers for a long time, and he has also collected the writing he had serialized into Holim tteolim ulim (홀림 떨림 울림 Possession Vibration Reverberation) (Nanam, 2013). He has won the 8th Nojak Literature Prize in 2008, the 11th Jihoon Prize (Literature Prize) in 2011, and the 11th Midang Literary Award in the same year. He has been a creative writing professor in media at Korea University since 2015. He participated in the 2016 Seoul International Writer’s Festival.
Writing
In his first poetry collection, Jikseon wi-eseo tteolda (직선 위에서 떨다 Shivering Atop a Straight Line) , Lee Yeong-gwang attempted to turn the agony of youth that endures great pain into literature. His poetry is thick with sadness for old things or ruins. Though this isn’t unrelated to his experiences during adolescence, literary critic Hwang Hyeon-san has said that this is “a result of poverty ridden life”. According to him, Lee Yeong-gwang feels that today’s world lacks something, and that he is conscious of how he is left for himself in this ‘age of poverty’. The poet, though he considers the world as an uncertain place, attempts to overcome that and find something certain. In the title piece of the collection, “Jikseon wi-eseo tteolda” (직선 위에서 떨다 Shivering Atop a Straight Line) he writes that he saw “a road so decisive that it saw right through me”, and that road is “supporting with all its body a scratched life”. This shows that the poet is attempting to find that definite ‘road’.
In his second poetry collection, Geuneulgwa sagwida (그늘과 사귀다 Making Friends with the Shade), his understanding of death is evident. He examines death, and thereby throws questions on life. He describes funerals and memorial rituals in detail, studying how the lives of the dead and the living overlap. Through this, the poet shows that within the process of funeral rites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raditional life, there is an integration of life and death.
The poet’s interest on death continued toward the third poetry collection Apeun cheonguk (아픈 천국 The Sick Heaven). However, here his understanding of death became an occasion for the poet to compose his will to live on freely and fully. His most recent poetry collection Namuneun ganda (나무는 간다 The Tree is Going), his interest in social issues is evident. If his past collection was depicted as an occasion for him to look back on life by the way of ‘death’, Namuneun ganda (나무는 간다 The Tree is Going) is a story of those that have died wrongly due to social injustice. With his unique sensibility, he faces the cruel reality that gives rise to unjust deaths, and fiercely rebukes society filled with contradiction. Despite that, Lee Yeong-gwang’s poetry is on another level than simple social criticism. That is because by directly looking at death, he expresses faith for nurturing new hope, placing his work at a higher level of poetry.
Works
Poetry Collections
1. Jikseon wi-eseo tteolda (직선 위에서 떨다 Shivering Atop a Straight Line), Changbi, 2003.
2. Geuneulgwa sagwida (그늘과 사귀다 Making Friends with the Shade), Random House Korea, 2007.
3. Apeun cheonguk (아픈 천국 The Sick Heaven), Changbi, 2010.
4. Namuneun ganda (나무는 간다 The Tree is Going), Changbi, 2013.
Miscellaneous
1. Sireumgwa gyeongi (시름과 경이 Anxiety and Woner), Cheonnyeonui sijak, 2012.
2.Holim tteolim ulim (홀림 떨림 울림 Possession Vibration Reverberation) Nanam, 2013.
Awards
2008 Nojak Literature Prize
2011 Jihoon Prize (Literature Prize)
2011 Midang Literary Award
Further Reading
신형철, <느낌의 공동체>, 2011.
Shin, Hyeongcheol, A Union of Feelings, 2011.
장석주, <행복은 누추하고 불행은 찬란하다>, 2016
Jang, Seokju, Happiness is Humble and Unhappiness is splendid, 2016.
References
네이버 인물검색
Naver People Search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이영광&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246114
한국현대문학사전
The Encyclopedia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5559&cid=41708&categoryId=41737
한국현대문학사전
The Encyclopedia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5559&cid=41708&categoryId=41737
중앙일보
Joongang Ilbo
http://news.joins.com/article/6226491
http://book.naver.com/search/search.nhn?query=이영광&frameFilterType=1&frameFilterValue=5000022114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이영광&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246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