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Pak Mog-Weol(박목월)

Writer default image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Pak Mog-Weol
Family Name
Pak
First Name
Mog-Weol
Middle Name
-
Preferred Name
-
Pen Name
Bak Mog-Weol, Pak Mok-Wol, 朴木月
ISNI
000000008208122X
Birth
1916
Death
1978
Occupation
Poe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Spanish(Español)
  • French(Français)
  • Japanese(日本語)
  • Korean(한국어)

Park Mok-wol (6 January 1916 – 24 March 1978) was an influential Korean poet and academic. 


Life

Park Mok-wol was born Park Yeong-jong on January 6, 1916, in Gyeongju. In 1933, at the age of 18, he published a children's poem entitled "Tongttakttak tongjjakjjak" (통딱딱 통짝짝 Boom Bang Bang Boom Clap Clap) in Eorini, a magazine issued by Kaebyok Publishing. The same year, his children's poem "Jebimaji" (제비맞이 Watching for Swallows) was accepted by Singajeong magazine, and he became known as a children's poet. He lived in Tokyo from April 1937 until late 1939, during which period he devoted his time to writing. In 1940, his poems "Gaeul eoseureum" (가을 어스름 By Autumn) and "Yeollyun" (연륜 Maturity)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Munjang, marking his official literary debut. Afterwards, due to increasing wartime censorship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he continued writing privately but did not publish any further poetry until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Park taught at various schools including Keisung Middle School and Ewha Girls' High School beginning in 1946, before joining the faculty of Hongik University as an assistant professor in 1953.

In 1961 he began teaching at Hanyang University (at which a statue was erected in his honor). He was later named the dean of the university's College of Humanities. In 1966 he was elected to the National Academy of Arts of the Republic of Korea. He was a board member of the Society of Korean Poets from its founding in 1957, and was chosen as the society's chairman in 1968. He died on March 24, 1978, at his home in Wonhyoro-dong, Yongsan District, Seoul.

Park's awards include the Freedom Literature Awards, May Literature and Art Awards, the Seoul City Culture Awards (1969), and the Moran Medal of the Order of Civil Merit (1972). In 2007, he was listed by the Korean Poets' Association among the ten most important modern Korean poets.


Writing

Park Mok-wol began his career as a member of Cheongrok-pa (the Blue Deer school), a group of three poets who also included Cho Jihoon and Park Dujin, all named after the 1946 anthology in which they appeared. Although they differed in style, their work largely had its basis in natural description and human aspiration. The body of Park Mok-wol's work at this time established a new trend in Korean poetry, one that attempted to express childlike innocence and wonder at life through folk songs and dialectal poetic language. 

After his experiences during the Korean War, Park's work shifted in style. Now he strove to incorporate the pain, death, and even monotony of daily existence into his poetry without maintaining a standard of sentimental and lyrical quality. His poetry collections Sandohwa (산도화 Wild Peach Blossoms) and Nan, gita (난, 기타 Orchids and Other Poems) encapsulate his artistic aim to depict the shifting human response to both the joys and sorrows of life. His later poems, however, represent a return to the use of vivid colloquial language as the medium through which to express the color and vitality of local culture. 

His collection of poems from this later stylistic phase, Gyeongsang-doui garangnip (경상도의 가랑잎 Fallen Leaves in Gyeongsang-do) provides the artistic forum through which he is able to further explore his earlier ques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 and dark, happiness and despair, and life and death. Park's poetry, especially his later work, reveals a fervent love for life that does not wane despite his diligent acknowledgment of the ever-present threat of the end. He is celebrated for the cautious optimism of his work and his ability to subtly internalize conflicts of empiric reality in his deceptively localized and dialectal poetry.


El trabajo de Park Mok-wol creó una nueva tendencia en la poesía coreana que intentó expresar la inocencia infantil y el sentido de lo maravilloso a través de canciones tradicionales y el lenguaje dialectal. Sin embargo, después de su experiencia de la Guerra de Corea, cambió de estilo y se esforzó por incorporar en su poesía el dolor, la muerte e incluso la monotonía de la existencia diaria sin mantener un estándar de calidad sentimental o lírica. Sus recopilaciones de poesía, Flores de melocotoneros salvajes (Sandonhwa) y Orquídeas y otros poemas (Nan. Gita) sintetizan su misión artística de retratar la cambiante respuesta humana a las alegrías y penas de la vida. Sus siguientes poemas, sin embargo, representan una vuelta al uso del lenguaje coloquial vívido como medio de expresión del color y la vitalidad de la cultura local. La recopilación de poemas de esta fase estilística, Hojas caídas en la provincia de Gyeongsang del Norte, proporciona el foro artístico desde el cual puede explorar sus primeras preguntas sobre la relación entre lo claro y lo oscuro, la felicidad y la desesperación y la vida y la muerte. Especialmente sus últimos poemas revelan un ferviente amor por la vida que no declina a pesar de saber de la amenaza del fin. Se lo elogia por su prudente optimismo y su capacidad de internalizar conflictos de la realidad empírica en su poesía aparentemente local y dialectal.4

 

Les poèmes de Bak Mok-weol ont permis d'apporter un nouveau style dans la poésie coréenne. Dans ses premiers poèmes, il a tenté d'exprimer l'innocence et l'émerveillement propres à l'enfance face aux épisodes de la vie, à travers notamment les chansons populaires et un discours poétique composé en dialecte. Cependant, après l'expérience de la Guerre de Corée (1950-1953), son travail a évolué vers un autre style : il s'est efforcé d'intégrer à sa poésie les notions de douleur, de mort, et aussi la monotonie de la vie quotidienne tout en maintenant une écriture sentimentale et lyrique. Ses recueils Fleurs de pêcher sauvage (Sandohwa) et Orchidées et autres poèmes (Nan, geurigo gita) dévoilent la volonté du poète de décrire les réactions humaines face aux joies et aux peines de la vie. Ses poèmes suivants montrent un retour à l'utilisation de la langue dialectale comme moyen de rendre la couleur et la vitalité des cultures locales. Son recueil représentatif de cette période, Des feuilles qui tombent à Gyeongsang-do (Gyeongsangdo-ui garangnip), est un exemple parfait des interrogations intérieures du poète, à savoir la relation entre la lumière et l'obscurité, le bonheur et le désespoir, la vie et la mort. Cette poésie, en particulier les poèmes les plus récents, révèle un fervent amour pour la vie, en dépit des épreuves de tout un chacun. Bak est reconnu pour l'optimisme de ses textes et pour sa capacité à manier avec brio les langues dialectales1.

Le poème suivant est l'un de ses plus célèbres poèmes :

Le voyageur (나그네) de Bak Mok-weol (박목월).

강나루 건너서

밀밭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À travers la rivière

À travers les champs de blé

Telle la lune voguant à travers les nuages

S'en va le voyageur.

길은 외줄기

남도삼백리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

Une route est tracée pour le vagabond

À travers les centaines de village au sud

Sous le soleil rayonnant, le ciel s'embrase

Dans chaque village le vin mûrit dans sa cuve.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Telle la lune voguant à travers les nuages

S'en va le voyageur.

 

1916年、日本統治下の慶尚北道慶州(キョンジュ)で生まれる。 本名は朴泳鐘(パク・ヨンジョン)である。1947年、韓国の文筆家協会の発足とともに常任委員として文学活動を始める。文總の常任委員・青年文学家協会の中央委員・韓国文人協会の事務局長として活躍した。1960年には韓国詩人協会の会長を務める。
1930年代の末から始まる彼の初期の作品は、土俗的な叙情に民謡的なリズムの短い抒情詩が主である。詩人と自然との交感から得られる特別でありながら普遍的な郷愁の美が感じられるものである。こうした傾向は『青鹿集』などによく現れるのである。朝鮮戦争を経験しながら、そのような詩的な傾向も変化し始めた。1959年の『蘭・其他』と1964年の 『晴曇』においては、現実に対する関心が詩の中に現れている。人間の運命であるとか、物事の本性に関する深い洞察を見せており、主に詩のテーマを家族や周辺の生活から選び、素朴で淡々とした生活思想を詠っている。1967年、長詩集『お母さん』は母親への賛美を詠ったもので、詩人のキリスト教的な背景を理解することができる作品である。
1968年の『慶尚道の枯れ葉』では、現実認識がより深くなり、そのテーマは生活周辺から歴史的・社会的な現実へと拡大された。
1973年の『砂礫質』では、物事の本質が解明されながらも冷徹な洞察により、その本質に内在している根源的な限界と悲劇を描いている。
エッセイに『雲の叙情』(1956)、『土曜日の夜空』(1958)、 『幸福な顔』(1964)などがあり、『紫の素描』 (1959)は自作詩の解説として、彼自身の詩の世界の理解を深める書として評価されている。

 

박목월(1915~1978)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생애

박목월은 1915년 경상북도 경주에서 태어났다. 1935년 대구 계성중학을 졸업하고 1939년 문예지 《문장》에 시 〈길처럼〉 등으로 추천을 받았고, 이어서 〈산그늘〉, 〈가을 으스름〉 등을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46년에는 조지훈, 박두진 등과 3인 시집 《청록집(靑鹿集)》을 출간하기도 했다. 

한편 작가는 시 창작 외에도 문학운동, 교직, 출판사 경영 그리고 다양한 잡지를 편집하고 운영하기도 했다. 1946년 무렵부터 대구 계성중학교, 이화여자고등학교 교사로 일했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연세대학교, 홍익대학교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62년부터 1978년 명예퇴직 할 때 까지 한양대학교에서 교수로 일했다. 1977년 한양대학교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7년 한국문필가협회 발족과 더불어 상임위원으로 문학운동에 가담, 문총(文總) 상임위원·청년문학가협회 중앙위원, 한국문인협회 사무국장, 문총구국대 총무, 공군종군문인단 창공구락부 위원으로 활약하였다. 

1958년 한국시인협회 간사를 역임하였고 1960년부터 한국시인협회 회장직을 맡아 1973년 이후까지 계속하였다. 한때 출판사 산아방, 창조사 등을 경영하기도 하였다. 또한 잡지 《아동》(1946), 《동화》(1947), 《여학생》(1949), 《시문학》(1950∼1951) 등을 편집, 간행하였으며, 1973년부터는 월간 시 전문지 《심상(心象)》을 발행하였다. 

1978년 세상을 떠났다. 

 

작품 세계 

박목월은 토속적인 서정성과 민족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민요조의 리듬을 개성 있게 수용하여 재창조한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1930년대 말에 작품 활동을 시작한 작가는 전통적 시풍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시인이 자연과의 교감에서 얻은 특유의 것이면서도 보편적인 미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청록집》(1946), 《산도화(山桃花)》(1955) 등에서 잘 나타난다.

공동시집인 《청록집》(1946)은 일제 말기 정지용의 추천으로 《문장》지를 통해 등단한 박목월, 조지훈, 박두진 세 시인이 광복 직후인 1946년에 펴낸 시집이다. 전통적인 서정을 노래한 박목월의 시, 민족정서와 전통에의 향수를 담은 조지훈의 시, 시대적인 고난과 절망을 생명력으로 극복하려 한 박두진의 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들의 시는 각기 독특한 개성을 지닌 가운데 자연의 새로운 발견을 공통된 시적 중심 소재로 삼았다. 한편 이 시집은 자연의 재발견을 통해 생명의식을 형상화했다는 점과 함께, 우리말의 가락과 심상을 높은 수준으로 구현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미가 있다. 

6·25사변을 겪으면서 이러한 시적 경향도 변하기 시작하여 1959년에 간행된 《난(蘭)·기타》(1959)와 《청담(晴曇)》(1964)에 이르면 현실에 대한 관심들이 시 속에서 드러나고 있다. 작가는 인간의 운명이나 사물의 본성에 관한 깊은 통찰을 토대로 시의 소재를 가족이나 생활 주변에서 택하여, 담담하고 소박하게 일상을 노래하고 있다. 

장시집 《어머니》(1967)는 어머니를 사랑의 대상으로 노래한 것으로 시인의 기독교적인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이다.

《경상도가랑잎》(1968)부터는 현실인식이 더욱 심화되어 시적 소재와 주제가 생활 주변에서 역사적, 사회적 현실로 확대되었으며, 사물의 본질을 탐구하려는 관념성을 보이기 시작한다.

1970년 5월부터 1971년 4월까지 《현대시학》에 연재한 《사력질(砂礫質)》에서는 사물의 본질이 해명되면서도 사물의 근원적인 한계성과 비극성이 드러나 있다. 

유고시집인 《크고 부드러운 손》(2003)은 작가의 부인인 고 유익순씨가 간직해뒀던 박목월의 시편을 장남인 박동규가 정리해 펴낸 것이다. 모두 8장으로 가정과 인간, 그리고 신을 노래한 시 71편이 수록되어 있다. 


주요 작품

1) 선집, 전집

《박목월 시전집》, 서문당, 1984.

《박목월 시전집》, 민음사, 2003

《박목월 동시 선집》, 지만지, 2015.


2) 시집

《청록집(靑鹿集)》, 을유문화사, 1946(개정판, 을유문화사, 2006)

《산도화(山桃花)》, 영웅출판사, 1955.

《난(蘭)·기타》, 신구문화사, 1959.

《청담(晴曇)》, 일조각, 1964.

《어머니》, 삼중당, 1967.

《경상도의 가랑잎》, 민중서관, 1968.

《사력질(砂礫質)》, 《현대시학》, 1970.5~1971.4(연재)

《무순(無順)》, 삼중당, 1976. 

《크고 부드러운 손》(유고시집), 민예원, 2003(개정판, 2012).


3) 산문집

《구름의 서정》, 박영사, 1958.

《토요일의 밤하늘》, 범조사, 1958. 

《행복의 얼굴》, 문명사, 1968. 

《밤에 쓴 인생론(人生論)》, 삼중당, 1975. 

 

수상 내역 

1955년 제3회 아세아자유문학상

1968년 대한민국문예상 본상

1969년 서울시 문화상

1972년 국민훈장 모란장


Original Works30 See More

Translated Books36 See More

E-books & Audiobooks1

Event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