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Baek Nakchung(백낙청)

Writer default image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Baek Nakchung
Family Name
Baek
First Name
Nakchung
Middle Name
-
Preferred Name
-
Pen Name
Baek Nakcheong, 白樂晴, 白楽晴
ISNI
0000000026376293
Birth
Unknown
Death
Unknown
Occupation
Writer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Korean(한국어)

백낙청(비평가)

 

1. 도입부

 

백낙청(1938~)은 한국의 비평가, 영문학자, 사회운동가이다. 1966년부터 40여 년간 《창작과 비평》1)의 편집인을 지냈으며, 민족문학론, 분단체제론, 이중과제론 등을 제기하며 한국문학의 비평담론을 주도했다. 1970년대부터 반독재 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2000년대 이후에도 통일운동가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2. 생애

 

1938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1955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브라운대학교에서 영문학과 독문학을 공부하였다. 1959년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했고, 1972년에 D.H. 로렌스 연구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4년 서울대 교수가 되었고, 1974년 유신헌법 반대 성명을 발표하여 파면되었다. 1980년 복직하여 2003년 정년퇴임할 때까지 근무했다.

1966년 창간을 주도하고 40여 년간 편집인을 맡은 계간지 《창작과 비평》은 백낙청의 문학 활동과 뗄 수 없는 관계가 있다. ‘창비’라는 약칭으로도 잘 알려진 《창작과 비평》은 단순한 문예지의 차원을 넘어 실천적 문학운동을 지향하며 1960-1970년대의 ‘계간지 시대’2)를 주도한 지식인 집단의 모체라고 할 수 있다. 《창작과 비평》은 1980년 전두환 독재 정부3)의 압력으로 폐간되었다가 1988년 복간되었다.

백낙청은 1970년대부터 자유실천문인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사회 민주화 운동의 주도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1996년에는 자유실천문인협의회가 개편된 민족문학작가회의의 이사장을 지냈다. 2005년 6.15 공동선언실천을 위한 남측 준비위원회 상임대표를 맡았고 2007년에 다시 재선되었으며 2009년에 명예대표로 추대되었다. 2009년에는 한반도평화포럼을 창립하여 공동대표와 공동이사장을 지냈다.4)

1966년 〈새로운 창작과 비평의 자세〉를 발표하면서 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이어 〈시민문학론〉(1969), 〈민족문학 개념의 정립을 위해〉(1974), 〈리얼리즘에 관하여〉(1981), 〈통일운동과 문학〉(1989), 〈지구화시대의 민족과 문학〉(1998) 등의 평론들을 발표하면서 한국문학의 이론비평 분야를 주도했다. 심산상(1987), 대산문학상(1993), 한겨레통일문학상(2009) 등을 수상했다.

 

3. 작품 세계

 

백낙청의 글쓰기는 영문학, 인문학, 사회비평, 문학비평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백낙청의 문학세계를 대표하는 분야는 단연 이론비평이라고 할 수 있다. 해방 이후 한국문학에서 손꼽히는 이론비평가 백낙청의 비평 세계는 시민문학론, 민족문학론, 분단체제론, 이중과제론, 리얼리즘론 등으로 전개되었다.

 

시민문학론

시민문학론은 백낙청이 제시한 최초의 문학이론이다. 〈시민문학론〉(1969)에 따르면 서구의 시민계급과 시민의식은 봉건제도의 해체기에 등장하기 시작하여 프랑스혁명기에 절정기에 도달했다. 반면 한국의 시민의식은 조선 후기의 실학과 동학운동에서 싹텄으며 일제 강점기의 3.1운동으로 계승되었다. 시민문학론은 서구 문학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보면서 1970년대의 민족문학론으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평가된다.5)

 

민족문학론

〈민족문학 개념의 정립을 위해〉(1974)에서 백낙청은 민족문학이란 ‘민족의 주체적 생존과 인간적 발전이 요구하는 문학’이라는 유명한 정의를 내렸다.6) 그에 따르면 민족문학은 열강의 침략으로 민족의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요구된 특수한 개념이며, 한국의 경우 식민지 통치하의 한국 민족·민중의 반식민·반봉건적 요구에 부응한 문학이다.7) 이처럼 민족문학은 철저하게 역사적인 개념이고, 역사적 상황이 존재하는 한에서만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다. 백낙청은 외국어로 번역하기 대단히 어려운 한국의 특수한 민족문학의 성격을 보편적 세계문학과의 관계 속에서 설명하기도 했다.8) 민족문학론은 시민문학론의 자연스런 발전 형태이며, 거기에는 이후 전개된 분단체제론, 이중과제론의 핵심이 담겨 있다.

 

분단체제론

백낙청은 1980년대의 벌어진 사회구성체논쟁9)에 개입하면서 민족문학론의 연장선상에서 분단체제론을 제기했다.10) 분단체제론은 한반도에서 적대적으로 공존하는 한국과 북한의 독특한 두 체제를 세계체제의 하위 시스템 중 하나로 파악한다.11) 분단체제론의 설명에 따르면, 한반도 분단체제의 극복은 남북한의 단순한 통일이나 민족국가의 복원과 다르며, 세계체제의 변화와도 밀접하게 연동되는 복잡한 과정이다. 이러한 시대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변혁적 중도주의’라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변혁적 중도주의에서 변혁은 한반도 분단체제의 변혁을 뜻하며, 중도주의는 이를 위해 남한 사회에서 취해야 할 실천노선이다.12) 복잡한 이론 체계를 갖고 있는 분단체제론은, 남한과 북한이 각기 다른 체제로 공존하고 있는 현실을 인정하면서 한반도 전체의 발전과 변화를 구상한 독창적인 이론으로 평가된다.

 

이중과제론

이중과제론은 민족문학론, 분단체제론의 연장선에서 한반도를 넘어 세계 전체를 적용 대상으로 삼은 이론이다.13) 백낙청이 ‘근대 극복과 근대 적응의 이중과제’를 처음 제기한 글은 〈한반도에서의 식민성 문제와 한국 근대의 이중과제〉(1999)이다. 이중과제는 장기적인 시간대에서 자본주의 세계체제에서 보편적 의미를 갖는 실천범주이지만, 실천의 구체적인 양상은 국가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중기적 시간대에서는 한반도 차원에서의 분단체제 극복, 단기적 시간대에서는 한국사회에서의 변혁적 중도주의로 발현된다.14)

 

리얼리즘론:

백낙청의 리얼리즘론은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한국문학에서 간헐적으로 전개된 리얼리즘 논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15) 백낙청은 〈시민문학론〉(1969)에서 서구 근대문학사에서 리얼리즘이 형성되는 과정을 소개하면서 성숙한 역사의식에 기반한 리얼리즘을 시민문학의 창작원리로 제시했다. 백낙청은 리얼리즘을 창작방법의 차원이 아닌 정신의 문제로 간주하며, 사실적인 묘사보다 현실에 대한 정당한 인식과 실천적 관심을 강조한다. 백낙청의 독특한 리얼리즘론은 로렌스의 소설론, 하이데거의 예술론, 불교적 진리관이라는 이질적인 세 요소를 통합한 것으로 평가된다.16)

 

4. 주요 작품

 

1) 평론집

《민족문학과 세계문학1》, 창작과비평사, 1978.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 시인사, 1979.

《민족문학과 세계문학2》, 창작과비평사, 1985.

《민족문학의 새 단계》, 창작과비평사, 1990.

《현대문학을 보는 시각》, 솔, 1994.

《분단체제 변혁의 공부길》, 창작과비평사, 1994.

《흔들리는 분단체제》, 창작과비평사, 1998.

《통일시대 한국문학의 보람》, 창비, 2006.

《한반도식 통일, 현재진행형》, 창비, 2006.

《어디가 중도며 어째서 변혁인가》, 창비, 2009.

《문학이 무엇인지 다시 묻는 일》, 창비, 2011.

《(합본개정판)민족문학과 세계문학1: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 창비, 2011.

《2013년 체제 만들기》, 창비, 2012.

《문명의 대전환과 후천개벽: 백낙청의 원불교 공부》, 모시는사람들. 2016.

 

2) 인터뷰, 대담, 좌담

《백낙청 회화록 1-7》, 창비, 2007-2017.

《여럿이 함께: 다섯 지식인이 말하는 소통과 공존의 해법》, 웅진씽크빅, 2007.

《백낙청: 주체적 인문학을 위하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백낙청이 대전환의 길을 묻다: 큰 적공을 위한 전문가 7인 인텨뷰》, 창비, 2014.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패러다임북, 2018.

 

3) 공저

《21세기의 한반도 구상》, 창작과비평사, 2004.

《이중과제론: 근대적응과 근대극복의 이중과제》, 창비, 2009.

《87년 체제론: 민주화 이후의 한국 사회의 인식과 새 전망》, 창비, 2009.

《신자유주의 대안론: 신자유주의 혹은 시장만능주의 넘어서기》, 창비, 2009.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공부》, 상상너머, 2011.

《시민사회의 기획과 도전: 근대성의 검토》, 민음사, 2016.

《한결같되 날로 새롭게: 창비 50년사 1966-2015》, 창비, 2016.

《변혁적 중도론》, 창비, 2016.

《변화의 시대를 공부하다: 분단체제론과 변혁적 중도주의》, 창비, 2018.

 

4) 편저

《문학과 행동》, 태극출판사, 1976.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창작과비평사, 1981.

《한국문학의 현단계1》, 창작과비평사, 1982.

《한국문학의 현단계2》, 창작과비평사, 1983.

《한국문학의 현단계3》, 창작과비평사, 1984.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창작과비평사, 1984.

《한국문학의 현단계4》, 창작과비평사, 1985.《사랑의 변주곡: 김수영 시선집》, 창작과비평사, 1985.

《어느 바람: 고은 시선》, 창작과비평사, 2002.

 

5) 번역서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현대편》, 창작과비평사, 1974.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고대중세편》, 창작과비평사, 1976.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근세편(상)》, 창작과비평사, 1980.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근세편(하)》, 창작과비평사, 1981.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4》, 창작과비평사, 1999.

《목사의 딸들》, 창작과비평사, 1991.

《패니와 애니》, 창비, 2013.

《(개정번역판)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4》, 창비, 2016.

 

5. 번역된 작품

 

Sol Chun-gyu, Song Seung-cheol, Kim Myung-hwan, The shaking division system, Changbi, 2005.17)

Kim Myung-hwan, The Division System in Crisis: Essays on Contemporary Kore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

李順愛 編譯, 《白樂晴評論選集1》, 同時代社, 1992.

李順愛 編譯, 《白樂晴評論選集2》, 同時代社, 1993.

青柳 純一 譯, 朝鮮半島の平和と統一, 岩波書店, 2008.18)

青柳 純一 譯, 《韓國民主化2.0》, 岩波書店, 2012.19)

金正浩, 郑仁甲 譯, 全球化时代的文学与人: 分裂体制下韩国的视角, 中国文学出版社, 1998.20)

朱玫, 李政勋,林家瑄,苑英奕,孙海龙 譯, 《分斷體制 民族文學》, 聯經出版公司, 2010. 21)

李大可 譯, 《打造二0一三年體制》, 臺灣 行人文化實驗室, 2014.22)

 

6. 수상 내역

1987년 심산상

1993년 대산문학상

1997년 요산문학상

1998년 은관문화훈장

2001년 만해상 실천부문상

2006년 늦봄문익환통일상

2009년 김대중학술상

2009년 한겨레통일문화상

 

 

7. 참고문헌

 

(1) 후주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56639&cid=46668&categoryId=46668

2) ‘계간지 시대’는 1966년 《창작과 비평》이 창간되고, 1970년 《문학과 지성》이 창간되어 두 잡지가 공존하다가 1980년 강제 폐간되기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계간지 시대’는 이후 한국문학의 틀을 마련한 설정적 시기로서의 의의를 지니며, 매체사적으로 기존 동인지에 비해 개인적인 체계를, 문학사적으로 문학의 시대적 사명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인식을, 비평사적으로 외재적 비평으로 전환과 활발한 방법론적 탐색을 그 특징으로 한다.(안서현, 〈계간지 시대 비평 담론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 학생백과: 제5공화국 전두환 정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86401&cid=47322&categoryId=47322

4) 백낙청의 생애는 《약전으로 읽는 문학사1》(소명, 2008)의 〈백낙청〉 부분, 《백낙청 회화록》의 〈백낙청 연보〉에 근거하여 작성하였다.

5)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4911&cid=41708&categoryId=41737

6) 한국민족문학대백과: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57838&cid=46645&categoryId=46645

7) 한국현대문학대사전: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4912&cid=41708&categoryId=41737

8) 손유경,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을 통해 본 1970년대식 진보의 한 양상〉, 《한국학연구》35,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9) 나무위키: 사회구성체 논쟁

https://namu.wiki/w/사회구성체 논쟁

10) 이상갑, 〈내부의 시선과 외부의 시선의 균형감각〉, 《한국학연구》17,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2

11) 이순애, 〈백낙청의 분단체제론〉, 《오늘의 문예비평》, 오늘의 문예비평, 2001.

12) 네이버 책 소개: 《변화의 시대를 공부하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654989

13) 네이버 열린 연단: 근대, 적응과 극복의 이중과제

https://openlectures.naver.com/contents?contentsId=48484&rid=251#literature_contents

14) 예스24 책 소개: 출판사 서평

http://www.yes24.com/Product/Goods/3367360

15) 한국근현대사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0474&cid=62048&categoryId=62048

16) 김미영, 〈백낙청의 리얼리즘론과 로렌스, 하이데거, 불교의 관련성〉, 《한국현대문학연구》44, 한국현대문학회, 2014.

17) 한국문학번역원 디지털도서관 https://library.ltikorea.or.kr/node/9872

18) 한국문학번역원 디지털도서관 https://library.ltikorea.or.kr/node/41295

19) 창비 https://www.changbi.com/archives/44902?cat=3378

20) 한국문학번역원 디지털도서관 https://library.ltikorea.or.kr/node/8239

21) 한국문학번역원 디지털고서관 https://library.ltikorea.or.kr/node/31891

22) 百度 豆瓣读书 https://book.douban.com/subject/26021966/

 

 

Original Works5 See More

Translated Books5 Se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