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입부
김달진(1907~1989)은 한국의 시인이자 한학자이다. 1930년대 초반 불교에 귀의한 이래 한글대장경을 비롯해 수십 권의 동양 고전을 번역했다. 시 창작에 있어서도 불교 사상을 기반으로 삼아 직관적인 언어로 자연의 본질을 예리하게 포착해냈다.
생애
성장기
1907년 경상남도 창원에서 태어났다. 서울에서 경신중학교에 다니던 때 일본인 영어교사 추방운동을 이끌다가 퇴학을 당했다. 고향으로 돌아온 후 모교인 계광보통학교에서 조선총독부에 의해 학교가 폐쇄될 때까지 7년 동안 학생들을 가르쳤다. 일본에서 유학 중이던 형이 동경 유학을 권했지만 거절하고, 대신 문학전집을 읽으며 틈틈이 시작(詩作) 노트를 만들었다.1) 1929년 양주동의 추천으로 문예지 《문예공론》에 시 「잡영수곡」을 처음으로 발표했다.
출가
1933년 가을에 출가하여 1934년 봄 금강산 유점사의 김운악 주지스님을 은사로 삼았다. 불교 귀의의 계기는 우연한 것이었는데 김달진은 “찢어진 벽지 사이의 초벌 신문지에서 뚜렷이 보이는 ‘불(佛)’자를 발견한 나는 섬광처럼 마음속의 무엇인가에 강렬한 자극을 받았다.”고 설명했다.2) 1935년 경남 함양의 화과원(華果院)3)에 들어가 반선반농(半禪半農)으로 지내면서 백용성 스님이 번역한 《화엄경》의 윤문 작업에 힘썼다.
동인활동
1936년 동국대학교의 전신인 불교전문학교에 입학해 1939년 졸업했다. 이 시기에 서정주, 김동리, 오장환 등을 만나 ‘시인부락(詩人部落)’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창작에도 열중했다. 1940년 첫 시집 《청시(靑枾)》를 펴냈다.4)
중국 만주행
학업을 마치고 유점사로 돌아온 뒤 전국의 70여 사찰을 순회하며 강론했다. 그러나 일본 경찰의 감시가 심했다. 1941년 김달진은 자신을 감시하던 일본 경찰을 때려눕히고 중국 만주 용정에 있는 대각교 농장으로 향했다. 이곳에서 소설가 안수길이 발행하는 잡지 《싹》에 시를 발표하기도 했다.5)
귀국
북간도 생활 1년 만에 귀국하여 유점사에서 해방을 맞았다. 서울로 가서 소설가 이광수의 소개로 동아일보 문화부 기자로 입사하고 청년문학가협회의 부회장직을 맡았다. 그러나 이런 일들에서 그가 지향하는 가치를 발견할 수 없었기에 모두 사임하고 1946년부터 1962년까지 지방에서 교사로 지냈다. 1947년 ‘죽순(竹筍)’ 동인으로 참여하여 여러 작품을 발표하기도 했다.6)
역경(譯經)사업
교사로 지내던 기간에 김달진은 간간히 동양의 고전을 번역해 출판했다. 그리고 퇴직 후에 발간한 《한산시》(1964)를 계기로 당시 남양주 봉선사의 주지이자 동국대학교 역경원장이었던 운허스님을 만났다. 운허스님의 권유로 고려대장경 역경사업7)에 동참, 1989년 임종할 때까지 대장경 번역에 힘쓰게 된다. 역경사업에 동참한 20여 년간 김달진은 매일 20~30매를 번역했는데, 그렇게 집필된 원고 분량이 200자 원고지 15만 장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 외에도 김달진은 약 30여 권에 달하는 동양 고전 번역서를 출간했다.
기념 사업(memorial project)
1989년 82세의 나이로 김달진이 삶을 마감한 후 그에 대한 추모가 이어졌다. 1990년 김달진문학상이 제정되었고 1999년부터는 김달진문학제가 개최되고 있다. 또한 2004년 김달진 생가복원사업이 추진되어 2005년 진해에 생가가 복원되었고 김달진문학관이 세워졌다.8)
작품세계
주요 주제(main themes)
김달진 시의 특징은 자연에 대한 관조와 종교적 초월의 태도이다.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세속적 영욕이나 번뇌를 초월한 절대세계에 대한 지향을 보여준다. 김달진의 첫 시집 《청시》(1940)에 수록된 시들은 일제강점기라는 현실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기보다는 일상의 풍경이나 내면 성찰을 기록한 것이 대부분이다. 시적 화자는 자아의 완성을 위한 내적 갈등을 차분한 어조로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눈’, ‘샘물’, ‘우물’, ‘거울’, ‘하늘’ 등의 소재가 자아 성찰의 매개물로서 빈번하게 등장한다.9) 예컨대 <샘물>은 자연과 내가 하나라는 물아일여적(物我一如的) 상상력을 우주적 차원으로 확대하며, <그리는 세계 있기에>는 세속적 삶을 환(幻), 즉 허깨비로 보고 그것의 유혹을 벗어나기 위해 무위자연의 태도를 추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10)
평가
김달진은 일제강점기부터 제도권 문단의 편입을 거부하고 재야의 시인으로 남았다. 시 창작에 있어서도 이데올로기나 관념에 치우치지 않고 자연 본연의 모습을 형상화하고자 했다. 또한 구체적이고 섬세한 시어와 감각적인 이미지의 결합을 통해 관념과 감성을 조화롭게 표현해 보였다. 이런 특징 때문에 김달진의 시는 물질만능주의에 휘둘리는 현대 사회에 인간 본연의 순수성을 일깨워 주었다고 말해진다.11) 문학사적으로 김달진은 한용운에서 조지훈으로 이어지는 동양적 정신세계와, 신석정 등이 보여준 불교적·노장적 시세계를 독자적으로 계승하였다고 평가된다.12)
그러나 김달진은 시 창작보다 불경을 비롯한 동양 고전의 번역에 더 충실했기 때문에 한국문학사에서 큰 주목을 받지는 않았다.13) 시인 오세영은 “시인의 작품들이 은둔생활에 가까운 생활로 대부분 묻혀 있는 만큼 그의 문학사적 위치를 제대로 찾아주려면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14)
주요작품
1) 개인전집·선집
《김달진 시전집 : 올빼미의 노래》, 시인사, 1983.
《김달진 전집》, 시인사, 1984.
《김달진 선시집 : 한 벌 옷에 바리때 하나》, 민음사, 1990.
《청시 : 김달진 시선》, 미래사, 1991.
《김달진 전집》1-9, 문학동네, 1997-2008.
《씬냉이 꽃(외)》, 범우, 2007.
《김달진 시선》,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2) 시집
《청시》, 청색지사, 1940.
《큰 연꽃 한송이 피기까지》, 동국역경원, 1974.
3) 산문집
《삼보찬》, 경성문화사, 1982.
《산거일기》, 세계사, 1990.
《쉽고 뜻깊은 불교 이야기》, 나남, 1991.
4) 번역서
《고문진보》, 청우출판사, 1958.
《법구경》, 현암사, 1962.
《한산시》, 법보원, 1964.
《장자》, 현암사, 1965.
《지눌, 혜심, 각훈》, 동화출판공사, 1972.
《경한, 보우, 나옹》, 동화출판공사, 1972.
《삼보찬》, 불교사상사, 1973.
《장자》, 정한출판사, 1975.
《법구경》, 정한출판사, 1975.
《금강삼매경론》, 열음사, 1986.
《현대한국선시》, 열화당, 1987.
《선시와 함께 엮은 장자》, 고려원, 1987.
《보조국사전서》, 고려원, 1987.
《당시전서》, 민음사, 1987.
《붓다차리타》, 고려원, 1988.
《한산시》, 세계사, 1989.
《한국한시1. 고조선-조선중기》, 민음사, 1989.
《한국한시2. 조선중기-근대》, 민음사, 1989.
《한국한시3. 여류시편》, 민음사, 1989.
《태고집》, 세계사, 1991.
《한글세대를 위한 법구경》, 세계사, 1992.
《한가로운 도인의 길》, 세계사, 1992.
《백가지 인연과 비유》, 동국대학교부설역경원, 1992.
《진각국사어록》, 세계사, 1993.
《대승기신론소별기 외》, 동국대학교 부설 동국역경원, 2002.
《땅에서 넘어진자 땅을 집고 일어나라 : 보조국사어록》, 동화출판사, 2008.
《지혜의 말씀 법구경》, 서정시학, 2011.
5) 공저·편저
《전쟁론》(공역), 청우출판사, 1955.
《손오병서》(공역), 청우출판사, 1958.
《일곱가지의 아내 : 자비와 사랑의 사십이장》(편저), 법통사, 1964.
《원효, 원측, 의상, 혜초, 체관, 의천》(공역), 동화출판공사, 1972.
《불교설화 : 자비와 사랑의 말씀》(편저), 국민서관, 1973.
《휴정, 유정, 부휴, 보우, 진묵》(공역), 동화출판공사, 1977.
《큰 소나무는 변하지 않는 마음 : 서산대사 선시집》(편역), 시인사, 1983.
《한국선시》(편역), 열화당, 1985.
《샘물 속에 바다가》(공저), 문학사상사, 1987.
《한국선시의 새벽》(편역), 서정시학, 2011.
《한산시》(편역), 서정시학, 2012.
번역된 작품
詩と思想, No.348 Vol.3, 2016.315)
КИМ ДАЛЖИН НАЙРАГЧИЙН ШИЛМЭЛ ТҮҮВЭР, 201616)
Because of the rain: a selection of Korean zen poems, 200517)
Сборник корейской поэзии, 201418)
참고문헌
1) 어현경, <김달진(월하거사. 1907~1989)>, 《불교신문》, 2005.07.16.,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67222
2) 김달진, <나의 인생, 나의 불교>, 《불교사상》, 1984.6.
3) 화과원은 단순한 농장이 아니라 항일독립운동과 불교개혁의 역사·문화적 거점으로 기능했다고 알려져 있다. 지성호, <"함양 화과원, 항일독립운동·불교개혁 거점">, 《연합뉴스》, 2016.11.14., https://www.yna.co.kr/view/AKR20161114149000052
4) 김달진문학관 홈페이지,
http://www.daljin.or.kr/
5) 김규환, <김달진의 생애와 작품세계>, 《서울신문》, 2008.04.19.,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80419023006#csidx159a02286928b01a2ac60c2bf969ccd
6) 어현경, <김달진(월하거사. 1907~1989)>, 《불교신문》, 2005.07.16.,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67222
7) 대장경이란 불교연구에 관한 기록을 모아 만든 일종의 총서를 말한다. 현존하는 대장경은 크게 팔리어 경전, 티베트대장경, 한역대장경으로 나뉜다. 이 중 한역대장경은 한문으로 번역된 불교경전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한역대장경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 것은 팔만대장경으로 알려진 고려대장경이다. 고려대장경을 한국어로 편찬한 것을 한글대장경이라고 한다. 1964년에 개원한 동국대학교 동국역경원이 주체가 되어 한글대장경 사업을 추진하였고 2001년 총 318권으로 완간되었다. 김달진은 운허 스님, 탄허 스님, 법정 스님, 조지훈, 서정주, 우정상, 홍정식, 이종익 등과 함께 이 사업의 초기 역경위원회에 포함되었다. 동국대학교 한글대장경 홈페이지 한글대장경 소개, https://abc.dongguk.edu/ebti/c1/sub1.jsp
8) 신용원, <'김달진 시인' 생가 소사마을 문화탐방 개발>, 《비사벌뉴스》, 2015.11.04.,
http://www.gnnl.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0
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청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6827
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김달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894
11) 김규환, <김달진의 생애와 작품세계>, 《서울신문》, 2008.04.19.,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80419023006#csidx159a02286928b01a2ac60c2bf969ccd
1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김달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894
13) 어현경, <김달진(월하거사. 1907~1989)>, 《불교신문》, 2005.07.16.,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67222
14) 김규환, <김달진의 생애와 작품세계>, 《서울신문》, 2008.04.19.,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80419023006#csidx159a02286928b01a2ac60c2bf969ccd
15) [한국문학번역원] 전자도서관 번역서지정보 https://library.ltikorea.or.kr/node/21507
16) [한국문학번역원] 전자도서관 번역서지정보 https://library.ltikorea.or.kr/node/30187
17) [한국문학번역원] 전자도서관 번역서지정보 https://library.ltikorea.or.kr/node/9561
18) [한국문학번역원] 전자도서관 번역서지정보 https://library.ltikorea.or.kr/node/31247
한글 위키피디아 [김달진]
https://ko.wikipedia.org/wiki/김달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김달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894
한글 위키피디아 [김달진문학상]
https://ko.wikipedia.org/wiki/김달진문학상
[김달진문학관] http://www.daljin.or.kr/ (2019.08.06. 10:00(UTC 9:00))
[동국역경원] http://www.tripitaka.or.kr/ (2019.08.06. 10:00(UTC 9:00))
[한글대장경] https://abc.dongguk.edu/ebti/index.jsp (2019.08.06. 10:00(UTC 9:00))
Introduction
Kim Daljin (1907 -1989) was a Korean poet and scholar of the Chinese classics. Since he converted to Buddhism in the early 1930s, he translated dozens of Oriental classics as well as the Tripitaka. When he wrote poetry, he captured the true nature in an intuitive language based on the Buddhist idea.
Life
Youth
He was born in 1907 in Changwon in Gyeongsangnam-do Province. When he attended Gyeongsin Middle School in Seoul, he led a movement to deport a Japanese English teacher and he was expelled. When he came back to his hometown, he taught at his old school, Gyegkwang Primary School, for seven years until the school was clos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is older brother who was studying in Japan recommended that he also came to Japan to study but he rejected, and instead, he started writing poetry in his spare time while reading literature.1) He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Japyeongsugok (잡영수곡 Miscellaneous Poems)” in Munyegongron, a literary magazine, as Yang Judong recommended.
Conversion to Buddhism
Converting to Buddhism in Fall, 1933, he became a pupil of Kim Unak, the chief priest of the Yujeomsa Temple in the Geumgangsan Mountain in Spring, 1934. It was coincident that he became a monk. He explained, “When I found the word Buddha on a newspaper through a crack in ripped wall paper, I was inspired by something inside of me like a flash.”2) In 1935, he came to Hwagwawon3) in Hamyang, Kyeongnam to polish Hwaeomgyeong (화엄경 Avatamska Sutra) that had been translated by Priest Baek Yongseong while doing farm work and cultivating himself spiritually.
Coterie Activity
He was admitted to Buddhist College, the origin of Dongguk University, in 1936, and graduated in 1939. During this time, he became a member of a poetry group, ‘Siiin Burak,’ with Seo Jeongju, Kim Dongri and Oh Janghwan and also focused on writing. In 1940, he published his first poetry collection, Cheongsi (청시 Blue Persimmons).4)
Travel to Manchuria
After graduating, he returned to the Yujeomsa Temple and he traveled 70 temples across the nation to give a lecture. But the Japanese police’s surveillance was severe. In 1941, when he knocked down a Japanese policeman who was watching him, he headed to a farm in Manchuria where he published a poem in Ssak, a literary magazine issued by novelist Ahn Sukil.5)
Return to Korea
After one year in North Gando, he came back to Korea and stayed in the Yujeomsa Temple when Korea was independent. He went to Seoul, and thanks to novelist Yi Kwangsu, he entered Dong-A Ilbo to work as a reporter of the cultural department while serving as the vice president of the Youth Writers’ Association. But he could not find what he valued there, so he resigned from all of the positions and returned to a rural area to teach from 1946 to 1962. In 1947, he became a member of a literary coterie ‘Juksun,’ and published several poems. 6)
Translation of Confucian Classics
While he was teaching, he occasionally translated and published Oriental classics. Thanks to a poetry collection, Hansansi (한산시 Poetry of Hansan) (1964), published after he retired, he met Priest Unheo, the chief priest of the Bongseonsa Temple and director of the Buddhist translation center of Dongguk University. As Priest Unheo suggested, he joined the translation project of the Goryeo Tripitaka into Korean7) and he was hard at work on translating until he died in 1989. For almost 20 years, he translated 20-30 pages every day, which adds up to 150,000 pages of squared manuscript paper. In addition, he published as many as 30 volumes of translation of Oriental classis.
Memorial Projects
Since he died at his age of 82 in 1989,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commemorate him. In 1990, the Kim Daljin Literary Award was founded, and since 1999, the Kim Daljin Literary Festival has been held. In 2004, a project to restore his birthplace was launched, and in 2005, it was completely rebuilt in Jinhae along with the Kim Daljin Literary House.8)
Writing
Main Themes
The characteristics of Kim’s poetry are revealed through his contemplation of the nature and spiritual transcendence. His poetry depicts an orientation toward an absolute world beyond secular glory and shame or agony based on Buddhism. The poems in his first poetry collection, Blue Persimmons (1940), describe daily landscape or self-examination, rather than the realit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narrator delivers his inner conflict to achieve the perfection of self in an even tone. Over the course of his journey, materials such as snow, spring water, well, mirror and sky are used frequently as a vehicle of self-examintion.9) For example, “Sammul (샘물 Spring Water)” expands the imagination where the nature and oneself are one into the universal level. “Geurineun segye itgie (그리는 세계 있기에 Because There is a World I Dream of)” shows an attitude of leaving nature as it is in order to avoid the temptation of secular life that is considered hallucination.10)
Appraisal
Kim refused to join the institutionalized literary community since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lived in seclusion. When it comes to writing poetry, he tried to represent the nature as it is without being inclined to any ideology. In addition, he expressed concepts and sensibility harmoniously through combining a sensitive poetic language with sensuous images. Thanks to these features, Kim’s poetry has been considered to arouse purity as people’s true character in the modern society that is heavily influenced by materialism.11) From a perspective of literary history, Kim was considered to inherit the Oriental spirit passed down from Han Yongun to Cho Jihun, and the Buddhist world of Shin Seokjeong in his own way.12)
However, because he more focused on translating Oriental classics including Buddhist Sutras than writing poetry, he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in terms of the Korean literary history.13) Poet Oh Seyeong said, “Most of his works have not been discovered because of his life in seclusion, so it requires much more research to properly evaluate his influence on the literary history.”14)
Works
1) Complete Works, Anthologies
《김달진 시전집 : 올빼미의 노래》, 시인사, 1983 / Gimdaljin sijeonjip: olbbaemiui norae (Kim Daljin’s Complete Poetry : Songs of an Owl), Siinsa, 1983.
《김달진 전집》, 시인사, 1984 / Gimdaljin Jeonjip (Kim Daljin’s Complete Works), Siinsa, 1984.
《김달진 선시집 : 한 벌 옷에 바리때 하나》, 민음사, 1990 / Gimdaljin seonsijip : han beol ose barittae hana (Kim Daljin’s Buddhist Poetry Collection: One Piece of Clothes and One Rice Bowl), Minuemsa, 1990.
《청시 : 김달진 시선》, 미래사, 1991 / Cheongsi: gimdaljin siseon (Blue Persimmons : Kim Daljin’s Selected Poems), Miraesa, 1991.
《김달진 전집》1-9, 문학동네, 1997-2008 / Gimdaljin jeonjip (Kim Daljin’s Compete Works) Vol. 1-9. Munhakdongne, 1997-2008.
《씬냉이 꽃(외)》, 범우, 2007 / Ssinnaengi kkot oi (Flower of Shepherd's Purse and Others), Beomu, 2007.
《김달진 시선》,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 Gimdaljin siseon (Kim Daljin’s Selected Poems), Jimanji, 2013.
2) Poetry Collections
《청시》, 청색지사, 1940 / Cheongsi (Blue Persimmons), Cheongsaekjisa, 1940.
《큰 연꽃 한송이 피기까지》, 동국역경원, 1974 / Keun yeonkkot hansongi pigikkaji (Until One Big Lotus Flower Blooms), Dongguk Buddhist Translation Center, 1974.
3) Essays
《삼보찬》, 경성문화사, 1982 / Sambochan (Praise for Three Treasures), Gyeongseongmunhwasa, 1982.
《산거일기》, 세계사, 1990 / Sangeoilgi (Diary of Living in Mountains), Segyesa, 1990.
《쉽고 뜻깊은 불교 이야기》, 나남, 1991 / Swipgo ddeutgipeun bulgyo iyagi (Easy and Meaningful Buddhist Stories), Nanam, 1991.
4) Translations 번역서
《고문진보》, 청우출판사, 1958 / Gomunjinbo (True Treasures of Old Writing), Cheongu, 1958.
《법구경》, 현암사, 1962 / Beobgugyeong (Dhammapada), Hyeonamsa, 1962.
《한산시》, 법보원, 1964 / Hansansi (Poetry of Hansan), Beobbowon, 1964.
《장자》, 현암사, 1965 / Jangja (Zhuangzi), Hyeonamsa, 1965.
《지눌, 혜심, 각훈》, 동화출판공사, 1972 / Jinul, hyesim, gakhun (Buddhist Masters Jinul, Hyesim, Gakhun), Donghwa, 1972.
《경한, 보우, 나옹》, 동화출판공사, 1972 / Kyeonghan, bou, naong (Buddhist Masters Kyeonghan, Bou, Naong), Donghwa, 1972.
《삼보찬》, 불교사상사, 1973 / Sambochan (Praise for Three Treasures) Bulgyosasangsa, 1973.
《장자》, 정한출판사, 1975 / Jangja (Zhuangzi), Jeonghan, 1975.
《법구경》, 정한출판사, 1975 / Beobgugyeong (Dhammapada), Jeonghan, 1975
《금강삼매경론》, 열음사, 1986 / Geumgangsammaegyeongron (Interpretation of Geumgangsammaegyeong), Yeoleumsa, 1986.
《현대한국선시》, 열화당, 1987 / Hyeondaehangukseonsi (Modern Korean Buddhist Poetry), Yeolhwadang, 1987.
《선시와 함께 엮은 장자》, 고려원, 1987 / Seonsiwa hamkke yeokkeun jangja (Zhuangzi Associated with Buddhist Poetry), Goryeowon, 1987.
《보조국사전서》, 고려원, 1987 / Bojoguksajeonseo (Complete Works of Bojoguksa), Goryeowon, 1987.
《당시전서》, 민음사, 1987 / Dangsijeonseo (Tang Poetry), Mineumsa, 1987.
《붓다차리타》, 고려원, 1988 / Butdacharita (Life of Buddha), Goryeowon, 1988.
《한산시》, 세계사, 1989 / Hansansi (Poetry of Hansan), Segyesa, 1989.
《한국한시1. 고조선-조선중기》, 민음사, 1989 / Hangukhansi 1 (Traditional Korean Poetry 1. Gojoseon – Mid Joseon Dynasty), Mineumsa, 1989.
《한국한시2. 조선중기-근대》, 민음사, 1989 / Hangukhansi 2 (Traditional Korean Poetry 2. Mid Joseon Dynasty - Modern), Mineumsa, 1989.
《한국한시3. 여류시편》, 민음사, 1989 / Hangukhansi 3 (Traditional Korean Poetry 3. Poetry by Female Poets), Mineumsa, 1989.
《태고집》, 세계사, 1991 / Taegojip (Collection of Taego), Segyesa, 1991.
《한글세대를 위한 법구경》, 세계사, 1992 / Hangeulsedaereul wihan beobgugyeong (Dhammapada for the Hangeul Generation), Segyesa, 1992.
《한가로운 도인의 길》, 세계사, 1992 / Hangaroun doineui gil (Carefree Life of an Ascetic), Segyesa, 1992.
《백가지 인연과 비유》, 동국대학교부설역경원, 1992 / Baegaji inyeongwa biyu (One Hundred Kinds of Relationship and Metaphor), Dongguk Buddhist Translation Center, 1992.
《진각국사어록》, 세계사, 1993 / Jingakguksaeorok (Quotations of Jingakguksa), Segyesa, 1993.
《대승기신론소별기 외》, 동국대학교 부설 동국역경원, 2002 / Daeseunggisinronsobyeolgi oi (Appendix on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and Others), Dongguk Buddhist Translation Center, 2002.
《땅에서 넘어진자 땅을 집고 일어나라 : 보조국사어록》, 동화 출판사, 2008 / Ttangeseo neomeojinja ttangeul jipkko ireonara : bojoguksaeorok (If You Fall Down, Push Yourself up from the Ground: Quotations of Bojoguksa), Donghwa, 2008.
《지혜의 말씀 법구경》, 서정시학, 2011 / Jihyeui malsseum beobgugyeong (Dhammapada, Words of Wisdom), Seojeongsihak, 2011
5) Co-authorship, Compilation
《전쟁론》(공역), 청우출판사, 1955 / Jeonjaengron (Theory of War) (Co-translation), Cheongu, 1995.
《손오병서》(공역), 청우출판사, 1958 / Sonobyeongseo (Book on Strategy of Sun Tzu and Wu Qi) (Co-translation), Cheongu, 1958.
《일곱가지의 아내 : 자비와 사랑의 사십이장》(편저), 법통사, 1964 / Ilgobgajiui anae : jabiwa sarangui sasipijang (Seven Different Kinds of Wife : 42 Chapters of Mercy and Love) (Compilation), Beobtongsa, 1964.
《원효, 원측, 의상, 혜초, 체관, 의천》(공역), 동화출판공사, 1972 / Wonhyo, woncheuk, uisang, hyecho, chegwan, uicheon (Buddhist Masters Wonhyo, Woncheuk, Uisang, Hyecho, Chegwan, Uicheon) (Co-translation), Donghwa, 1972.
《불교설화 : 자비와 사랑의 말씀》(편저), 국민서관, 1973 / Bulgyoseolhwa: Jabiwa sarangui malsseum (Buddhist Tales : Words of Mercy and Love) (Compilation), Gungminseogwan, 1973.
《휴정, 유정, 부휴, 보우, 진묵》(공역), 동화출판공사, 1977 / Hyujeong, yujeong, buhyu, bou, jinmuk (Buddhist Masters Hyujeong, Yujeong, Buhyu, Bou, Jinmuk) (Co-translation), Donghwa, 1977.
《큰 소나무는 변하지 않는 마음 : 서산대사 선시집》(편역), 시인사, 1983 / Keun sonamuneun byeonhasi anneun maeum : seosandaesa seonsijip (A Big Pine Tree is the Heart that Never Changes : Great Master Seosan’s Buddhist Poetry Collection) (Edited Translation), Siinsa, 1983.
《한국선시》(편역), 열화당, 1985 / Hangukseonsi (Korean Buddhist Poetry) (Edited Translation), Yeolhwadang, 1985.
《샘물 속에 바다가》(공저), 문학사상사, 1987 / Sammul soge badaga (Ocean in Spring Water) (Co-author), Mhnhaksasangsa, 1987
《한국선시의 새벽》(편역), 서정시학, 2011 / Hangukseonsie saebyeok (Dawn of Korean Buddhist Poetry) (Edited Translation), Seojeongsihak, 2011.
《한산시》(편역), 서정시학, 2012 / Hansansi (Poetry of Hansan) (Edited Translation), Seojeongsihak, 2012.
Works in Translation
《시와 사상》, 2016 / 詩と思想, No.348 Vol.3, 2016.315)
《김달진 시선》/ КИМ ДАЛЖИН НАЙРАГЧИЙН ШИЛМЭЛ ТҮҮВЭР, 201616)
《한국선시》/ Because of the rain: a selection of Korean zen poems, 200517)
《당신이 신이다》/ Сборник корейской поэзии, 201418)
References
1) Eo, Hyeonkyeong. “Kim Daljin (Wolhageosa (1907 – 1989),” Bulgyo Shinmun. July 16, 2005.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67222
2) Kim, Daljin. “My life, My Buddhism,” Bulgyo Sasang. June, 1984.
3) Hwagwawon is not just a farm but is also known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se for Korea’s independence movements and reforming of Buddhism.
Ji, Seongho. “Hamyang Hwagwaw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se for Korea’s Independence Movements and Reformation of Buddhism,” Yonhap News, November, 14, 2016.
https://www.yna.co.kr/view/AKR20161114149000052
4) Kim Daljin Literary House Website
http://www.daljin.or.kr/
5) Kim, Gyuhwan. “Kim Daljin’s Life and Writing,” Seoul Shimun. April 19, 2008.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80419023006#csidx159a02286928b01a2ac60c2bf969ccd
6) Eo, Hyeonkyeong. “Kim Daljin (Wolhageosa (1907 – 1989),” Bulgyo Shinmun. July 16, 2005.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67222
7) Tripitaka is a kind of complete collection of records related with Buddhist research. Currently the existing Tripitaka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Pali Stura, Tibetan Tripitaka and Translated Tripitaka. Among these, the translated Tripitaka refers to Buddhist Sutras as a whole that are translated into Chinese classics. The most outstanding one is the Goryeo Tripiṭaka, also known as Palman Daejanggyeong (Eighty-Thousand Tripiṭaka). The Hangul Tripitaka is the translation of the Goryeo Tripiṭaka into Korean. The Dongguk Buddhist Translation Center, founded in 1964, led the Hangul Tripitaka project, and in 2001, the total of 318 books were completed. Kim Daljin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as the initial translation committee along with Zen Master Unheo, Zen Master Tanheo, Zen Master Bopjong, Cho Jihun, Seo Jeongju, Wu Jeongsang, Hong Jeongsik and Lee Jongik.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the website of Dongguk University Hangul Tripitaka: https://abc.dongguk.edu/ebti/c1/sub1.jsp
8) Shin, Yongwon. “Cultural Tourism Developed for the Birthplace of Poet Kim Daljin,” Bisabeol News. November 4, 2015.
http://www.gnnl.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0
9)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Blue Persimmons]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6827
10)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Kim Daljin]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894
11) Kim, Gyuhwan. “Kim Daljin’s Life and Writing,” Seoul Shimun. April 19, 2008.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80419023006#csidx159a02286928b01a2ac60c2bf969ccd
12)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Kim Daljin]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894
13) Eo, Hyeonkyeong. “Kim Daljin (Wolhageosa (1907 – 1989),” Bulgyo Shinmun. July 16, 2005.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67222
14) Kim, Gyuhwan. “Kim Daljin’s Life and Writing,” Seoul Shimun. April 19, 2008.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80419023006#csidx159a02286928b01a2ac60c2bf969ccd
15)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https://library.ltikorea.or.kr/node/21507
16)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https://library.ltikorea.or.kr/node/30187
17)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https://library.ltikorea.or.kr/node/9561
18)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https://library.ltikorea.or.kr/node/31247
Korean Wikipedia [Kim Daljin]
https://ko.wikipedia.org/wiki/김달진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Kim Daljin]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894
Korean Wikipedia [Kim Daljin Literary Award]
https://ko.wikipedia.org/wiki/김달진문학상
[Kim Daljin Literary House] http://www.daljin.or.kr/ (August 6, 2019. 10:00(UTC 9:00))
[Dongguk Buddhist Translation Center] http://www.tripitaka.or.kr/ (August 6, 2019. 10:00(UTC 9:00))
[The Korea Tripitaka] https://abc.dongguk.edu/ebti/index.jsp (August 6, 2019. 10:00(UTC 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