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Mankyo (born 1967) is a South Korean writer and professor.
Life
Lee Mankyo was born in Chungju, North Chungcheong Province, the son of an Anglican priest of a rural parish. Lee studied chemistry at university before switching to Korean literature, graduating from Pai Chai University. He earned his Ph.D in Korean literature from Inha University. Lee made his literary debut in 1992 winning the poetry category of the Munye Joongang New Writer's Contest, and in 1998, when he won the fiction category of Munhakdongne's Story Competition. He won the 2000 Today's Writer Award with his novel, Gyeolhoneun, michin jisida (결혼은, 미친 짓이다 Marriage is Madness). He is currently a professor of creative writing at Hanseo University.
Writing
Lee Mankyo's work features a verbal energy reminiscent of a garrulous exchange between gossipers. The various happenings in the lives of ordinary urbanites, which constitute Lee's fiction, are often of serious nature entailing many social implications, yet their style of being told is invariably lighthearted and jovial. Lee has stated that for him “any object, person or situation characterized by authority, exclusivity or piety excites a desire to make light of them—to make them laugh, or make them an object of laughter.” Ultimately, what Lee critiques through his parody is not the conventions of society but the hypocrisy surrounding them.
In Gyeolhoneun, michin jisida, Lee's most well-known novel that was made into a film by the director and poet Yoo Ha, a series of amusing and frank conversations between two lovers strip away the layers of hypocrisy and falsehood surrounding marriage, sex and love in modern age.
His second novel, Meokkone jibe nolleo ollae? (머꼬네 집에 놀러 올래? Will You Come Play at Meokko's House?) paints an entertaining as well as insightful picture of family dynamics during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7, known in South Korea as the IMF crisis. The childlike frankness of the narrator allows a candid view of the gravity of the situation and also enables moments of laughter as well as pathos in the novel.
Lee's latest novel, Yesun yeoseonmyeongui hangissi (예순 여섯명의 한기씨 Sixty-six Hangis), is inspired by the Yongsan disaster of January 2009. The novel is structured as a series of interviews with 66 people who knew Lim Hangi, a fictional character standing in for the complex chain of violence and corruption surrounding the incident, in which an occupied demonstration turned into a fire that took the lives of five protestors and a police officer.
Su obra tiene una energía verbal que trae a la mente una conversación locuaz entre gente chismosa. Los sucesos en las vidas de personas corrientes de la ciudad que constituyen la ficción de Lee Mankyo son siempre de una naturaleza seria y conllevan muchas implicaciones sociales, pero su estilo es alegre y jovial. En El matrimonio es un acto de locura, su novela más conocida, que fue adaptada el cine con el mismo título,3 una serie de conversaciones sinceras entre dos personas que se aman, arrancan las capas de hipocresía y falsedad del matrimonio, el sexo y el amor. Otra novela, ¿Vendrás a la casa de Meokko para jugar?, retrata a una familia de forma reveladora y dinámica durante la crisis del FMI en 1997. La infantil franqueza del narrador proporciona una cándida visión de la gravedad de la situación y también permite momentos de risa.4Lee Mankyo ha declarado que para él "cualquier objeto, persona o situación caracterizados con autoridad, exclusividad o devoción le hace tener deseos de convertirlos en motivo de risa o hacerlos reír".5 Lo que critica con sus parodias no son las convenciones de la sociedad sino la hipocresía que las rodea. Según su punto de vista, la belleza natural inherente a la vida familiar y a la institución del matrimonio está distorsionada por el ansia de poder que se disimula bajo la apariencia de orden y bien comunal. Por esto, los niños cumplen un papel central en muchas de sus obras: la hipocresía que domina el mundo adulto es particularmente insoportable cuando contamina la inocencia de un niño.
Les récits de Yi Man-kyo sont riches en dialogues et en échanges de paroles entre les personnages. Les nombreuses péripéties que vivent les habitants des villes sont au centre de ses écrits, péripéties souvent liées à des problèmes sociaux importants ; cela n'empêche pas l'auteur de raconter ces événements parfois difficiles avec la plus grande légèreté. Dans son roman le plus populaire, Le mariage est une folie (Gyeolhoneun michin jisida), qui a été adapté en film2, il fait intervenir un couple qui fuit l'hypocrisie du mariage, de la sexualité et de l'amour dans une conception moderne de la société. Un autre de ses romans, Veux-tu venir t'amuser à la maison de Meokko ? (Meokkone jibe nolleogallae) dépeint le quotidien d'une famille au milieu des années 1990 pendant la crise du FMI. L'honnêteté naïve du narrateur permet d'apporter une légèreté face à la gravité de la situation, un mélange de rires et de sourires, de moments légers, et de moments plus graves3.Yi a ainsi affirmé que "Les objets, les personnes, ou les situations caractérisés par l'autorité, l'exclusivité ou la piété appellent à un désir de les mettre en lumière, de les faire rire, ou d'en faire un objet de dérision4." En somme, ce qu'il critique dans ses récits, ce ne sont pas les conventions de la société, mais l'hypocrisie qui y règne. Selon lui, la beauté inhérente au mariage et à la vie de famille est mise à mal par la soif de pouvoir qui prend les apparences de quelque chose d'utile pour le bien de la communauté. Ainsi les enfants ont-ils un rôle central dans ses récits : l'hypocrisie qui règne dans le monde des adultes est rendue particulièrement pernicieuse quand elle touche directement les enfants.
1967年、忠清北道忠州市に生まれる。李の小説は都市で生きていく様々な人々の姿を事実的かつ愉快に描いている。映画化された代表作である『결혼은 미친 짓이다(結婚は狂ったことだ)』は、男女間の率直な対話を通じて現代社会の愛や性、結婚の偽善的な姿を露にしている。また、長編小説『머꼬네 집에 놀러 올래?(モコの家に遊びに来る?)』は、バブルがはじけた後の韓国社会の一面を子供の視線で鋭く描いている。
이만교(1967~ )는 대한민국의 소설가다.
생애
이만교는 1967년 충청북도 충주에서 태어났다. 배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인하대학교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 시 부문, 1998년 《문학동네》 동계문예공모 소설 부문에 작품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작가는 소설 뿐 아니라 글쓰기에 관한 책도 출간하고 강연을 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한서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작품 세계
이만교는 제도가 인간에게 가하는 억압과 주변부에서 소외당하는 사람들의 궁핍한 현실 등 동시대 한국 사회의 풍속과 그 사회사적 의미를 작품의 주제로 삼은 소설을 주로 발표하고 있다. 특히 인간의 속물적인 면과 국가권력에 희생당한 사람들의 모습 등 작가 당대에 발생한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문제를 외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소설로 형상화 하고 있다.
작가의 첫 장편소설인 《결혼은 미친 짓이다》(2000)는 현실적이고 속물적인 거래가 되어버린 결혼과 이를 뒷받침하는 가부장제를 비판한다. 사랑을 믿지 않고 허울뿐인 제도인 결혼을 냉소하며 관습적으로 사회에 편입되어가는 소설 속 인물들은 개인의 욕망과 가족주의 사이에서 방황한다. 이 소설은 단문과 대화체로 이루어진 감각적인 문장을 통해 젊은이들의 결혼에 대한 인식 그리고 무감각해진 도덕의식과 개인의 욕망에 대해서 질문을 던졌다. 2001년에는 유하 감독의 연출로 영화화되기도 하였다.
장편소설 《머꼬네 집에 놀러올래?》(2001)에서는 IMF 이후 균열된 한국 사회의 단면을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묘파해냈다. 작품 속 인물들은 IMF 때문에 공장에 다니던 어머니의 근무조건이 악화되거나 형과 작은 누나의 임금이 큰 폭으로 삭감되고 갈빗집으로 호황을 누리던 큰누나는 파산하는 등 당시 한국 사회를 구성하던 시민의 삶이 무너지는 모습을 적실하게 그려내었다. 동시에 작가는 작품 속 별 볼일 없는 인물들의 이야기도 함께 제시하면서 그들의 꿈과 고통도 놓치지 않고 조명해내었다.
이만교의 세 번째 장편소설 《아이들은 웃음을 참지 못한다》(2003)는 어느 시골 여름에 일어난 소년들의 이야기다. 읍내의 공장에 다니는 큰 누나에게서 선물 받은 공으로 마을의 권력자가 된 주인공 동이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욕망을 고찰한다. 일종의 우화로 해석될 수도 있는 이 소설에서 공은 자본주의가 제공한 욕망이지만 결국 공(空)에 불과한 것이라는 주제를 전달한다. 특히 소설은 욕망의 대상들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면서, 인간 본연의 욕망과 충동의 어두운 이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장편 《예순 여섯명의 한기씨》(2019)는 2009년 1월 20일에 발생한 ‘용산참사’를 주요한 모티프로 삼은 작품이다. 소설은 평범한 대학생이던 주인공이 부당한 재개발 정책에 반발하던 용산4구역 철거민들이 무장한 경찰의 과잉진압으로 6명이 사망한 참사를 조사하는 과정을 따라 전개된다. 작가는 주인공을 통해 재개발 철거 현장에서 왜 자신의 정체성과 존재를 잃어야 했는지, 잊었거나 애써 잊고자 했던 그날의 사건을 회고하는 인터뷰이 66명의 생생한 목소리를 다큐멘터리적인 시선으로 재구성한다.
주요 작품
1) 소설집
《나쁜 여자, 착한 남자》, 민음사, 2003.
2) 장편소설
《결혼은 미친 짓이다》, 민음사, 2000.
《머꼬네 집에 놀러올래?》, 문학동네, 2001.
《아이들은 웃음을 참지 못한다》, 민음사, 2003.
《예순 여섯명의 한기씨》, 문학동네, 2019.
《이야기의 이야기의 이야기》, 상상, 2021.
3) 일반교양
《나를 바꾸는 글쓰기 공작소》, 그린비, 2009.
《개구리를 위한 글쓰기 공작소》, 그린비, 2012.
《생각을 문장으로 바꾸는 글쓰기 공작소》, 현대문학, 2020.
수상 내역
2000년 제24회 오늘의작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