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yeon Jeong (born 1983) is a South Korean science fiction writer, translator, and human rights lawyer.
Life
Jeong was born in Ma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She attended Seoul National University, where she majored in social welfare and philosophy. She earned her JD from Yonsei Law School. Her fiction has appeared in numerous South Korean SF anthologies since 2004. Jeong officially began her career as a science fiction writer in 2005 when the graphic novel "Ujuryu" (우주류 Cosmic Go), for which she wrote the story, received a commendation award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Creative Writing Contest. Her first short story collection, Yeopjibui yeonghui ssi (옆집의 영희 씨 Younghee Next Door), won the Book for the Year for Young Adults in South Korea Award in 2015.
Jeong is also a prolific translator of English-language science fiction to Korean, primarily having produced Korean translations of modern American SF novels such as Elizabeth Moon’s The Speed of Dark, David Gerrold’s The Martian Child, Nancy Kress’s Beggars in Spain, and Kate Wilhelm’s Where Late the Sweet Birds Sang, and through her translation she has helped to shape the content and scope of the South Korean SF canon. One of the founding members of major Korean SF fansite and publisher Geoul, she is the founder and chairperson of the Science Fiction Writer’s Un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FWUK), and the executive director of the Boda Initiative, a non-profit organization whose mission is the education of children in developing countries.
Writing
Jeong has written and translated works of science fiction set in the near future or in the space age, where interplanetary travel has become commonplace. Jeong’s works present a variety of thought experiments that can expand the understanding of human lives using science fictional imagination in everyday life rather than a large-scale worldview or spectacular narrative composition. Her works that address the issues of disability and sexual identity, as well as coexistence and sharing of feelings between earthlings and aliens with different languages, ways of thinking, and living conditions ultimately all stem from a common theme: interest in others and contemplation of relationships.
Jeong’s first short story collection, Yeopjibui yeonghui ssi, is made up of two parts. The first part consists of 11 shorts stories including her debut work, “Dijeoteu" (디저트 Dessert). Jeong describes the moments in which the characters encounter others as well as the difficult process in which they come to accept and understand others with delicate details. In the titular story, an earthling and an alien use tactile language to momentarily communicate each other’s feelings. "Ipjeok" (입적 Becoming Family) suggests that mutual understanding and trust are still achievable despite the horrendous conflicts between earthlings and an alien race called Peians. Jeong’s interest in others, though, is not limited to aliens or life on other planets—she also explores the blind spots of our society. The protagonist of “Cosmic Go” becomes disabled in an accident but ultimately realizes her dream of working in space. In "Masan apbada" (마산앞바다 Coast of Masan), the protagonist comes to acknowledge their existence only after confronting their sexual identity-related trauma.
In the second part of the book, a corporation called Kadukeuseu (Caduceus) monopolizes the superluminal transport technology and controls the freedom of interplanetary movement. Although it has become possible for people to travel through space, the chances of space travel have become even lower than before and people’s lives are regulated under the corporation’s plans. The Kadukeuseu series of four linked stories highlight the lives of people who have escaped the competition within uniform regulations and remain in the margins, leading the reader to think critically about the possible issues of unfairness that may arise in the space age.
정소연(1983~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번역가, 공익인권변호사다.
생애
정소연은 1983년 경상남도 마산에서 태어났다. 중학교 2학년 때 칼 세이건의 《창백한 푸른 점》(2001)과 SF소설을 읽기 시작했다. 중학교 때 담임교사의 영향을 받아 장래희망을 천문학자에서 인권 변호사로 바꾸었다.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 진학하여 철학을 복수 전공했다.
대학 시절 SF 동호회에서 활동하던 중, 2002년 출판사에 출간 추천한 작품을 직접 번역하면서 번역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했다. 질병과 장애, 성 정체성 문제에 관심을 갖고 번역 작업을 해왔다.
2003~2004년부터 인터넷 사이트 ‘정크SF’나 장르소설 웹진 《환상문학웹진 거울》에 창작 단편소설을 게재하며 번역과 창작을 병행했다. 2005년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에서 스토리를 맡은 만화 〈우주류〉가 가작을 받으면서 본격적으로 창작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꾸준히 작품을 발표하여 2015년에 첫 단편집 《옆집의 영희 씨》를 출간했다.
2016년 서울시립미술관 미디어시티 게스트 큐레이터, 2017년 한영상호교류의 해(2017/18 UK/Korea) 교류작가였다. 한국문학에서 SF소설과 작가들이 오랫동안 소외되어 있었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2017년 동료 작가들과 함께 한국과학소설작가연대(SFWUK)를 결성하여 초대 대표를 맡았으며, 연세대 로스쿨을 졸업하고 인권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작품 세계
정소연의 소설은 나와 다른 존재 혹은 다름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일을 주요한 화두로 삼고 있다. 언어, 사고방식, 삶의 조건이 서로 다른 지구인과 외계인의 교감과 공존, 장애와 성 정체성의 문제 등을 다룬 작품들은 궁극적으로 타자에 대한 관심과 관계에 대한 성찰이라는 공통된 주제에서 출발한다.
첫 번째 소설집 《옆집의 영희 씨》는 총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청소년문학’이라는 부제로 출간된 소설집의 1부는 등단작 <디저트>를 포함한 11편을, 2부는 카두케우스라는 거대 기업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우주 시대를 배경으로 한 연작 4편을 싣고 있다. 표제작 <옆집의 영희 씨>에서는 지구인과 외계인이 촉각 언어를 이용해 찰나의 교감을 주고받는다. <입적>은 외계인과 지구인이 공생하며 참혹한 갈등을 겪었음에도 여전히 상호 간의 이해와 믿음이 가능함을 암시한다. 2부의 연작들은 우주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우주여행은 기술적으로 가능해졌지만 그 현실성은 과거보다 더욱 낮아졌고 개개인의 삶이 회사의 계획 아래 통제된다. ‘카두케우스’ 연작은 획일적인 규율 속 경쟁에서 벗어나 변두리에 머무르는 사람들의 삶을 조명하며 우주시대에 전개될 불공정성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을 유도한다.
정소연의 소설은 거대한 스케일의 세계관이나 스펙터클한 서사적 구성보다는 일상을 배경으로 SF적 상상력을 활용하여 인간의 삶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킬 수 있는 다양한 사고 실험을 하고 있다. 그리고 젠더, 인종, 장애 등의 사회 문제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인 관심이 작품에도 반영되어 여성이나 장애인, 전쟁고아와 같은 다종다양한 소수자의 목소리를 담아내고 있다.
주요 작품
1) 소설집
《옆집의 영희 씨》, 창비, 2015.
《이사》, 창비, 2017.
2) 산문집
《세계의 악당으로부터 나를 구하는 법》, 은행나무, 2021.
3) 번역서
《루나》, 궁리, 2010.
《이름이 무슨 상관이람》, 궁리, 2013.
《허공에서 춤추다》, 폴라북스, 2015.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아작, 2016.
《어둠의 속도》, 푸른숲, 2021.
수상 내역
2005년 제2회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 가작
2006년 대학문학상 소설 부문 가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