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n Dong-ju (1917–1945) was a Korean poet.
Life
Yun Dong-ju was a Korean poet born in Jilin, China, who was known for his lyric poetry as well as his resistance poems during Japan's occupation of Korea. After studying at Myeongdong School, he moved to Pyongyang and studied at Soongsil Middle School (now Soongsil University in Seoul). He later moved to Seoul and attended Yonhi College (now Yonsei University).
In 1939, his second year at Yonhi College, he published the poems "Yueon" (유언 His Last Words) and "Auui insanghwa" (아우의 인상화 An Impressionist Painting of My Younger Brother) in the Chosun Ilbo, and "Sanullim" (산울림 An Echo in the Mountain) in Sonyeon magazine. He pursued his studies in Japan, entering Kyoto Doshisha University in 1942, but was arrested by the Japanese police for alleged anti-Japanese movements in 1943. While imprisoned in Fukuoka, he died at the age of 27, leaving over 100 poems. His cause of death is uncertain, but theories have been raised based on accounts of saltwater injections and medical experiments performed at that prison. Yun's poetry collection, Haneulgwa baramgwa byeolgwa si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Sky, Wind and Stars), was published posthumously in 1948. With the appearance of this volume Yun came into the spotlight as a resistance poet of the late occupation period.
In November 1968, Yonsei University endowed the Yun Dong-ju Poetry Prize. In 2007, Yun was listed by the Korean Poets' Association among the ten most important modern Korean poets. Sky, Wind, and Stars has been published in the US, France, Spain, Russia, China, and Japan.
Writing
Yun Dong-ju’s unique poetic voice arises from what might be called the “aesthetics of shame.” A product of honest self-evaluation and relentless inquiry regarding the values one must defend against corruption, his poetry reveals a self striving toward fulfillment by overcoming inner conflict. It is from the honesty of such self-examination that the note of dissident protest begins, even though some scholars have also argued that the poet’s Christian, nationalist background lies at the root of his poetics.
To Yun, Japanese colonization was a tragic force that barred the colonized from achieving full subjectivity. Crippled and humiliated, the colonized consciousness might wish to turn its eyes away from itself, but Yun Dong-ju’s poetry makes clear that it is through unsparing self-examination that one might achieve a conscience adapted to the times.[1]
"Salmgwa jugeum" (삶과 죽음 Life and Death) is representative of the poems dating from 1934 to 1936, his period of literary apprenticeship. It describes the conflict between life and death, or light and darkness, but its poetic framework is more or less crude. From 1937 onwards, however, his poems reveal ruthless introspection and anxiety about the dark realities of the times. His best-known works such as "Seosi" (서시 Foreword), "Jahwasang" (자화상 Self-Portrait), and "Byeol heneun bam" (별 헤는 밤 One Night I Count the Stars) from this later period reach clear literary fruition in terms of their reflection on the inner self and their recognition of nationalist realities, as embodied in the poet's own experiences. In particular, they evince a steely spirit that attempts to overcome anxiety, loneliness, and despair and to surmount contemporary realities through hope and courage.
The final years of Japanese rule in Korea witnessed unprecedented levels of oppression as Japan embarked on mobilization for its military campaign in the Pacific. Korean men were drafted into the army or conscripted as forced labor, while the ideology of imperial wholeness under the advent of military fascism sought to erase all traces of Korea’s separate identity by targeting its language, heritage and culture. It was during this period that Yun Dong-ju wrote his poems of protest, giving voice to the internalized agonies of the colonized consciousness.
References
[1] Yi, Nam-Ho, et al. Twentieth Century Korean Literature. Eastbridge Books, An Imprint Of Camphor Press, 2005. p.27-28
L'Institut coréen de traduction littéraire (LTI of Korea) résume son œuvre de cette manière :
La poésie de Yun est d'abord remarquable par le caractère innocent de ses personnages, une sensibilité profonde par rapport au sentiment d'abandon et au départ de la terre natale. Il développe tout au long de son œuvre un caractère original et mystérieux dû notamment à son sentiment de culpabilité face à son inadaptation au monde réel et aux réalités sociales de son époque. La vie et la mort (Samgwa jugeum) est représentatif de ses poèmes datant de 1934 à 1936, sa période d'apprentissage littéraire. Il décrit le conflit entre la vie et la mort, entre la lumière et l'obscurité, mais sa prose poétique reste le plus souvent trop dépouillée. À partir de 1937, sa poésie révèle un travail d'introspection implacable et une certaine anxiété envers la dure réalité de son époque. Ses poèmes suivants révèlent la maturité du poète par la mise en poésie de ses propres expériences et par son regard sur les réalités nationalistes de l'époque. Son œuvre part ainsi d'un sentiment de désespoir, d'anxiété, de solitude pour se diriger progressivement vers un message de courage et d'espoir face aux profonds changements sociaux de l'époque4.
윤동주(1917~1945)는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생애
윤동주는 1917년 만주 북간도의 명동촌에서 태어났다.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나 어릴 때 세례를 받았다. 1925년 명동 소학교에 입학했으며 5학년이 되던 1929년에 동기들과 함께 《새명동》을 편집, 발간하기도 했다. 1931년에 만주사변이 일어나고 일대가 혼란해지자 용정으로 이사를 했으며 이듬해부터 용정에 있는 은진중학교를 다녔다.
1935년 평양의 숭실중학교에 편입하였으나 학교의 교장이었던 선교사 윤산온이 신사참배를 거부한 사건으로 인해 학교가 무기한 휴교에 들어갔다. 윤동주는 이 시기 동시를 포함하여 15편의 시를 썼고, 그 중 시 〈공상〉은 숭실중학교에서 발행하던 잡지 《숭실활천》에 실렸다. 무기휴교 이후 용정으로 돌아온 윤동주는 광명학원에 편입했고 그 기간 동안 5편의 동시를 발표하였다.
1938년 광명학원 졸업 후 서울의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하였다. 학교를 다니는 동안 윤동주는 자신이 쓴 시 19편을 뽑아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엮었으나 출판되지는 않았다. 연희전문을 졸업 후 1942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릿쿄대학 영문과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일본 경찰에 항일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체포되었으며, 1945년 복역 중 세상을 떠났다.
작품 세계
윤동주의 유일한 시집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는 윤동주 사후 유고시집으로 출간되었다. 본래 연희전문학교를 다니던 시절 자신의 시 19편을 엮어 시집으로 만들었으나, 일제의 검열을 우려하여 출판으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주장도 있다. 광복 후에 후배인 정병욱의 주선으로 출간을 했고, 이후 동시를 포함한 윤동주의 다른 시들을 추가하여 1976년에 재출간되었다.
윤동주의 시 세계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기독교적 배경과 소재를 통해 어둡고 비극적인 세계에 대한 고결한 저항 정신을 드러낸다. 〈태초의 아침〉, 〈십자가〉와 같은 시들은 현실에 저항하면서도 자기희생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둘째는 반성적인 자기 인식과 연민의 정조다. 〈서시〉, 〈별 헤는 밤〉과 같은 대표적인 시들은 식민지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의 자기반성, 번민, 부끄러움, 괴로움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러한 괴로움 속에서도 타인을 사랑하고자하는 의지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현실을 극복하려는 강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윤동주의 시는 순결하고 고귀한 도덕적 이상주의자의 면모를 보인다. 그의 시 〈참회록〉은 일본에 유학을 떠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창씨개명을 해야만 했던 시기에 쓴 것으로, 자신의 굴욕적 선택에 대한 양심적 고백을 표현했다.
윤동주의 시들은 시대적 고뇌를 시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으며 괴로움과 부끄러움의 정조를 내면화하여 시적 긴장을 형성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요 작품
1) 전집
《윤동주 전집》, 문학사상, 2017.
2)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정음사, 1948.(개정증보판, 정음사, 1976)
수상 내역
1990년 8월 15일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