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Mah Chonggi(마종기)

Writer default image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Mah Chonggi
Family Name
Mah
First Name
Chonggi
Middle Name
-
Preferred Name
-
Pen Name
Ma Jonggi, Ma Jonggi, Mah Chong-gi
ISNI
0000000023479334
Birth
1939
Death
-
Occupation
Poe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Spanish(Español)
  • French(Français)
  • German(Deutsch)
  • Japanese(日本語)
  • Korean(한국어)

Mah Chonggi (born 1939) is a Korean poet. 


Life

Mah was born in Tokyo, Japan on January 17, 1939. He studied medicine at Yonsei University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59, as a third-year medical student at Yonsei University, he made his literary debut publishing the poems "Haebuhak gyosil" (해부학 교실 Anatomy Lab) and "Nado kkocheuro seoseo" (나도 꽃으로 서서 Standing as a Flower) in Hyundae Munhak magazine.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Joyonghan gaeseon (조용한 개선 Quiet Triumph), was published in 1960. 

After finishing his graduate research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66, he went to the United States. He taught at Ohio State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practiced radiology in Toledo, Ohio. Throughout his medical career, he continued to compose and publish poetry in Korean, including the collections Pyeonggyunyul 1 (평균율 1 Well-Tempered Clavier 1) and Pyeonggyunyul 2 (평균율 2 Well-Tempered Clavier 2) with fellow poets Kim Youngtae and Hwang Tong-gyu.

Since his retirement from teaching and medical practice in 2002, he has divided his time between Florida and Seoul. In Korea, he regularly lectures on ‘literature and medicine’ as a visiting professor at the medical school of Yonsei University, his alma mater.


Writing

The major themes in the poems of Mah are his experience as a doctor and his life abroad in Japan and especially America. The pieces marked by his medical experiences express profound compassion and hope for the ability of love to negate pain. His works dealing with life in foreign countries tend to be more complex in tone; in them he writes of his recollections of his life in Korea and the various conflicting feelings: intense patriotism, love and anger toward his fellow Koreans, and shame that stems from his reflections on his homeland. Both themes ultimately inspire the same compassion for humanity, whether for the suffering or for the uprooted, and attain a universality that has become Mah's trademark. As Mah has written: 


"Since I have always believed that literature is a matter of sharing, I hope that it will continue to be loved by many in this world so full of constant wars and slaughter. Having spent much of my life as a doctor, I have always been in close touch with life. Naturally, then, the main topic of my poetry has been life. Human life is always searching for hope and love; I have written poems and accepted the trivial pains I suffered as I did so.

"I agree with those who say that every life, despite outward appearances, bears a similarly heavy burden. But while agreeing that we all have to bear heavy burdens, I also recall that the pain caused by a slightly crooked back is almost a hallmark of love. Accepting that, I continue my pilgrimage through this world in search of love." [1]



References

[1] http://anthony.sogang.ac.kr/MaJongGi.htm

 


Los temas principales en sus poemas son sus experiencias como doctor y su vida en Japón y especialmente en Estados Unidos. Los poemas que tratan de sus experiencias médicas, expresan una profunda compasión y esperanza por la capacidad del amor de anular el dolor. Los que tratan de su vida en el extranjero son más complejas en tono. En ellas escribe las memorias de su vida en Corea y varios sentimientos encontrados: intenso patriotismo, amor y enfado hacia sus compatriotas, al mismo tiempo que vergüenza por el resultado de sus reflexiones sobre su patria. Ambos temas terminan por inspirar la misma compasión por la humanidad, ya sea por el sufrimiento o por el desarraigo, y alcanza una universalidad que es la marca distintiva de su obra.3

 

Les principaux thèmes abordés dans les poèmes de Ma Chong-gi sont des thèmes liées à son expérience en tant que médecin et sa vie à l'étranger, au Japon et plus particulièrement aux États-Unis. Ces récits expriment une profonde compassion et de l'espoir pour la capacité de l'amour à surmonter toute forme de douleur. Ses œuvres traitant de la vie dans les pays étrangers ont tendance à être plus complexes au niveau de la thématique : il y évoque ses souvenirs de sa vie en Corée et les divers sentiments contradictoires qui le traversent --, patriotisme intense, affection et colère envers ses concitoyens coréens, et les remords qui découlent de ses réflexions sur sa terre natale. Les deux registres, finalement, inspirent la même compassion pour l'humanité, que ce soit pour ceux qui souffrent ou pour les déracinés. Tous ces récits visent une certaine universalité, caractéristique qui est devenue la marque de fabrique du poète1.

 

Mah Chonggi wurde am 17. Januar 1939 in Tokio, Japan geboren. Er machte seinen Abschluss in Medizin an der Yonsei University und der Seoul National University. Nachdem er 1966 seine Forschungen in Korea abgeschlossen hatte, ging er in die USA. Er unterrichtet dort an der Fakultät für Medizin der Ohio State University und arbeitete als Radiologe in Toledo, Ohio. 2002 zog er sich dann vollkommen aus der Medizin und von professioneller Beschäftigung zurück und widmete seine Aufmerksamkeit voll und ganz dem Schreiben von Poesie.

Die Hauptthemen seiner Gedichte sind seine Erfahrungen als Doktor und sein Leben in Japan und vor allem den USA. Die Werke, die einen medizinischen Hintergrund haben, drücken die Hoffnung aus, dass Liebe die Fähigkeit erlange Schmerz zu negieren. Die Werke, die sein Leben im Ausland als Hintergrund haben, sind meist in einer weitaus komplexeren Tonart geschrieben. Sie handeln von verschiedenen widersprüchlichen Gefühlen wie Patriotismus, Liebe und Wut gegenüber anderen Koreanern und Scham, die in den Betrachtungen seines Heimatlandes wurzelt. Beide Themen weisen jedoch das gleiche Mitgefühl für die Menschheit auf, egal ob aufgrund von deren Leiden oder Entwurzelung, und erreicht eine Universalität, die zu Mahs Markenzeichen wurde.[3]

 

1939年1月17日、東京で生まれる。児童文学家である馬海松の息子。ソウル高等学校を経て、延世大学校の医学部を卒業した。1966年、大学院を修了して医学研究のために、アメリカに渡りそこで文筆活動を始めた。
1959年には、『現代文学』に「解剖学の教室」などを書いて登壇した。それから、「協奏曲」、「印象」、「精神科病棟」、「第三の講義室」などの詩を発表した。
金栄泰、黄東奎の3人の詩集である『平均律』(1968)、『平均律2』(1972)などを出版した。1976年には、韓国文学作家賞を受賞した。彼は、医師としての体験と外国での生活に基づいた作品を発表し、人間への愛情のこもった洞察と洗練された言語が評価をうけている。

 

마종기(1939~)는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생애

마종기는 1939년 일본의 동경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아동문학가인 마해송이며, 어머니는 한국여성 최초의 서양무용가인 박외선이다. 이러한 부모로부터 문학적 자질을 물려받았으며 어릴 적부터 문화적 환경 속에서 자라났다. 서울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시인은 1959년 시 〈해부학교실〉 등으로 《현대문학》에 추천을 받아 등단한 이후 1960년 첫 시집 《조용한 개선》을 출간하였다. 

1966년 의학 연구차 미국으로 건너가 그곳에서 생활하면서 작품 활동을 하였다. 1968년에는 김영태, 황동규와 함께 3인 시집 《평균율 1》을, 1972년에는 《평균율 2》를 출간하였다. 미국 오하이오주 데이턴시의 마이매미 밸리 병원, 오하이오 의과대학 방사선과 조교수, 오하이오 의대 소아과 임상 정교수 등을 역임하였고, 오하이오 아동병원 초대 부원장 겸 방사선과 과장으로 지내다 퇴임했다. 


작품 세계 

마종기는 삶과 죽음, 이별 그리고 의사로서의 생활과 이민자로서의 삶을 시의 주제로 삼아왔다. 시인은 돌아갈 곳이 없는 타국에서의 외롭고 쓸쓸한 삶 그리고 가족에 대한 그리움, 소박한 일상에 대한 애틋함을 따뜻하고 아름다운 언어로 기록해왔다. 

《조용한 개선》(1960)은 인간이 질병과 죽음으로 인해 겪게 되는 고통을 의사로서의 체험을 바탕으로 그린 시인의 첫 시집이다. 시적 형상화의 방법이나 시적 긴장의 측면에서 한계를 지닌 시집이지만 극한의 상황에 놓인 인간의 모습을 직설적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인상적인 작품집이라고 할 수 있다. 

《이슬의 눈》(1997)과 《새들의 꿈에서는 나무 냄새가 난다》(2002)에서 시인은 죽은 동생을 그리워하는 마음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이국에서의 외로움 삶을 형상화하고 있다. 두 시집은 시인의 시적 토대라고 할 수 있는 죽음과 이별이라는 주제를 핍진한 언어로 표현하고, 타지 생활의 어려움을 직접 토로하기보다는 그리운 대상들을 호명하는 것으로 슬픔을 대신하고 있다.

《우리는 서로 부르고 있는 것일까》(2006)는 시인이 서울, 남해와 다도해, 베트남, 네팔, 몬태나 평원, 앨래스카, 포르투갈을 여행하며 마주한 자연을 그렸고, 《하늘의 맨살》(2010)은 돌아갈 곳이 없는 상황에 처한 시적 화자의 내면을 주제로 삼은 시집이다. 

《마흔두 개의 초록》(2015)은 죽음과 희망을 동시에 성찰한 51편의 시들을 묶은 시집이다. 시인은 상실의 아픔과 고통, 죽음이라는 운명을 벗어날 수 없지만 사랑이라는 가능성을 강조하고 있다. 

《천사의 탄식》(2020)은 시인이 자신의 지나온 삶에 대한 그리움과 회한, 그리고 소박한 기쁨을 주제로 삼은 시편들을 묶어서 출간한 시집이다. 시인 특유의 쓸쓸하지만 아름다운 시선으로 자신의 시적 출발점에 대해 담담하게 기록하고 있다. 


주요 작품 

1) 전집

《마종기 시전집》, 문학과지성사, 1999.


2) 시집

《조용한 개선》, 부민문화사, 1960.   

《두 번째 겨울》, 부민문화사, 1965. 

《변경의 꽃》, 지식산업사, 1976.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 문학과지성사. 1980., 

《모여서 사는 것이 어디 갈대들뿐이랴》, 문학과지성사, 1986. 

《그 나라 하늘빛》, 문학과지성사. 1991. 

《이슬의 눈》, 문학과지성사, 1997. 

《새들의 꿈에서는 나무 냄새가 난다》, 문학과지성사, 2002.

《우리는 서로 부르고 있는 것일까》, 문학과지성사, 2006.

《하늘의 맨살》, 문학과지성사, 2010.

《마흔두 개의 초록》, 문학과지성사, 2015.

《천사의 탄식》, 문학과지성사, 2020.


3) 산문집

《별, 아직 끝나지 않은 기쁨》, 문이당, 2003.

《우리 얼마나 함께》, 달, 2013.

《아름다움, 그 숨은 숨결》, 앤드, 2021.


수상 내역

1976년 한국문학작가상

1989년 제1회 미주문학상 

1997년 제7회 편운문학상 

1997년 제9회 이산문학상

2009년 제54회 현대문학상

2015년 제23회 대산문학상

2021년 제24회 카톨릭문학상



Original Works10 See More

Translated Books11 See More

E-news9 Se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