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Sowol (1902–1934) was a Korean language poet famous for his contributions to early modern poetry.
Life
Kim Sowol was born Kim Jeong-sik on September 7, 1902 in Kwaksan, North Pyongan Province, and died on December 24, 1934. Shortly after he was born his father became insane. This fact must have affected the poet's early life and eventually led to his own premature death. His grandfather taught him classical Chinese and entered him in the famed Osan Middle School (also the alma mater of Baek Seok and Kim Eok) at the age of fifteen. There he became a pupil of Kim Eok, who remained his mentor for the rest of his life.
In 1923, Kim went to Japan, but he soon returned to Seoul, where he stayed for the next two years attempting to build a career in literature. However, he then returned to his native region, to the town of Namsai, where he worked as the manager of the local office of the Dong-a Ilbo newspaper. Though his poems continued to appear there, their quality deteriorated and Kim's life descended to habitual drinking and a reported suicide in 1934. In 2007, he was listed by the Korean Poets' Association among the ten most important modern Korean poets.
Writing
Throughout his life Kim wrote his poignant poetry in a style reminiscent of traditional Korean folk songs. The most prized example of this style was "Jindallaekkot" (진달래꽃Azaleas), the titular poem of his sole collection of poetry.
Kim wrote most of the poems contained in Azaleas (1925), the only collection of poetry published in his lifetime, while he was still a teenager. After graduating from Paejae High School, he taught for a while in his hometown and then went to Japan to study at a college of commerce. While there, he published several poems in Kaebyok (개벽) and other literary journals. Poems by him continued to appear after his return in such journals as Yeongdae (영대) until his sudden death.
His teacher Kim Eok published a volume of Sowol's selected poems in 1935. These included his memoir and a critical essay, in which he points out that the poet's true genius lay in composing lines in the rhythm of Korean folk song, thereby making his poems touch directly the hearts of Koreans. The magical charm of Sowol's lines can barely be recaptured fully in English translation, since the spirit of his poetry is conveyed in part through the sound of Korean folk tunes, which imposes an additional challenge in the translation of his work.
La mayoría de sus poemas están contenidos en Azaleas, su primera y única colección de poemas publicada en vida. Las escribió en 1925 cuando aún era adolescente. Después de graduarse de la Escuela de bachillerato Paichai, fue profesor durante un tiempo y después se marchó a Japón para estudiar comercio. Mientras estudiaba, publicó varios poemas en Kaebyeok y otras publicaciones literarias. Continuó publicando sus poemas después de volver hasta su muerte. Murió en 1934 en lo que se cree que fue un suicidio. Su profesor Anso publicó un volumen de poemas seleccionados de Sowol en 1935. Estos incluían sus memorias y un ensayo crítico, en el que declara que el verdadero genio del poeta es componer versos con el ritmo de las canciones tradicionales coreanas, haciendo que los poemas vayan directos al corazón de la gente.
Kim fait ses débuts en 1920 en publiant ses poèmes dans la revue Changjo et utilise pour la première fois le nom de plume de So-wol (blanche lune). Il continue ensuite de publier dans la revue Gaebyeok et se fait remarquer par les critiques avec Un jour beaucoup plus tard (Meon hu-il) au sujet d'un amour immortel puis avec le poème Fleurs d'azalée (Jindallae kkot). Sa carrière culmine en 1925 avec la publication de ce même recueil. Il a écrit 154 poèmes et essais1,2.
Depuis 1987, le prix de poésie Sowol récompense les poètes coréens.
Kim So-wŏl wurde am 6. August 1902 in Kusŏng, P’yŏngan-pukto geboren. Er schloss seine Schulausbildung an der Paejae Oberschule in Seoul ab und immatrikulierte sich 1923 an der Tokyo University of Commerce, exmatrikulierte sich jedoch bereits im September des gleichen Jahres nach dem großen Kantō-Erdbeben wieder. Seine Karriere als Dichter begann offiziell 1920, als er fünf Gedichte veröffentlichte. Er wurde stark beeinflusst von Kim Ŏk und hinterließ ein Lebenswerk bestehend aus ca. 270 Gedichten, von denen 17 übersetzt wurden. Er starb am 24. Dezember 1934 in Kwaksan, der Heimat seiner Vorfahren.
Kim trug in hohem Maße zur frühen koreanischen Lyrik bei. In den Zwanziger Jahren erlebten koreanische Literaturzirkel, die auf den individuellen Publikationen ihrer Mitglieder aufbauten, die Einführung europäischer Literatur und die Geburt der 'Modernen Lyrik' in Dreier-Vers-Tradition. Während dieser fruchtbaren Periode produzierte Kim Gedichte, die von Volksliedern inspiriert waren und in traditionellen Rhythmen sowie dem koreanischen Volksempfinden wurzelten. Sein Stil ähnelte dem seiner Vorgänger Kim Ŏk und Chu Yo-han, obwohl der Dichter während seiner langen und schaffensreichen Karriere auch Wege zu neuen Dimension in Poetik und Technik ebnete.[2]
김소월(1902~1934)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생애
김소월은 1902년 평안북도 구성에서 태어났다. 사립 남산학교를 졸업하고 오산학교 중학부를 다녔다. 이 시기 시인 김억을 스승으로 모시며 그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1919년 3‧1운동 이후 학교가 폐교되자 배재고등보통학교에 편입했다. 〈낭인의 봄〉, 〈야(夜)의 우적(雨滴)〉 등을 잡지 《창조》에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엄마야 누나야〉, 〈진달래꽃〉과 같은 시인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잡지 《개벽》에 발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했다. 배재고보를 졸업한 뒤 1923년 일본의 도쿄상대에 입학하였으나 관동대지진으로 중퇴하고 귀국하였다.
귀국 후에는 잡지 《영대》의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1925년에 시집 《진달래꽃》을 엮어 출간했다. 같은 시기 조부가 경영하던 광산에서 일을 했으나, 사업의 실패로 처가가 있는 구성군으로 이사했다. 구성군에서 동아일보지국을 개설하였으나 경영에 실패하고 염세증에 빠졌다. 본래 예민한 정신의 소유자였던 김소월은 빈곤에 시달리기 시작했고, 1930년대에는 작품 활동조차 저조해졌다. 1934년 세상을 떠났다.
김소월 사후 스승이었던 김억이 김소월의 시들을 모아 《소월시초》(1939)를 출간했으며, 1981년 예술분야에서 대한민국 최고인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김소월의 시비는 서울 남산에 세워졌다.
작품 세계
김소월의 시는 한국적인 서정시의 정형을 확립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구 시의 형식을 번안하는 수준에 머물렀던 1900년대 초기에 김소월의 시 형식은 전통적인 민요의 율조와 토속적인 언어 감각을 보이면서 한국 근대시의 독자적 가능성을 보여줬다. 그의 작품들은 간결하고 절제된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정서의 폭과 깊이가 서정시로서 남다른 탁월함을 지녔다.
특히 김소월이 생전에 발간한 유일한 시집인 《진달래꽃》(1925)은 사랑하는 이가 떠나가고 홀로 남았을 때의 심정, 즉 전통적인 정한(情恨)의 세계를 주로 다루고 있다. 시인은 비극적인 삶에서 느낀 감정을 민요적 율조인 3음보를 변용한 리듬에 담아내어 식민지 조선인들에게 큰 울림을 주었다. 표제작인 〈진달래꽃〉은 간결하고 소박한 가락과,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대화체를 활용한 대중적 리듬, 이별, 그리움, 체념 등으로 대표되는 민중적 주제의식을 담고 있다. 나를 버리고 떠나가는 임에 대한 슬픈 정서를 소박하고 진솔한 정감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별의 슬픔을 축복으로 승화시켜야 했던 비애와 아픔을 견디는 인고의 정서를 보임으로써 한국 근대시를 대표하는 시로 평가된다.
한편, 김소월은 어린 시절부터 동양적 세계관과 기독교적 세계관을 체화했고, 두 세계 사이의 갈등과 충돌, 화해와 공존을 시적으로 승화하려고 했다. 이 점에서 김소월 시의 중심 주제를 영원한 것과 변화하는 것의 화해 방법 모색이라는 해석도 있다.
주요 작품
1) 전집
《김소월 전집》,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2) 시집
《진달래꽃》, 매문사, 1925.
수상 내역
1981년 금관문화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