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Heo Youngja(허영자)

Writer default image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Heo Youngja
Family Name
Heo
First Name
Youngja
Middle Name
-
Preferred Name
-
Pen Name
許英子, Heu Young-ja, Huh Yong-ja
ISNI
0000000023643595
Birth
1938
Death
-
Occupation
Poe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Korean(한국어)
  • Chinese(简体)

 

Introduction

 

Heo Young-ja (born in 1938) is a Korean female poet. She is called “The Poet of Love and Moderation,”embodying [1] Oriental lyricism such as ‘han(resentment)’[2], love and waiting in a highly condensed beauty. She is regarded as a unique poet who combines traditional and modern sentiments.[3]

 

Life

 

Heo was born on August 31st, 1938 in Hamyang, South Gyeongsang Province. She had her childhood during the Korean War and began reading books as a way of overcoming harsh realities. She mainly read classical Korean literature, the collected works of world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etc. [4] In 1961, she debuted with Dojeongyeonga (도정연가 Journey Sonata), published in Modern Literature at the recommendation of Park Mok-wol. She worked with Kim Seon-yeong and Kim Hu-ran in 1963 to organize a female poetry coterie Cheongmihoe (Blue Eyebrow Association). She published poetry collections Gaseumen deut nunen deut (가슴엔 듯 눈엔 듯 In My Heart, In My Eyes) (1966), Eoyeoppeumiya eojji kkotppunirya (어여쁨이야 어찌 꽃뿐이랴 Flowers, They Are Not the Only Beauty) (1977), Joyonghan seulpeum (조용한 슬픔 Quiet Sadness) (1990), Eunui mugemankeum (은의 무게만큼 By the Weight of Silver) (2007), Tumyeonge daehayeo oe (투명에 대하여 외 On Transparency and Others) (2017) and others. She also published sijo collection Somyeorui gippeum (소멸의 기쁨 The Joy of Extinction) (2003), essay collections Han songi kkotdo dangsin tteuseuro (한 송이 꽃도 당신 뜻으로 Do as You Please Even on a Flower) (1978) and Areumdaun salmeul hyanghayeo (아름다운 삶을 향하여 Towards a Beautiful Life) (1980) and literary studies Hankuk yeoseongsiui ihaewa gamsang (한국 여성시의 이해와 감상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Korean Women's Poetry) (1997).

 

She served as a professor of Korean literature at Sungshin Women’s University, the standing director of Korean Culture and Arts Foundation, and the chairman of the Society of Korean Poets and the Korean Women's Literature Association. She won the Society of Korean Poets Award in 1972, the Woltan Literary Prize in 1985, the Dongni·Mogwol Literary Prize in 2008, the Heo Nanseolheon Poetry Prize and the Republic of Korea's Okgwan Order of Cultural Merit in 2015.

 

Writing

 

Poems of Love and Moderation

She is called “The Poet of Love and Moderation”. The nickname derives from the beauty of form achieved through the implications of love and meaning, her works’ main subject. The Oriental love song-style lyric poetry [5] that uses ‘han’ [6] as the main emotion and delicately depicts separation and longing of the beloved one is the biggest feature [7] of her poetry.

 

Love in her poetry is not limited to erotic love between men and women, but is manifest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parental and filial love and love for religious absolutes. Her poem regards “love” as the greatest value and reveals the multifaceted meaning of “love”. [8] Heo’s “love” extends beyond the realm of emotion and into reality. Bundan – Sangsacho (분단 – 상사초 Division – Herb of Longing) sings of the sorrow of the national division by comparing it to Sangsacho whose flowers and leaves cannot meet.

 

Another feature of her poetry, “moderation”, is expressed as a form of condensed beauty. The poet herself tried to make it contain the most meaning in as little language as possible. She described the value of acquiring rhythm, implications, polysemy, symbolism through temperance of language in the eight-line Muju (무제 Untitled·Ⅰ). [9] In Jasu (자수 Embroidery, the process of overcoming heartache and sorrow of losing a loved one by embroidering is described with restrained emotions and the poetic diction “riverside” expresses in a pithy way the state of equilibrium that was finally reached.[10]

 

Diverse Religiosity

Religiousness in her poems is not confined to a specific religion, but shows various facets such as Buddhism, Christianity, and pantheism. Her poetry Gwaneumbosallim (관음보살님 Avalokitesvara Bodhisattva) is tinged with Buddhism, using incense and kindles. Im (임 Thee) presents the pantheistic worldview in which all is God and Chakan moksu (착한 목수 Good Carpenter) eulogizes Jesus’ sacrifice and love. This attitude goes beyond the religious meaning and extends to a saga of men who put the broken selves at the center of the world in her poetry collection Makdalla maria (막달라 마리아 Mary Magdalene) (2017).[11] Multifaceted religiousness in her poems is seen to be attributable to a flexible attitude toward life and multilateral perspectives.

 

Works

 

Poetry Collections

《가슴엔 듯 눈엔 듯》, 중앙문화사, 1966 / Gaseumen deut nunen deut (In My Heart, In My Eyes), Joonangmunhwasa, 1966

《친전》, 문원사, 1971 / Chinjeon (Personal), Munwonsa, 1971

《어여쁨이야 어찌 꽃뿐이랴》, 범문사, 1977 / Eoyeoppeumiya eojji kkotppunirya (Flowers, They Are Not the Only Beauty), Beommunsa, 1977

《빈 들판을 걸어가면》, 열음사, 1984 / Bin deulpaneul georeogamyeon (If You Walk Down an Empty Field), Yeoreumsa, 1984

《내 작은 사랑은》, 예전사, 1986 / Nae jageun sarangeun (My Little Love), Yejeonsa, 1986

《조용한 슬픔》, 문학세계사, 1990 / Joyonghan seulpeum (Quiet Sadness), Munhaksegyesa, 1990

《기타를 치는 집시의 노래》, 미래문화사, 1995 / Gitareul chineun jipsiui norae (The Song of Gypsy Who Plays the Guitar), Miraemunhwasa, 1995

《목마른 꿈으로써》, 마을, 1997 / Mongmareun kkumeurosseo (Thirsty Dream), Maeul, 1997

《무지개를 사랑한 걸 후회하지 말자》, 좋은날, 1998 / Mujigaereul saranghan geol huhoehaji malja (Let’s Not Regret Loving the Rainbow), Joeunnal, 1998

《은의 무게만큼》, 마을, 2007 / Eunui mugemankeum (By the Weight of Silver), Maeul, 2007

《마리아 막달라》, 서정시학, 2017 / Maria makdalla (Mary Magdalene), Seojeongsihak, 2017

《투명에 대하여 외》, 황금알, 2017 / Tumyeonge daehayeo oe (On Transparency and Others), Goldegg, 2017

 

Sijo Collection

《소멸의 기쁨》, 문학수첩, 2003 / Somyeorui gippeum (The Joy of Extinction), Moonhak Soochup, 2003

 

Anthology

《이별하는 길머리엔》, 문학사상사, 1986 / Ibyeolhaneun gilmeorien (On the Verge of Breaking Up), Literature & Thought, 1986

《말의 향기》, 고려원, 1988 / Marui hyanggi (Fragrance of Words), Koreaone, 1988

《암청의 문신》, 미래사, 1991 / Amcheongui munsin (A Dark Blue Tattoo), Miraesa, 1991

《허영자 전시집》, 마을 1998 / Heo Young-ja jeonsijip (A Collection of Heo Young-ja’s poems), Maeul, 1998

《얼음과 불꽃》, 시월, 2008 / Eoreumgwa bulkkot (Ice and Flame), Siwol, 2008

《모순의 향기》, 시인생각, 2013 / Mosunui hyanggi (Scent of Contradiction), Siinsaenggak, 2013

 

Essay

《한 송이 꽃도 당신 뜻으로》, 문학예술사, 1978 / Han songi kkotdo dangsin tteuseuro (Do as You Please Even on a Flower), Munhagyesulsa, 1978

《아름다운 삶을 향하여》, 문학세계사, 1980 / Areumdaun salmeul hyanghayeo (Towards a Beautiful Life), Munhaksegyesa, 1980

《내가 너의 이름을 부르면》, 학원사, 1984 / Naega neoui ireumeul bureumyeon (If I Call Your Name), Hakwonsa, 1984

《영혼을 노래하며 아픔을 나누며》, 학원사, 1985 / Yeonghoneul noraehamyeo apeumeul nanumyeo (Singing the Soul and Sharing the Pain), Hakwonsa, 1985

《사랑과 추억의 불꽃》, 자유문학사, 1987 / Saranggwa chueogui bulkkot (The Flame of Love and Memories), Jayumunhaksa, 1987

《내일 우리가 이별할지라도》, 청맥, 1988 / Naeil uriga ibyeolhaljirado (Even If We Say Good-bye Tomorrow), Cheongmaek, 1988  

《우리 무엇을 꿈꾸었다 말하랴》, 백상, 1988 / Uri mueoseul kkumkkueotda malharya (What Did We Dream Of), Baeksan, 1988

《슬프지 않은 뒷모습은 없다》, 청맥, 1989 / Seulpeuji aneun dwinmoseubeun eopda (There Is No Such a Thing As the Back Without Heartaches), Cheongmaek, 1989

《가을 사진첩》, 청아, 1991 / Gaeul sajincheop (Autumn Photo Book), Cheonga, 1991

《휘발유 같은 여자이고 싶다》, 시학사, 1992 / Hwibaryu gateun yeojaigo sipda (I Want To Be a Woman Like Ethereal Oil), Sihaksa, 1992

《불로뉴 숲의 아침이슬》, 청산, 1993 / Bullonyu supui achimiseul (Morning Dew in Bois de Boulogne), Chungsan, 1993

《우리들의 사랑을 위하여》, 자유문학사, 1996 / Urideurui sarangeul wihayeo (For Our Love), Jayumunhaksa, 1996

《허영자 수필집》, 마을, 1998 / Heoyeongja supiljip (Heo Young-ja’s Essays), Maeul, 1998

《사랑의 일곱 가지 빛깔》, 정민미디어, 2003 / Sarangui ilgop gaji bitkkal (The Seven Colors of Love), Jeongmin Media, 2003

《살아 있다는 것의 기쁨》, 을지출판공사, 2015 / Sara itdaneun geosui gippeum (The Joy of Being Alive), Euljichulpangongsa, 2015

 

Theoretical Books

《한국여성시의 이해와 감상》, 문학아카데미, 1997 / Hankuk yeoseongsiui ihaewa gamsang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Korean Women's Poetry), Literature Academy, 1997 by Heo Young-ja et al (Korean literature of Sungshin Women’s University)

《한국문학 새로 읽기》,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1999 / Hangunkmunhak saero ikgi (New Reading on Korean Literatu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1999

 

Collections

《사랑은 스스로 선택하는 고통입니다》, 둥지, 2008 / Sarangeun seuseuro seontaekaneun gotongimnida (Love Is the Pain You Choose Yourself), Dungji, 2008 by Heo Young-ja, Yu An-jin, Mun Jeong-hui, I Hyang-a, Cheon Yang-hui, Park Hyeon-ryeong, Kim So-yeop, Kim Gyeong-hui, Seo Gyeong-on

<동백 지다>, 이근배, 허영자 외 / Dongbaeng jida (Camellia Falls) by Lee Geun-bae, Heo Young-ja, et al

《시, 우주를 채우다》, 현대시학사, 2019 / Si, ujureul chaeuda (Poetry Fills the Universe), Hyeondaesihaksa, 2019

 

Children’s Poem

《어머니의 기도》, 신태양사, 1996 / Eomeoniui gido (Mother’s Prayer), Sintaeyangsa, 1996

 

Awards

 

Society of Korean Poets Award (Prize winner – Persimmon and 4 poems) (1972) [12]

Woltan Literary Prize (Prize winner – The Light and Love of the Dark) (1985) [13]

National Literary Award (1998) [14]

Mogwol· Dongni Literary Prize (Prize winner – By the Weight of Silver) (2008) [15]

Heo Nanseolheon Poetry Prize (2015) [16]

Republic of Korea’s Okgwan Order of Cultural Merit (2015) [17]

 

References

 

1) [Heo Young-ja – Korea Poetry Collection Museum]

http://한국시집박물관.org/?mod=document&uid=603&page_id=30 Aug 03, 2019

2) [Wikipedia – ‘Han’]

https://en.wikipedia.org/wiki/Han_(cultural)

3) [Heo Young-ja – Naver encyclopedia of knowledge]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17017&cid=40942&categoryId=33385 Aug 03, 2019

4)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Heo Young Ja Interview, June 08, 2011

https://www.youtube.com/watch?v=5XMNQbRGpLw

5) Hwang Jini’s major works are Dongjitdal jinagin bam (동짓달 지나긴 밤 Frozen

Love) and poems written for So Se-yang. They are characterized by the sublimation of ‘han’ or delicate and beautiful description of emotions by tolerating the longing and the pain of breakup, rather than expressing them as they are. [Hwang Jini – Naver encyclopedia of knowledge]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696&cid=59015&categoryId=59015 Sep 03, 2019

6) [‘Han’ – Naver encyclopedia of knowledge]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96741&cid=60533&categoryId=60533 Sep 03, 2019

7) [Heo Young-ja – Naver encyclopedia of knowledge]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17017&cid=40942&categoryId=33385 Aug 03, 2019

8)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Heo Young Ja Interview, June 08, 2011

https://www.youtube.com/watch?v=5XMNQbRGpLw

9) Heo Young-ja “wants to make poetry contain the most meaning in as little language as possible.” Heo Young-ja (A Collection of Heo Young-ja’s poems), Maeul, 1998

10) [Embroidery – Naver encyclopedia of knowledge]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11818&cid=41773&categoryId=50391 Sep 03, 2019

11) Heo Young-ja, “Flowers, They Are Not the Only Beauty – My Poem, My Poetics,”

Heo Young-ja, (A Collection of Heo Young-ja’s poems), Maeul, 1998  

12) [Wikipedia – Society of Korean Poets Award]

https://ko.wikipedia.org/wiki/한국시인협회상 Aug 05, 2019

13) [Wikipedia – Woltan Literary Prize]

https://ko.wikipedia.org/wiki/월탄문학상 Aug 05, 2019

14) [Heo Young-ja – Naver People Search]

https://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허영자&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3096909&txp=prize Aug 05, 2019

15) [Wikipedia – Dongni·Mogwol Literary Prize]

https://ko.wikipedia.org/wiki/동리·목월문학상 Aug 05, 2019

16) “Heo Young-ja, the 3rd winner of Heo Nanseolheon Poetry Prize,” Yonhap News, May

02, 2015

https://www.yna.co.kr/view/PYH20150502022500062?input=1196m

17) “18 contributors to Culture and Arts are awarded Order of Cultural Merit,” Economytalk News Nov 11, 2015 http://www.economytalk.kr/news/articleView.html?idxno=129763

 

도입부

 

허영자(1938~)는 한국의 시인이다. 한(恨), 사랑, 기다림 등의 동양적 서정성을 고도의 압축미로 형상화1)하여 ‘사랑과 절제의 시인’으로 불린다. 전통적인 정서와 현대적 정서가 어우러진 개성적 시인으로 평가받는다.2)

 

생애

 

1938년 8월 경상남도 함양에서 태어났다. 6.25 한국전쟁 때 유년기를 보냈으며, 힘든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다. 한국의 고전문학, 세계문학전집, 한국문학전집 등을 주로 읽었다.3) 1961년 박목월의 추천을 받아 《현대문학》에 <도정연가> 등으로 등단하였다. 1963년 김선영, 김후란 등과 함께 여성시인 동인 <청미회(靑眉會)>를 조직해 활동했다.

 

시집 《가슴엔 듯 눈엔 듯》(1966), 《어여쁨이야 어찌 꽃뿐이랴》(1977), 《조용한 슬픔》(1990), 《은의 무게만큼》(2007), 《투명에 대하여 외》(2017) 등을 출간했다. 시조집 《소멸의 기쁨》(2003), 수필집 《한 송이 꽃도 당신 뜻으로》(1978), 《아름다운 삶을 향하여》(1980), 문학연구서 《한국 여성시의 이해와 감상》(1997) 등을 출간했다.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어국문학 교수,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상임이사, 한국시인협회장, 한국여성문학인회 회장 등을 지냈다. 1972년 한국시인협회상, 1985년 월탄문학상, 2008년 동리‧목월문학상, 2015년 허난설헌 시문학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2015년 옥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작품 세계

 

사랑과 절제의 시
허영자는 ‘사랑과 절제의 시인’으로 불린다. 이런 별칭은 허영자 시의 주요 소재인 사랑과 의미의 함축을 통해 달성되는 형식미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恨)4)을 주요 정서로 삼아 사랑하는 대상에 대한 이별과 그리움을 섬세하게 그려내는 동양적 연가풍5)의 서정시는 허영자 시의 가장 큰 특징이다.6)
허영자 시에 나타나는 사랑은 남녀간의 성애적 사랑에 한정되지 않고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 부모에 대한 자식의 사랑, 종교적 절대자를 향한 사랑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허영자의 시는 ‘사랑’을 가장 큰 가치로 간주하며 ‘사랑’이 지니는 다각적 의미를 드러낸다.7) 허영자의 ‘사랑’은 감정의 영역을 넘어 현실 문제로 확장되기도 한다. <분단 –상사초>에서는 꽃과 잎이 만나지 못하는 상사초를 빌어 민족 분단의 슬픔을 노래했다.

 

허영자 시의 또 다른 특징인 ‘절제’는 형식적 압축미로 발현된다. 시인 스스로도 가능한 한 적은 언어로 가장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자 노력한다고 밝혔다.8) 8줄로 이루어진 <무제‧Ⅰ>를 예시로 언어의 절제를 통하여 운율성, 함축성, 다의성, 상징성을 획득하는 것의 가치에 대하여 서술하기도 하였다.9) <자수>에서는 수를 놓음으로써 마음의 고통과 사랑의 슬픔을 극복하는 과정을 절제된 감정으로 서술하였으며, 마침내 도달한 평정 상태를 “강변”이라는 시어를 통해 압축적으로 표현하였다.10)

 

다양한 종교성
허영자 시에서 나타나는 종교성은 특정 종교에 국한되지 않고 불교, 기독교, 범신론 등 다양한 양상을 보여준다.11) <관음보살님>에서는 향과 촛불을 활용하면서 불교적 색채를 드러냈다. <임>에서는 온 세상에 존재하는 범신론적 세계관을 드러냈으며, <착한 목수>에서는 예수의 희생과 사랑을 칭송하기도 한다. 이러한 태도는 시집 《막달라 마리아》(2017)에서 종교적 의미를 넘어 상처 입은 자신을 스스로 세상의 중심에 세우는 인간의 서사로 확장된다.12) 허영자 시에 나타나는 다종다양한 종교성은 삶에 대한 유연한 태도와 다각적인 시선에서 비롯된 것으로 평가된다.

 

주요 작품

 

1) 시집
《가슴엔 듯 눈엔 듯》, 중앙문화사, 1966
《친전》, 문원사, 1971
《어여쁨이야 어찌 꽃뿐이랴》, 범문사, 1977
《빈 들판을 걸어가면》, 열음사, 1984
《내 작은 사랑은》, 예전사, 1986
《조용한 슬픔》, 문학세계사, 1990
《기타를 치는 집시의 노래》, 미래문화사, 1995
《목마른 꿈으로써》, 마을, 1997
《무지개를 사랑한 걸 후회하지 말자》, 좋은날, 1998
《은의 무게만큼》, 마을, 2007
《마리아 막달라》, 서정시학, 2017
《투명에 대하여 외》, 황금알, 2017 

 

2) 시조집
《소멸의 기쁨》, 문학수첩, 2003

 

3) 시선집
《이별하는 길머리엔》, 문학사상사, 1986
《말의 향기》, 고려원, 1988
《암청의 문신》, 미래사, 1991
《허영자 전시집》, 마을 1998
《얼음과 불꽃》, 시월, 2008
《모순의 향기》, 시인생각, 2013

 

4) 에세이
《한 송이 꽃도 당신 뜻으로》, 문학예술사, 1978
《아름다운 삶을 향하여》, 문학세계사, 1980
《내가 너의 이름을 부르면》, 학원사, 1984
《영혼을 노래하며 아픔을 나누며》, 학원사, 1985
《사랑과 추억의 불꽃》, 자유문학사, 1987
《내일 우리가 이별할지라도》, 청맥, 1988
《우리 무엇을 꿈꾸었다 말하랴》, 백상, 1988
《슬프지 않은 뒷모습은 없다》, 청맥, 1989
《가을 사진첩》, 청아, 1991
《휘발유 같은 여자이고 싶다》, 시학사, 1992
《불로뉴 숲의 아침이슬》, 청산, 1993
《우리들의 사랑을 위하여》, 자유문학사, 1996
《허영자 수필집》, 마을, 1998
《사랑의 일곱 가지 빛깔》, 정민미디어, 2003
《살아 있다는 것의 기쁨》, 을지출판공사, 2015

 

5) 이론서
《한국여성시의 이해와 감상》, 문학아카데미, 1997
허영자 외(성신여자대학교국어국문학과), 《한국문학 새로 읽기》,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1999

 

6) 모음집
허영자, 유안진, 문정희, 이향아, 천양희, 박현령, 김소엽, 김경희, 서경온, 《사랑은 스스로 선택하는 고통입니다》, 둥지, 2008
<동백 지다>, 이근배, 허영자 외, 《시, 우주를 채우다》, 현대시학사, 2019

 

7) 동시집
《어머니의 기도》, 신태양사, 1996

 

수상 내역

 

1972년 한국시인협회상 수상 (수상작 <감> 외 4편)12)
1985년 월탄문학상 수상 (수상작 《그 어둠의 빛과 사랑》)13)
1998년 민족문학상 수상14)
2008년 목월‧동리문학상 수상 (수상작 《은의 무게만큼》)15)
2015년 허난설헌 시문학상 수상16)
2015년 옥관문화훈장 수상17)

 

참고 문헌

 

1) [허영자 – 한국시집박물관]
http://한국시집박물관.org/?mod=document&uid=603&page_id=30 (2019.08.03.)
2) [허영자 –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17017&cid=40942&categoryId=33385 (2019.08.03.)
3) <한국문학번역원, 허영자 인터뷰>, 2011.06.08., https://www.youtube.com/watch?v=5XMNQbRGpLw
4) [한 –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96741&cid=60533&categoryId=60533 (2019.09.03.)
5)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황진이의 <동짓달 지나긴 밤>과 소세양에게 쓴 시 등이 있다. 그리움이나 이별의 슬픔 등을 그대로 표출하는 것이 아니라 감내함으로써 한(恨)으로 승화하거나, 감정을 섬세하고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황진이 –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696&cid=59015&categoryId=59015 (2019.09.03.))
6) [허영자 –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17017&cid=40942&categoryId=33385 (2019.08.03.)
7) <한국문학번역원, 허영자 인터뷰>, 2011.06.08., https://www.youtube.com/watch?v=5XMNQbRGpLw
9) 허영자, <많은 뜻을 적은 말 속에 담고 싶다>, 허영자, 《허영자 전시집》, 마을, 1998.
10) [자수 –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11818&cid=41773&categoryId=50391 (2019.09.03.)
11) 허영자, <어여쁨이야 어찌 꽃 뿐이랴 –나의 시, 나의 시론>, 허영자, 《허영자 전시집》, 마을, 1998.
12) [위키백과 – 한국시인협회상] https://ko.wikipedia.org/wiki/한국시인협회상 (2019.08.05.)
13) [위키백과 – 월탄문학상] https://ko.wikipedia.org/wiki/월탄문학상 (2019.08.05.)
14) [허영자 – 네이버 인물검색] https://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허영자&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3096909&txp=prize (2019.08.05.)
15) [위키백과 – 동리‧목월문학상] https://ko.wikipedia.org/wiki/동리·목월문학상 (2019.08.05.)
16) <제3회 허난설헌 시문학상 수상자 허영자 시인>, 《연합뉴스》, 2015.05.02., https://www.yna.co.kr/view/PYH20150502022500062?input=1196m
17) 경제풍월, <[2015 문화예술 유공자] 문화훈장 18명 수훈>, 《이코노미톡뉴스》, 2015.11.11., http://www.economytalk.kr/news/articleView.html?idxno=129763

许英子(1938-),韩国诗人。1961年在《现代文学》发表《道程恋歌》(《도정연가》)和《恋歌三首》(《연가 3수》),从此开始创作活动。1963年成立了韩国文学史上首个由女性诗人组成的纯诗同人——青眉会,创作了赞美“恨”与孤独本质的东方恋歌式的优美抒情诗,备受文坛的瞩目。      


  诗集《似在心里,似在眼中》(《가슴엔 듯 눈엔 듯》,1966)、《以渴求之梦》(《목마른 꿈으로써》,1997)


Original Works12 See More

  • DLKL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서울시인클럽회원 16인 작품집

    Seoulsiinkeulleophoewon 16in jakpumjip

    Cho Byeonghwa et al / 조병화 et al / 1989
  • DLKL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시와 사상

    Siwa sasang

    Ku Sang et al / 구상 et al / -
  • DLKL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오늘의 한국 문학

    Oneurui hangung munhak

    Heo Youngja et al / 허영자 et al / -

Translated Books11 Se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