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Kim Myeongsun(김명순)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Kim Myeongsun
Family Name
Kim
First Name
Myeongsun
Preferred Name
-
Pen Name
Kim Myeongsun, 탄실, 망양생
ISNI
0000000050964466
Birth
1896
Death
1951
Occupation
기자, 작가, 시인, 영화배우, 연극배우
Period
Classical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Korean(한국어)

Kim Myeong-sun (20 January 1896 – 22 June 1951) was a female Korean novelist and poet of the early 20th century.


Life

Kim Myeong-sun, who wrote under the pen names Tansil (탄실) and Mangyangcho (망양초), was born in 1896 in Pyongyang. Her father was a landowner and her mother, a former gisaeng, was his mistress, a fact that was used against Kim for much of her life. 

Kim Myeong-sun was a bright child with a talent for writing. In 1913 Kim went to Tokyo to study at Kojimachi's Girls' School, but did not complete her studies there, and soon returned to Korea to earn her degree at Sookmyung Girls' School.

In 1917, Kim Myeong-sun debuted when her short story “Uishimuisonyeo” (의심의 소녀 Suspicious Girl) won second place in Cheongchun’s (청춘) fiction competition. She also worked as a contributor to the literary magazines Changjo (창조) and Pyeheo (폐허) and published many works over a wide range of genres, including novels, poems, essays, and plays. She published the collections Aeinuiseonmul (애인의 선물 Lover’s Gift) and Saengmyeonguigwasil (생명의 과실 Fruits of Life) in 1925.

In addition to this, she also worked as a journalist, translator, and actor. In 1925 she successfully applied to Maeilshinbo’s open recruitment for female journalists and subsequently wrote columns for newspapers like the Chosun Ilbo, the Dong-a Ilbo, and Maeilshinbo. She translated a total of 10 poems from Charles Baudelaire’s Les Fleurs du mal, including "Femmes damnées." In 1928 she started her film career and gained widespread fame by acting in the film Nauichinguyeo (나의 친구여 My Dear Friend), but she put her acting career on pause when she fell ill from overwork.

She was criticized by contemporary male authors because of her espousal and practice of free love. However, most of the criticism aimed at her were either maliciously distorted facts or false rumors. Burdened by this prejudice and criticism, Kim Myeong-sun left for Japan in 1939, but stricken by poverty and poor health, she died in 1951 after being admitted to Aoyama Brain Hospital as a patient with no home or family to take care of her.


Writing

Kim Myeong-sun wrote for nearly 20 years and established herself as a pioneering female writer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er novels depict women who break away from patriarchal family systems and traditional marital systems to dream of free love.

Her early stories—works like “Uishimuisonyeo” (1917), “Jomouimyojeone” (조모의 묘전에 At My Grandmother’s Grave) (1920), “Yeonghuiui Ilsaeng” (영희의 일생 The Life of Yeong-hui) (1920), and “Chilmyeonjo” (칠면조 Turkey) (1921)—criticize the feudal concubine system and how it destroys women’s lives. The female characters in her novels wander alone or simply die in an attempt to escape their feudal families. But some of her female characters are lucky enough to go abroad to study and experience free love. The stories written in the middle of her career—works like “Doradabolddae” (돌아다볼 때 Looking Back) (1924), “Woirounsaramdeul” (외로운 사람들 Lonely People) (1924), “Tansiliwajuyeongi” (탄실이와 주영이 Tansil and Juyeong) (1924), and “Naneunsaranghanda” (나는 사랑한다 I Love You) (1926)—explore an ideological system of free love in which sexuality is excluded, as well as an alternative family system that is based on such an idea of free love. These stories reflect the love-centric view that love is the basis of marriage and that marriage without love must be ended with divorce.

The female characters of her later novels—works like “Bunsuryeong” (분수령 Turning Point) (1929), “Moreuneunsaramgachi” (모르는 사람같이 Like a Stranger) (1929), and “Haejeomunddae” (해 저문 때 When the Sun Sets) (1938)—try desperately to achieve idealistic free love in situations where such love is impossible.

Due to the negative attacks on Kim Myeong-sun's personal life, research on her literature did not start for a long time. But since the 2000s, her literature has slowly begun to be re-evaluated. Many point out that the male literati of the time who criticized Kim Myeong-sun did so unjustly, and that Kim Myeong-sun was a victim of a male-centric society and literary circles. Furthermore, her works have been praised as a resistant counterpart to the male-centric literature of the time.


김명순(1896~1951)은 한국의 시인, 소설가, 희곡작가다.


생애

김명순은 1896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났다. 지주인 아버지와 기생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업신여김을 받으며 자랐다. 어렸을 때의 이름은 ‘탄실’이었으며, 이후 이 이름을 필명으로도 사용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총명하고 글을 잘 지었다. 일본 유학 도중 강간을 당한 후에 자살을 시도한 사건으로 여학교의 명예를 더럽혔다는 이유로 비난받자, 학교를 중퇴하고 귀국했다. 이후 한국에서 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다시 몇 차례 일본으로 유학을 다녀왔다.

1917년 《청춘》의 소설 현상공모에 단편소설 〈의심의 소녀〉가 2등으로 당선되어 데뷔하였다. 문학동인 잡지 《창조》와 《폐허》에도 동인으로 참여했으며, 소설, 시, 수필, 희곡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많은 작품들을 발표했다. 창작집 《생명의 과실》(1925)과 《애인의 선물》을 출간했다.

이 외에도 기자, 번역가, 배우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1925년 매일신보사의 여성 기자 공채에 합격하여 조선일보, 동아일보, 매일신보 등의 신문에 칼럼을 실었다. 보들레르 〈저주의 여인들〉을 비롯하여 총 10편의 작품을 번역했다. 1928년 〈나의 친구여〉로 영화계에 데뷔하여 유명세를 탔지만 과로로 체력이 약해져 배우활동을 중단했다. 1939년 일본으로 떠났으며, 가난과 병마에 시달리다가 1951년 아오야마 뇌병원에서 무연고자로 사망했다. 


작품 세계

김명순은 20년 가까이 창작을 지속하면서 한국 근대문학의 선구적인 작가로서의 주체성과 정체성을 확립하여 나갔다. 김명순의 소설은 가부장적 가족 제도와 관습적인 결혼 제도로부터 탈피하여 자유연애를 꿈꾸는 여성들을 주로 그렸다.  

단편 〈의심의 소녀〉(1917), 〈조모의 묘전에〉(1920), 〈영희의 일생〉(1920), 〈칠면조〉(1921) 등 김명순의 초기 소설들은 여성의 삶을 파괴하는 봉건적 축첩제도를 비판한다. 작가의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은 봉건적인 가족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집을 나가 떠돌다가 죽음을 맞고, 일부 운이 좋은 여성들은 유학을 떠나 자유연애를 체험하기도 한다. 단편 〈돌아다볼 때〉(1924), 〈외로운 사람들〉(1924), 〈탄실이와 주영이〉(1924), 〈나는 사랑한다〉(1926) 등 중기 소설에는 섹슈얼리티를 배제한 관념적 자유연애관과 그것을 토대로 한 대안 가족에 대한 모색이 나타난다. 사랑만이 결혼의 기준이며, 사랑이 없는 결혼은 이혼으로 중단되어야 한다는 연애지상주의적 관점이 반영되어 있다. 〈분수령〉, 〈모르는 사람같이〉(1929), 〈해 저문 때〉(1938)와 같은 후기 소설의 여성 인물들은 이상적 자유연애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이를 극단적으로 실현하려 한다. 독신, 계약 결혼과 혼외 연애를 통하여 일반적인 연애 관계의 성역할을 전복하는 것이다.

작가 김명순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거의 이루어지지 않다가 2000년대 이후 재평가가 서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작가의 작품들은 당대 남성 중심의 문학에 대항한 작품이라는 적극적인 평가도 나오고 있다.

 

주요 작품

1) 전집

맹문재 편, 《김명순 전집(시·희곡)》, 현대문학, 2009.

서정자·남은혜 편, 《김명순 문학전집》, 푸른사상, 2010.


2) 선집

김상배 편, 《나는 사랑한다 ; 한국근대여류선집 2》, 솔뫼, 1981. (선집)

송명희 편, 《김명순 작품집》, 지식을만드는지식, 2008. (선집)


3) 작품집

《생명의 과실》, 한성도서주식회사, 1925.

《애인의 선물》, 회동서관, 출판연도 불명.



Original Works1

Translated Book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