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Kim Jeong-hwan(김정환)

Writer default image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Kim Jeong-hwan
Family Name
Kim
First Name
Jeong-hwan
Middle Name
-
Preferred Name
Kim Jeong-hwan
Pen Name
Kim Jung-whan, Kim Jeong-hwan, Kim Chŏng-hwan
ISNI
-
Birth
1954
Death
-
Occupation
Poe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Spanish(Español)
  • French(Français)
  • German(Deutsch)
  • Japanese(日本語)
  • Korean(한국어)

Kim Jeong-hwan (born 1954) is a South Korean poet, novelist, critic, and translator.


Life 

Kim Jeong-hwan was born in Seoul and studied English literatur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made his literary debut in 1980 when the quarterly Changbi published his "Mapogangbyeon dongneeseo" (마포강변 동네에서 Mapo, At a Riverside Town) and five other poems. He is known for the poems "Haebang seosi" (해방 서시) and "Yuchaekkotbat" (유채꽃밭) and has published some 25 poetry collections over his career, including Jiul su eomneun norae (지울 수 없는 노래 A Song That Cannot Be Erased), Hwangsaengnyesu (황색예수 The Biography of Yellow Jesus), and Uri nodongja (우리 노동자 We the Laborers); five novels, and numerous volumes of essays, nonfiction, and literary criticism. As a translator, Kim has undertaken the gargantuan task of translating Shakespeare’s complete works into Korean, a project he completed from 2008 to 2012. He has received the 2007 Baek Seok Literary Award and the 2017 Manhae Literature Prize. Jasugyeonbonjip (자수견본집 An Embroidery Sampler) carries his Korean poems alongside his own English translations. 


Writing

Kim's first poetry collection, Jiul su eomneun norae, depicts the internal turmoil and strife of an intellectual who suffers under the dire political conditions and absence of free thinking in the Korea of the early 1980s. The poetry of this era did not often offer a direct or mainstream depiction of contemporary social realities, but was rather an expression of sympathy and admiration for the minjung and their sorrow and resentment. 

His serialized poetry collection, Hwangsaengnyesu, surpasses the narrow scope of his early poems, and offers a personal and positive perspective on saving the people. In this collection, the poet allows the reader to hear the messages for the people's independence and struggle through the words of Jesus and from the perspective of heaven. 

Kim's voice in Uri nodongja is more declarative than in his earlier poems, an indication of the increasingly political nature of his works. Laborers are also central figures who reject hypocrisy and falsity to quest instead for freedom in a land where they suffer from exploitation and oppression. The poet's examination of a society actualized chiefly by the working class, is his most lucid, clearly constructed work, and clearly exhibits the poetic transformation undergone in the late 1980s. 

In the late 1990s, Kim published Gichae daehayeo (기차에 대하여 About Trains). The poems in this collection, through simple, concise diction free of the occasional monotony of prose, effectively reveal the worldview and character of the working class.

In his latest collection, An Embroidery Sampler, the poet plunges deep into the themes of time and death, as well a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aking ownership of Korean culture, the driving force behind our sense of community. 


Su primera recopilación de poemas Una canción que no se puede borrar representa la agitación y lucha interna de un intelectural que subre bajo la extrema situación política y la ausencia de libertad de pensamiento en la Corea de principios de los ochenta. La poesía de esta época no suele representar de forma directa las realidades sociales contemporáneas, sino que es más bien una expresión de simpatía y admiración por el pueblo común y de sus tristezas y resentimientos.

Su recopilación serializada de poesía, La historia del Jesús amarillo, sobrepasa el alcance de sus primeros poemas y ofrece una perspectiva personal y positiva para salvar al pueblo. En esta recopilación, el poeta hace que el lector escuche los mensajes para la independencia y la lucha del pueblo a través de las palabras de Jesús y desde la perspectiva del paraíso.

La voz de Kim Jeong-hwan en Nosotros, los trabajadores es más declarativa que en sus poemas anteriores, lo que es una muestra de la naturaleza cada vez más política de su obra. Los trabajadores también son la figura central de quien rechaza la hipocresia y la falsedad para buscar la libertad en una tierra en la que sufren la explotación y la opresión.4 El análisis de una sociedad hecha real sobre todo por la clase trabajadora es su obra de factura más lúcida y clara y muestra de forma concisa su transformación poética a finales de los ochenta.

A finales de los noventa publicó otra recopilación de poemas titulada Sobre trenes. Los poemas en esta recopilación, a través un lenguaje simple y libre de la ocasional monotonía de la prosa, muestran la visión y el carácter de la clase obrera.5

También ha publicado varios poemas realistas que tratan del sufrimiento, la frustración y las esperanzas del pueblo común.6

 

Le premier recueil de poèmes de Kim Jeong-hwan, Une chanson qui ne peut être effacée (Jiulsu eomneun norae) dépeint les souffrances et les tourments d'un intellectuel brimé et censuré sous la dictature militaire au début des années 1980. Sa poésie n'est pas une attaque frontale et directe du gouvernement en place à l'époque, mais une manière de témoigner de l'empathie et du réconfort envers les personnes laissées pour compte ou écrasées. Ces récits sont ainsi avant tout teintés de politique ; il attache une importance particulière à dénoncer les méfaits et les influences des politiques dictatoriales sur la vie des plus faibles1.

 

Kim Jeong-hwan wurde am 22. Januar 1954 in Seoul geboren. Er machte 1980 seinen Abschluss in Anglistik an der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0 debütierte er mit der Veröffentlichung von sechs Werken.

Kims Betrachtungen einer Gesellschaft, die größtenteils von der Arbeiterklasse getragen wird, stellt ganz deutlich die poetische Transformation dar, die er in den späten Achtzigern durchlief. Ende der neunziger Jahre veröffentlichte Kim eine Gedichtsammlung mit dem Titel Über Züge (기차에 대하여). Die Gedichte in diesem Sammelband offenbaren die Weltanschauung und den Charakter der Arbeiterklasse, durch eine simple und prägnante Ausdrucksweise, frei von der gelegentlichen Monotonie, wie sie normalerweise in Prosa zu finden ist.

Kim veröffentlichte auch einige realistische Gedichte, die sich mit dem Leiden, den Frustrationen und den Hoffnungen der Minjung (Volksmassen) beschäftigen.[3]

 

1980年、ソウル大学校の英文学科を卒業した。1980年の夏、『創作と批評』に「麻浦、川辺の町で」などの6篇の作品を発表して登壇した。その後、民衆の苦しみと挫折、希望をリアルリズムな手法で表して発表した。
民衆文学に対する彼の関心は、単なる創作活動だけに留まらず、文芸運動組織である自由実践文人協議会にも積極的に参加してその意志を表した。
1988年、発表した小説「世の中へ」は、自分の成長過程を扱った自伝的な小説だと言える。

 

김정환(1954~ )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며 번역가다. 


생애

김정환은 1954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80년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다. 1980년 여름 계간지 《창작과비평》에 <마포, 강변동네에서> 등 시 6편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작가는 등단 이후 민중들의 고통과 좌절, 그리고 희망, 즉 민중의 삶을 문학으로 형상화하는 작업에 대한 관심은 단순히 창작활동에 그치지 않고 문예운동조직인 <자유실천문인협의회> 사무국장을 거쳐 민중문화운동연합 의장·노동자문화예술운동연합 의장 등을 맡으며 90년대 초반 진보적인 문화운동에 앞장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김정환은 시와 소설로 90년대에 대해 발언하면서 역사와 음악에 대한 관심으로 다양한 책을 출간하기도 했다. 한국의 역사를 새로운 시각에서 정리한 《삼국의 흥망과 통일》(1996) 등 한국 통사를 출간했고, 기독교 방송국에서 클래식 프로그램 <아름다운 그대에게>를 진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음악이 있는 풍경1,2》(1997~1998) 등 음악에 관한 다수의 책을 출간하기도 했다. 

한편 작가는 시와 소설 외에 번역을 통한 문학 활동도 했는데, 2008년에 시작해서 2012년에 끝난 총 23권의 《셰익스피어 전집》 번역은 번역문학계는 물론이고 영문학에서도 중요한 작업으로 평가받았다.  


작품 세계

김정환은 민중들의 고통과 좌절, 그리고 희망을 리얼리즘적 방법으로 형상화한 시들을 주로 발표해왔다. 시인이 시대의 진실을 조명하고 사회의 변화를 위한 실천을 수행하면서 시인만의 언어로 발표해온 작품들은 1990년대 민중문학의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았다. 또한 시간과 죽음, 늙는 것과 일상의 균열 등에 대해서도 관심을 확장하여 시 작업을 하고 있다. 

《황색예수》(1983)는 종교가 없는 김정환이 성경을 모티프로 삼아 억압과 착취로 뒤틀린 1980년대 한국 사회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 시집이다. 시집은 형식적으로는 ‘장편’(전체)과 ‘연작’(개체들)이 공존하며, 내용적으로는 ‘황색’(현실 속의 인간)과 ‘예수’(상징적 존재)의 대립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꿈꾸는 모습을 보여준다. 즉 김정환은 이 시집에서 폭력적인 현실에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동시에 1980년대 민중문학의 미학적 성취를 보여주고 있다.  

김정환은 시집 《개인의 거울》(2018)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서서 늙어가는 육체와 누적되는 시간을 포착하여 삶의 균열을 담아내고 있다. 시인 특유의 깊은 통찰과 직관을 통해 변혁의 대상으로서의 세계가 아니라 그 세계를 구성하는 사소하지만 어디에나 존재하는 삶들을 그리고 있다. 

시집 《자수견본집》(2019)에서 시인은 시간과 죽음이라는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었고 동시에  공동체를 움직이는 동력인 한국의 문화에 대해 주체적인 태도를 강조하는 작품들을 담아내었다.  


주요 작품

1) 시집

《황색예수》, 문학과지성사, 1983(개정판, 2018).

《지울 수 없는 노래》, 창비, 1982.

《사랑 노래》, 청년사, 1984. 

《좋은 꽃》, 민음사, 1985.

《기차에 대하여》, 창비, 1990. 

《다시 살아 부르는 노래》, 힘, 1992.

《희망의 나이》, 창비, 1992.

《노래는 푸른 나무 붉은 잎》(1~2), 실천문학사, 1993.

《겨울 소나무》, 문예사조, 1995. 

《텅 빈 극장》, 세계사, 1995(개정판, 2013).

《순금의 기억》, 창비, 1996. 

《황소의 눈빛》, 문예사조, 1997. 

《얼룩진 강물》, 문예사조, 1998. 

《김정환 시집 1980~1999》, 이론과실천, 1999 

《해가 뜨다》, 문학과지성사, 2000. 

《하노이 서울 시편》, 문학동네, 2003.

《레닌의 노래》, 열림원, 2006. 

《드러남과 드러냄》, 강, 2007. 

《거룩한 줄넘기》, 강, 2008. 

《유년의 시놉시스》, 삼인, 2010. 

《거푸집 연주》, 창비, 2013.

《해가 뜨다》, 문학과지성사, 2014.

《내 몸에 내려앉은 지명(地名)》, 문학동네, 2016.

《소리책력》, 민음사, 2017.

《개인의 거울》, 창비, 2018.

《자수견본집》, 도서출판 아시아, 2019.


2) 장편소설

《세상 속으로》(1~2), 동광출판사, 1988.

《희망, 그 후》(1~2), 민맥, 1991.

《파경과 광경》, 푸른숲, 2000.

《ㄱ자 수놓는 이야기》, 문학동네, 2012.


3) 산문집

《클래식은 내 친구1~2》, 웅진지식하우스, 1995.

《음악이 있는 풍경1》, 이론과실천, 1997.

《음악이 있는 풍경2》, 이론과실천, 1998.

《전망은 그릴 수 없는 아름다운 그림》, 사회평론, 1999. 

《내 영혼의 음악》, 청년사, 2001.

《그 꽃의 비밀》, 자음과모음, 2003.

《남자, 여자, 그리고 영화》, 웅진북스, 2003.

《명기(名妓) 문학 산책》, 문예비전, 2003.

《고유명사들의 공동체》, 삼인, 2004.

《김정환의 할 말 안할 말》, 열림원, 2006.

《김정환의 만남, 변화, 아름다움》, 문학동네, 2007.

《이 세상의 모든 시인과 화가》, 삼인, 2009.

《어떤 예술의 생애》, 호미, 2011.

《백조의 노래》, 월인, 2011.

《음반의 세계사》, 문학동네, 2011.

《한국사 오디세이》, 바다출판사, 2012.

《한국현대사 갑순이와 갑돌이》, 호미, 2014.


4) 번역서

《셰익스피어 전집》(1~23권), 아침이슬, 2012.


5) 교양서

《20세기를 만든 사람들》, 푸른숲, 1995.

《불교와 예술의 나라》, 푸른숲, 1996.

《삼국의 흥망과 통일》, 푸른숲, 1996.

《신화와 문명의 시작》, 푸른숲, 1996.

《근대로 가는 길》, 푸른숲, 1997.

《백성을 위한 나라》, 푸른숲, 1997.

《반란의 시대》, 푸른숲, 1997.

《역사의 희망과 희망의 역사》, 푸른숲, 1998. 

《21세기를 지배하는 문화의 키워드》, 김영사, 2001.

《김정환 천자문》, 사문난적, 2010.


수상 내역

2007년 제9회 백석문학상

2009년 제8회 아름다운 작가상

2017년 만해문학상


Original Works3

  • DLKL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보물선

    Bomulseon

    Kim Jeong-hwan / 김정환 / -
  • 자수견본집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자수견본집

    Jasugyeonbonjip

    Kim Jeong-hwan / 김정환 / 2019
  • DLKL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다양성의 목소리: 한국전후시인선

    Dayangseongui moksori: hangukjeonhusiinseon

    Jang Jung-il et al / 장정일 et al / -

Translated Books4 See More

Image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