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EDUCACIÓN COMO ENTE INTERMEDIARIO HACIA LA FORMACIÓN DE LA PERSONALIDAD EN “ALMENDRA” DE WON-PYUNG SOHN
2021 Korean Literature Review Contest
by FELIPA SAAVEDRA SAAVEDRA , on September 08, 2022
- Spanish(Español)
- Korean(한국어)
Cuando terminé de leer Almendrade Won Pyung Sohn no he podido evitar acordarme del Demian de Hesse; ambasson novelas que giran entorno al tema del crecimiento, la polaridad, así comode las inquietudes que tenemos todosde querer ser aceptados. En otras palabras, un Bildungsroman.
En un Bildungsroman elfin último es el desarrollo único de la personalidad del protagonista. En tantoentendemos como personalidad a laexpresión de totalidad del ser humano. La personalidades para Carl Jung el ideal de la vida adulta. Es importante que aclareprimero éstos términos porque mi propósito con esto es que el lector comprendacómo es que el papel del doctor Shim así como el de la madre y la abuela deYunjae es de vital importancia para que éste pueda más tarde “convertirse enhumano”. Y es que para Yunjae ese“convertirse en humano” es haber alcanzado una definicón del yo. Lo cual me parece una bonitametáfora de la específicidad individual. La personalidad como expresión de totalidad, de singularidad de cadaindividuo de la especie humana, de identidad propia, es un concepto que acarreacon todo el nominalismo real del que somos posibles como individuos: seresracionales, emocionales, sustanciales e individuales. Es comulgar.
Yunjae, el protagonista de Alemendra es un chico quepadece de una rara condición médica llamada alexitimia. Bueno, no es que no tengasentimientos, sino que no puedereconocerlos, y le cuesta también verbalizarlos, lo cual,claro, le acarrea mucha imcomprensión por parte de aquellos fuera de su núcleofamiliar. La madre de Yunjae hacetodo lo posible por ayudarle a vivir normalmente a pesar de su condición. Le daconsejos. Le dice qué cara debe poner en tal o cual situación. El doctor Shim,por otro lado, también guía a Yunjaeen su recorrido hacia la madurez. Hay que tener en cuentaque Yunjae es un
chicoen pleno desarrollo, por lo que el papel educativo que tienen estos personajessobre él, es fundamental. Pues es evidente que es en la infancia y adolescenciacuando surge y se consolida el yo. Sería impensable hablarde personalidad, de realización, sin haber pasadoantes por el doloroso proceso que es la infancia y laadolescencia. Es en éste período de vida (infancia-adolescencia) dondeaprendemos sobre el entorno y nos definimos; de ahí que la educación y loseducadores sean de vital importancia para el buen desarrollo de lapersonalidad.
En general se pueden distinguir tres tipos de educaciónsegún Carl Jung en su texto Sobre lapersonalidad infantil. Primero,la educación como ejemplo, la cual es probablemente el tipo más eficaz de educar, debido a que sucede de formainconsciente; esta se basa en que el niño es más o menos siemprepsicológicamente parecido a sus padres y su entorno. El segundo tipo deeducación es la colectiva consciente, dondepor colectivo se entiende no la educación en grupos, sino la eduaciónguiada mediante reglas, métodos o principios. La educación colectiva esfundamental porque vivimos en colectividad humana y necesitamos normascolectivas. En ésta la peculiaridad individual del niño es sometida a lanaturaleza colectiva de la influencia, en tanto que éste individuo, que esductible, termina siguiendo el ejemplo del colectivo. El último tipo de educación es la educación individual, en la quese ha decidido dejar de lado la intención de colectividad para así cultivarla peculiaridad del individuo. Todos losindividuos que se oponen exitosamente a la educación colectiva necesitanatención individual. Entre estos individuos están los que padecen de unaanomalía patológica que les impide educarse de forma colectiva, y los quetienen unas dotes peculiares o unilaterales. Es en éste tipo último de educaciónen el cual me gustaría enfocar mi atención, sobre todo porque Yunjae padece deuna condición particular que es la que le impide acoplarse en sociedad. Yunjaepadece de un déficit comunicativo emocional. ¿Cómo le explica uno a una personano vidente de nacimiento cómo es el color azul? Claro, no podemos, porque lo que representa el color azul no es lomismo para una persona vidente que para una no vidente. El modo en el cual esta personano vidente percibeel mundo tambiénha de ser diferente. Yunjaepercibe el sexo en su meraidea de acto reproductivo. En tanto que Goni es consciente de que el sexoencierra dentro de sí mucho más que el mero concepto de diccionario que todosconocemos. Ser persona es también ser abiertoa un más allá del mundo. Yunjae no es consciente de ése más allá no porque no
quierasino porque no dispone de los medios para poder. En éste caso debemos abrirnospaso hasta la psicología peculiar de esta persona e influenciarla.Conceptualizar el amor es de por sí una tarea complicada para cualquiera, peroes en la conceptualización y el ejercicio continuo donde, creo, es posible larepresentación.
En mi tercer semestre de carrera universitaria, recuerdohaber escrito un artículo acádemico que iba sobre el problema de la referenciay la descripción definida en la obra de Vladimir Nabokov, un escritor ruso quepadecía de sinestesia (una variación de la percepción humana en la cual semezclan los sentidos. Entonces uno seencuentra con que una persona sinestésica puede, por ejemplo, ver el coloramarillo cuando escucha la nota de fa). Mi artículo se apoyaba también en unexperimento realizado por el psicólogo Wolfgang Köhler en la isla deTenerife, donde el españoles la lengua primaria. Köhler había mostrado a loshabitantes de la isla dos imagenes diferentes, donde una era de formapuntiaguda y la otra redondeada. Köhler se encontró con que había unapreferencia por parte de los sujetos encuestados de llamar “baluba” a la imagencon la forma redondeada, y “takete” a la de la forma puntiaguda. El experimentosugería finalemente que, contrario a lo que los elementalistas del lenguajepiensan, el nombramiento de los objetos no es completamente arbitrario. Tal vezse llame “bouba” a la forma redondeaba por el movimiento que hace la boca al producir el sonido. En los sinéstesicosla forma en la cual es percibida el objeto de realidad no es tampocoarbitraria. Pero bueno, traigo todo esto a colación porque en toda la novelaYunjae lucha constantemente por reconocer cuál es la emoción más adecuada aescenificar en determinados momentos. Boca hacia abajo cuando me siento triste.Por eso, cuando me siento defraudado porque alguien en quien yo confiaba me hatraicinado, lo normal es que mesienta triste, decaído. Y es que no es arbitrario que me sienta así. Lo rarosería que me riera positivamente de mi situación. Con el amor sucede lo mismo.Nos cuesta ponerlo en palabras, pero tendemos a relacionar el sentimiento condeterminados colores, sensaciones e ideas que suelen ser las mismas para todos.Una vez leí un artículo titulado: ¿Por qué el amor no significa lo mismo enturco que en español? Era un artículo de ABC.Básicamente el artículo ponía en relieve los descubrimientos de un estudio quehabían hecho investigadores de la Universidad de Carolina del Norte encolaboración con científicos del institutoMax Planch. Estos habían descubierto que la forma en la cual los humanos
conceptualizanemociones como la ira, el miedo, o la tristeza, puede diferir entre hablantesde distintos idiomas. Era más que todo un problema de colexificación, que escuando una palabra tiene más de un significadoen un idioma. Cierto que si ponemosen consideración éstosnuevos hallazgos, todo lo que hedicho anteriormente en cuando a la especificidad y arbitrariedad pierdesentido. Pero mi punto es que hayciertas leyes normativas de carácter puramente social que nos permiten accedera un tipo de mapa mental de las emociones que es casi que universal. Por eso la tristeza, por ejemplo, solemosrelacionarla con la lluvia o el color azul.
Sobre el devenir de la personalidad, la educación juega unpapel importante porque es lo que más tarde le ayudará a Yunjae a fojarse unapersonalidad propia, también a sentir. Educar para la personalidad: “Te daré unejemplo. Por mucho que una persona sin aptitudes se ponga a practicar patinajetodos los días, seguramente nunca se podra convertir en un patinador eximio. Espoco probable también que una persona sin oído musical pueda cantar a laperfección el aria de una ópera sobre un escenario y reciba el aplauso delpúblico. Sin embargo, si estas personas se ejercitan a fondo, seguro que laprimera podrá cruzar la superficie de un lago congelado tambaleándose un poco yla otra cantar hasta el final una canción equivocándose en algunas notas. Esees el milagro que puede lograr la práctica constante, aunque tenga suslímites.”, le dice el doctor Shim a Yunjae.Ninguna personalidad se manifiesta sin antes haber pasado por un proceso demaduración, de determinación, de totalidad. La personalidad es, por otro lado, la realización supremade la peculiaridad innata. Es poder ser en sociedad sin sacrificarnos a nosotrosmismos. La personalidad es una hazaña. También es una forma de lealtad contra ypor uno mismo. Es un acto de fe. Es aquí donde la frase de P. J. Nolan cobrasignificado: “no hay nadie que no pueda ser salvado. Solo hay personas quedejan de intentarlo”. Educar para el desarrollo de la personalidad me parece latarea más grande que el mundo moderno nos ha planteado. Es tener fe en que todos podemos sersalvados. Es normal que el camino hacia la madurez (hacia el desarrollo de lapersonalidad) esté acompañado por el miedo. Lo mismo que se pregunta Goni, ¿miyo de quince será diferente de mi yode treinta? Lo más probable es que sí. Es normal tener miedo a lo desconocido.Cada paso hacia la conquista de la personalidad es doloroso y arduo, perotambién inevitable. El miedo es un obstáculo normal,naturalmente. Crecer es cambiar, y cambiar trae consigo
unaserie de implicaciones que a veces pueden llegar a transtornarnos. Yo llamaríaa esa serie de acontecimientos dolorosos en la vida infantil y adolescente,daños temporales. Principalmente porque suelenser acontecimientos que nos marcan,pero que nunca son eternos. Por supuesto, tambiénhay los daños irremediables.Lo único, creo, que puede salvarnos de sufrir un daño irremediable es elesfuerzo de los padres y educadores por no esquivar las dificultades anímicas eindividuales de la vida. Puedo sentir. Poder sentir, y ser capaces de afrontarla vida tal como viene y en la medida en que podamos sentirla, creo que debeser el mayor de los tesoros. Es haber madurado. ¿Qué tal estás?
손원평의 장편소설 아몬드의 마지막 장을 덮자마자 불현듯 떠올라 감상문을 쓰고 있는 지금까지도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소설이 있다. 바로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이다. ‘아몬드’와 ‘데미안’은 한 소년의 성장과 감정의 변화, 특히 누군가에 의해 인정받기를 원할 때 느끼는 불안감에 대해 이야기해주는 성장소설(Bildungsroman)이다.
성장소설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야기 속 주인공이 자신만의 고유한 성격을 어떻게 만들어가는지 보여주는 데 있다. 성격은 인간이 자신을 표현하는 총체로 볼 수 있다. 칼 융(Carl Jung)에 따르면 성격은 성인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주인공 윤재가 ‘인간으로 변하는’ 과정을 함께한 심박사와 윤재의 엄마 그리고 윤재 할머니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했는지 이 글을 통해 짧게나마 독자들과 공유하고 싶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용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인간으로 변하다’라는 표현은 윤재가 자신이 누구인지 인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의 개성을 잘 비유한 것 같아 개인적으로 참 마음에 들었다. 성격은 개인의 총체적인 표현 방식이자 인간이 지닌 고유한 특성이기에 이따금 인간에게 이성적 존재, 감정적 존재, 실체적 존재, 개성적 존재로 그리고 공감하는 존재라는 이름표가 붙곤 한다.
주인공 윤재는 감정표현 불능증이라는 의학적으로 희귀한 질환을 앓고 있다. 사실, 감정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어떤 감정을 파악하고 이를 언어적으로 표출하지 못하는 것인데, 때문에 가족을 제외한 타인은 윤재의 행동을 이해하지 못한다. 윤재의 엄마는 윤재가 질환을 이겨내고 평범한 삶을 살기를 바라기에 최선을 다해 윤재를 돕는다. 특히나 윤재가 어떤 특정한 상황과 맥락에 맞는 표정을 짓고 언어적 표현을 학습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 심박사 또한 윤재의 힘겨운 여정을 함께하며 인도자로서의 역할을 묵묵히 감당한다. 윤재는 한창 성장하는 청소년이었으므로 이 시기를 함께한 윤재의 엄마, 할머니, 심박사의 역할이 중요했다. 아동-청소년기는 자아가 성장하고 확립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아픔을 겪지 않고는 개인의 성격 발달과 성장에 대해 말할 수 없다. 아동-청소년기는 주변의 환경을 배우고 스스로를 정의해 나가는 시기이며 이때의 교육과 교육자들은 한 개인의 성격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칼 융의 저서 ‘아동 성격에 대해서’에 따르면 교육은 통상적으로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예시를 통한 교육이다. 이 교육은 무의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하는데 아동은 심리적으로 그 부모와 그 아동을 둘러싼 환경과 비슷하게 성장해 나가게 된다. 어쩌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일 수도 있다. 두 번째로는 집단 속에서 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집단 속에서의 교육’이란 단순히, 많은 사람들 속에서 교육한다는 것이 아니라 집단 내의 법칙, 방법, 원칙에 기반을 두고 교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집단을 형성해 살아가고 집단 속에서 통용되는 규범을 지키며 살아야 하기 때문에 집단적 교육 역시 매우 중요하다. 집단적 교육에서 집단은 개인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환경 적응에 유연한 아동 및 청소년들은 이 시기에 소속된 집단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존재로 성장한다. 세 번째로 개인적으로 이뤄지는 교육이 있다. 이 교육은 집단적 의도가 개입되지 않으면서 개인의 특성을 함양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삼는다. 집단적 교육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병리학적 문제로 집단적 교육에 어려움을 겪거나 아주 독창적이고 특별한 재능이 있는 경우에 이 교육이 필요하다. 소설의 주인공인 윤재도 감정적 표현이 부족해 사회화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이기 때문에 이 감상문에서는 개인적 교육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태어나면서부터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에게 파란색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을까? 분명 불가능할 것이다. 왜냐하면 앞을 보는 사람과 보지 못하는 사람에게 파란색은 똑같이 정의될 수 없기 때문이다.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이 세상을 인식하는 방법은 앞을 보는 사람이 세상을 인식하는 방법과는 다르다. 윤재에게 섹스는 단순히 대를 잇기 위한 생물학적 생식 활동일 뿐이지만 곤이에게는 무미건조하고 딱딱한 사전적 정의를 넘어서는 그 어떤 것이었다. 인간으로 성장한다는 것은 지금 현재의 세상보다 저만치 멀리 있는 더 넓은 곳을 향해 열린 마음으로 세상에 맞서는 것을 의미한다. 윤재에게 세상보다 더 넓은 곳을 향한다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더 넓은 곳을 원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더 넓은 곳을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럴 때 우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심리학적 방법으로 그것을 알고 느끼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사랑을 정의한다는 것은 모두에게나 골치 아프고 어려운 숙제겠지만 그 개념을 곱씹으며 삶 속에서 끊임없이 적용해 본다면 어느 순간 사랑을 대표하는 그 무엇인가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대학교 세 번째 학기에 짧은 소논문을 쓸 기회가 있었다. 주제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Vladimir Nabokov)의 작품에 나타난 지시 대상과 그 묘사에 대한 것으로 나보코프는 러시아 출신의 작가이자 공감각자였다 (공감각이란 어떤 자극을 인식한 후 여러 감각이 동시에 반응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멜로디 ‘파’를 들었을 때 노란색을 보거나 떠올리는 것이다). 논문을 쓰면서 나는 심리학자였던 볼프강 퀼러(Wolfgang Köhle)가 스페인의 테네리페(Tenerife)에서 했던 언어 실험에 대한 내용을 참고하였다. 퀼러는 뾰족한 조각그림 하나와 동그란 조각그림 하나를 사용하여 실험을 전개하였고 참가자들이 동글동글한 조각 모양은 발루바(baluba)라는 단어로 부르고 뾰족한 조각 그림은 타케테(takete)로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전까지 언어학에서 지배적이었던 ‘언어의 자의성’에 반대되는 결과가 도출된 이 연구는 어떤 사물을 지칭하는 것이 늘 자의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동그란 조각그림과 발루바라는 단어를 짝지은 이유는 발음 시 움직이는 둥근 입 모양과 유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공감각자들이 현실에서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 또한 자의적이지만은 않다. 이를 언급하는 이유는 소설 전개 내내 윤재가 감정들을 알맞게 인식한 후 이를 상황에 맞게 표현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던 것과 비교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슬플 때 고개를 떨군다. 누군가가 날 속인다면 내가 신뢰했던 사람이 날 배신했다는 생각에 슬프고 우울할 수밖에 없다. 여기서 내가 슬픔에 차 고개를 숙이며 우울해한다는 것은 결코 자의적인 것이 아니다. 그런 상황에서 긍정적으로 웃는 것이 더 이상하고 웃기는 일일 것이다. 사랑도 마찬가지로 사랑을 말로 표현하기란 매우 어렵다. 우리는 이 사랑이라는 감정을 특정 색깔이나 느낌 또는 생각과 연결 짓곤 하는데 이때 사람들이 떠올리는 색깔이나 느낌 혹은 생각이 다 비슷하다. ‘스페인어의 사랑이 터키어에서 의미하는 사랑과 왜 다른가?’라는 제목의 ABC 뉴스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기사의 내용은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연구진과 막스플랑크연구소 소속 학자들이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연구진은 인간이 분노, 두려움, 슬픔 등과 같은 감정을 개념화하는 방법이 화자의 언어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는 한 개 이상의 의미를 지닌 다의어에 나타나는 특성으로 공어휘화(colexification)라고 불리는 언어적 현상을 의미한다. 이 연구를 살펴보면 앞서 언급했던 특수성 혹은 자의성은 더 이상 큰 의미가 없다. 순전히 사회적 성격을 지닌 몇몇 규범을 통해 인지적 지도를 그려나갈 수 있는데 이는 대체로 보편적인 형태이다. 그래서 슬픔이라는 단어를 들을 때 비나 파란색이 연상되는지도 모르겠다.
성격발달에서 교육의 역할은 빼놓을 수 없을 만큼 아주 중요하다. 소설 속 윤재도 교육을 통해 자신만의 고유한 성격을 형성해 나갔고 결국에는 감정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성격 형성을 위해 교육한다는 것은 책 속에서 심박사가 윤재에게 하는 말을 예로 들어 이해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주마. 스케이트에 전혀 소질이 없는 사람이 백날 연습을 한다고 해서 최고의 스케이터가 되지는 못 할 거다. 타고난 음치가 오페라의 아리아를 멋들어지게 불러 청중의 갈채를 받는 것도 불가능하겠지. 하지만 연습을 하면 말이다, 적어도 비틀거리며 얼음 위로 조금 나아가는 것 정도는, 서툴게나마 노래 한 소절쯤 부르는 것 정도는 가능해진단다. 그게 바로 연습이 허용하는 기적이자 한계란다.” 성숙과 결단 그리고 전인격적인 과정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누구도 자신의 성격을 외부에 표현할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성격은 가장 숭고하게 실현되는 천부적이고 선천적인 특성이다. 또한, 사회에서 우리 스스로를 희생하지 않으면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하게 하는 것이기도 하다. 성격이란 훈장과도 같으며 스스로를 보호하거나 혹은 스스로에게 대항하는 방법이 되기도 하고 믿음과 신뢰를 다지는 것이기도 하다. 이런 의미에서 “구할 수 없는 인간이란 없다. 구하려는 노력을 그만두는 사람들이 있을 뿐이다”라고 한 P. J. Nolan의 말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성격발달을 위한 교육은 현대 사회가 우리에게 남겨둔 가장 큰 숙제라고 생각한다. 성격발달 교육은 우리 모두가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신뢰하고 믿는 행위이다. 성숙, 즉 성격발달은 두려움이 수반되는 어려운 여정이다. ‘내가 서른 살이 됐을 때와 열다섯 살 때가 똑같을까?’라는 곤이의 질문에도 그 두려움이 묻어난다. 그럴 것이다. 경험하지 못한 세계에 두려움 없이 다가갈 수 있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스스로를 찾겠다는 목표를 향해 한걸음 한 걸음 무거운 발걸음을 내딛으며 떠나는 여정은 험난하고 고된 길이겠지만 피해 갈 수는 없다. 두려움이란 당연히 존재하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장애물이다. 성장하는 것은 변한다는 뜻이다. 변한다는 것이 어쩌면 우리를 혼란스럽게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아동-청소년기에 겪는 이런 아픔은 잠시 잠깐의 성장통이라고 말하고 싶다. 이는 분명 우리에게 생채기를 내지만 그 흉터는 영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쩌면 돌이킬 수 없는 흉터가 남을 수도 있다. 그 흉터를 덮어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부모와 교육자들이 아이의 아픔 앞에서 팔짱만 끼고 방관하지 않고 옆에서 성심껏 도와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나는 느낄 수 있다. 느낄 수 있다는 것은 우리 앞에 펼쳐진 인생에 당당히 맞설 수 있다는 것이다. 느낄 수 있는 만큼 인생을 한없이 느껴본다는 것, 그것은 그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아름다운 보석 같은 것이고 그렇게 우리는 성숙해간다. “이 글을 읽고 있는 지금 당신은 어떠한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이 글을 마친다.
Keyword : Almendra,Won-Pyung Sohn,2021 Korean Literature Review Contest,FELIPA SAAVEDRA SAAVEDRA
- Almendra
- Author : Won-Pyung Sohn
- Co-Author :
- Translator : Sunme Yoon
- Publisher : Temas de hoy
- Published Year : 2020
- Country : SPAIN
- Original Title : 아몬드
- Original Language : Korean(한국어)
- ISBN : 9788499987910
- 아몬드
- Author : Sohn Won-pyung
- Co-Author :
- Publisher : 창비
- Published Year : 0
- Country : 국가 > SOUTH KOREA
- Original Language : Korean(한국어)
- ISBN : 9788936456788
Translated Books29 See More
E-News118 See More
-
Japanese(日本語) OthersK−POP・韓流ドラマ人気の次は? 韓国文学ブーム「日本人も腑に落ちる」
-
Spanish(Español) Others‘Almendra’, el viento, una historia del no sentir de Won-pyung Sohn
-
Japanese(日本語) Others2020年本屋大賞は凪良ゆう『流浪の月』 “普通”を揺さぶる、引き離された男女の物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