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무산(시인)
1. 도입부
백무산(1955년 ~ )은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노동 운동가이다.
2. 생애
백무산은 1955년 경북 영천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백봉석이다. 1974년 현대중공업에 입사하여 노동자로 일하다가, 1984년 『민중시』 1집에 「지옥선」 등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노동해방문학》 편집위원을 지냈으며, 1992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 경력이 있다. 백무산은 1984년 등단 이후 대기업 공장노동자 출신 작가로 큰 관심을 받아왔으며, 박노해 등과 함께 1980년대 노동시를 대표하는 시인 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
특히 시집 『동트는 미포만의 새벽을 딛고』(노동문학사, 1990)의 경우 1988년 말부터 1989년 초까지 약 4개월여에 걸쳐 진행된 울산 현대중공업 대파업투쟁을 한편의 완결된 장시로 엮어내어 주목받았으며 ‘정치 조직을 통한 노동자 계급의 권력 획득’을 선언하며 노동계급의 투쟁을 직설적으로 노래한 것으로 평가되기도 했다. 백무산은 1990년대 이후에도 꾸준한 활동을 하면서, 단순히 노동자들의 삶의 조건뿐만 아니라, 자본의 폭력성에 대한 근원적 비판이나 생태 문제 등으로 관심의 폭을 넓혀 나가면서 자본의 가치를 넘어선 인간 존재의 근원에 대한 천착을 시에 담아내고 있다. 시집으로 『만국의 노동자여』(청사, 1989), 『동트는 미포만의 새벽을 딛고』(노동문학사, 1990), 『인간의 시간』(창작과비평사, 1996), 『길은 광야의 것이다』(창작과비평사, 1999), 『초심』(실천문학사, 2003), 『길 밖의 길』(갈무리, 2004), 『거대한 일상』(창비, 2008), 『그 모든 가장자리』(창비, 2012)가 있으며, 그 외 시선집으로 『그대 없이 저녁은 오고』(지식을만드는지식, 2012)가 있다. 맹문재, 조정환과 함께 전태일 열사에 대한 헌시집인 『완전에 가까운 결단』(갈무리, 2009)의 편자로 참여하기도 하였다. 1989년 제1회 이산문학상, 1997년 제12회 만해문학상, 2009년 제2회 오장환문학상과 2009년 제1회 임화문학상을 수상했다. 2012년 제20회 대산문학상 시 부문 수상자이기도 하다.
3. 작품 세계
백무산은 한국 노동시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존재로서 노동의 삶에 뿌리를 둔 일관된 시정신과 끊임없는 갱신으로 노동시의 위상을 한층 높여왔다. 무엇보다 변치 않는 ‘노동자 시인’의 상징으로 불려온 그의 발자취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또렷하고 깊어졌다. 자본의 무한 증식에 대한 비판, 자본의 가치를 넘어서는 인간 존재의 근원에 대해 천착한 선 굵은 시로 백무산은 많은 이의 사랑을 받아왔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을 풍미했던 노동문학이 그 기치를 내리고 슬며시 다른 깃발을 올릴 적에도 그는 줄곧 우리가 처한 현실을 뚫어지게 응시하며 진지하게 인간과 노동을 탐구해왔다. 그의 시세계는 단순히 비참한 노동현실을 고발하는 것에서 인간을 둘러싼 삶의 조건으로서 정치와 경제를 진지하게 성찰하는 것으로 넓고 깊게 진화해왔다. 극단적인 자본주의체제가 야기한 인간성 파탄과 자연의 붕괴라는 현대세계의 위기를 감성적이면서도 강한 어법으로 노래한다.
철저한 리얼리즘에 바탕을 둔 백무산의 시는 직설적이고 정직하다. 자본의 욕망과 폭력에 억눌린 채 고통스러운 현실을 시의 재료로 삼으면서 시인은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비참한 현실을 결코 외면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백무산의 시는 인간 존재와 삶의 문제와 결부된 깊이 있는 사유와 진정성이야말로 시의 생명력임을 깨닫게 한다. 폐허화된 자본주의 사회의 정곡을 꿰찌르는 치열한 인식과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고뇌의 시선으로 당대의 삶이 직면한 한계와 가능성을 투시하는 하나의 독특한 시학의 세계를 펼쳐 보인다.자본의 폭력과 억압으로 둘러싸인 삶의 비참을 직시하는 냉철한 눈과 부조리한 세상을 향한 거침없는 목소리가 묵직한 울림으로 다가온다. 그리하여 백무산은 노동의 현장에 머물면서 세상의 혁명과 변혁이 도래할 그날을 되새기며, 지금도 희망의 노래를 멈추지 않고 있다.
4. 주요 작품
1. 시집
『만국의 노동자여』(도서출판 청사, 1988)
『동트는 미포만의 새벽을 딛고』(노동문학사, 1990)
『인간의 시간』(창작과비평사, 1996)
『길은 광야의 것이다』(창작과비평사, 1999)
『초심』(실천문학사, 2003)
『길 밖의 길』(갈무리, 2004)
『거대한 일상』(창작과비평사, 2008)
『그 모든 가장자리』(창작과비평사, 2012)
『그대 없이 저녁은 오고』(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4)
『폐허를 인양하다』(창비, 2015)
5. 수상 내역
1. 1989년 제1회 이산문학상
2. 1997년 제12회 만해문학상
3. 2007년 제6회 아름다운 작가상
4. 2009년 제2회 오장환문학상
5. 2009년 제1회 임화문학상
6. 2012년 제20회 대산문학상 시 부문
7. 2015년 제17회 백석문학상
6. 같이 보기
1. 정남영, 「바꾸는 일, 바뀌는 일, 그리고 백무산의 시」, 『당대비평』 7호, 1999.
2. 고미숙, 「전복과 생성의 시적 도정-백무산론」, 『비평기계』, 소명출판, 2000.
3. 유성호, 「한 노동자 시인의 지속성과 변모」, 『실천문학』 봄호, 2004.
4. 이경수, 「인간이 담긴 풍경화」, 『불온한 상상의 축제』, 소명출판, 2004.
5. 남기택, 「백무산 시 연구」, 『비평문학』 26호, 2007.
6. 이기인, 백무산, 「미래의 노동, 미래의 노동시」, 『열린시학』 봄호, 2008.
7. 조정환, 「백무산 시의 여정과 위대한 리얼리즘의 문제」, 『실천문학』 겨울호, 2009.
8. 정우영, 「우리의 폐허를 직시하라」, 『창작과비평』 겨울호, 2015.
7. 각주
1) 남기택, 「백무산 시 연구」, 『비평문학』 26호, 2007.
8. 외부 링크
1. [이사람] 농촌 자생력마저 되살리는 게 '시의 힘'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488760.html
Baek Mu-san
Introduction
Baek Mu-san (born 1955) is a South Korean poet and labor activist.
Life
Baek Mu-san was born in 1955 in Yeongcheon, Gyeongbuk. His birth name is Baek Bong-seok. In 1974 he began working as a laborer at Hyundai Heavy Industries, and then in 1984 he started his literary career as he published “Ji-okseon” (지옥선 Hell Boat) in the first volume of Minjungsi (민중시 The People’s Poem). He was the editor of Nodong haebang munhak (노동해방문학 Labor Liberation Literature), and he has been arrested in 1992 for violation of national security law. Since his debut in 1984, Baek Mu-san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writer who had been a conglomerate factory worker. He is seen as one of the poets that represent 1980s labor poetry along with Park Nohae.
Particularly, for his poetry collection Dongteuneun mipomanui saebyeokeul ditgo (동트는 미포만의 새벽을 딛고 Stepping Upon the Early Morning of Mipo Bay at Dawn) (Nodong Munhaksa, 1990), he received much attention by writing the Ulsan Hyundai Heavy Industries full scale strike that occurred for 4 months from late 1988 and early 1989 into a one long poem. It was also seen as having directly expressed the fight of the labor class, announcing for ‘gaining power for the labor class through political organization.[1] Baek Mu-san was active constantly after the 1990s as well, widening his scope of interest from living conditions of laborers to criticizing the root of the violent nature of capit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writing poetry that delves into the causes of human existence that has overcome capital’s value. For his poetry collections, he has Mangukui nodongjayeo (만국의 노동자여 Workers of the World) (Cheongsa, 1989), Dongteuneun mipomanui saebyeokeul ditgo (동트는 미포만의 새벽을 딛고 Stepping Upon the Early Morning of Mipo Bay at Dawn) (Nodong Munhaksa, 1990), Inganui sigan (인간의 시간 The Time of Humans) (Changbi, 1996), Gileun gwangyaui geotsida (길은 광야의 것이다 The Path Belongs to the Field) (Changbi, 1999), Chosim (초심 The Original Intention) (Silcheon Munhaksa, 2003), Gil bakui gil (길 밖의 길 The Road Outside of the Road) (Galmuri, 2004), Geodaehan ilsang (거대한 일상 The Giant Daily Life) (Changbi, 2008), and Geu modeun gajangjari (그 모든 가장자리 All the Edges) (Changbi, 2012). For his poetry anthologies there is Geudae eopsi jeonyeokeun ogo (그대 없이 저녁은 오고 The Evening Comes Without You) (ZMANZ, 2012). He was also the editor of Wanjeon-e gakkaun gyeoldan (완전에 가까운 결단 A Decision Near Perfection) (Galmuri, 2009), which was a tributary poetry collection for Jeon Tae-il, along with Maeng Mun-jae and Jo Jeong Hwan. He was awarded the first Isan Literary Award in 1989, the 12th Manhae Literature Prize in 1997, the second Oh Jang-hwan Literature Prize in 2009, and the first Imhwa Literature Prize in 2009. He was also the recipient of the 20th Daesan Literary Award for Poetry in 2012.
Writing
Baek Mu-san is a symbolic figure that represents South Korea’s labor poetry. With consistent poetic mind that has its roots in the life of labor, and ceaseless renewal, he has contributed toward raising the reputation of labor poetry. More than anything, the footsteps he had taken, that have been known as the unchanging symbol of ‘worker poet’, became clearer and deeper as time passed. With poetry thick with criticism on the infinite expansion of capital, and exploration on the roots of human existence that overcomes the value of capital, Baek Mu-san has received the admiration of many. Even when labor literature passed through its heyday during the 1980s and the early 1990s, then lowered its banner and raised another flag, he still constantly kept his focus on the reality that we were in, and sincerely studied humanity and labor. His poetic universe has evolved widely and deeply, from simply exposing the tragic reality of labor to sincerely studying politics and economics as conditions of life that surround people. He writes with emotional but strong voice the threats of the breakdown of humanity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in the modern world, brought on by radical capitalism.
Based in strict realism, Baek Mu-san’s poetry is direct and honest. As he writes poetry based on the agonizing reality of oppression by the greed and violence of capital, the poet does not ever ignore the tragic reality faced by people going on with their lives. Therefore, Baek Mu-san’s poetry makes one realize that deep thought and honesty associated with human existence and life’s issues, are the life force of poetry. He displays a very unique world of poetry, where he displays keen awareness that cuts right through the ruins of a capitalist society, as well as sees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faced by life of the time with eyes of deep suffering. His sober view that face the tragedy of life surrounded by violence and oppression of capital, as well as his fearless voice toward an unjust world, come out as a heavy echo. Thus, Baek Mu-san still remains in the place of labor, reminding himself of the day when the world will welcome revolution and change, continuing his song of hope to this day.
Works
Poetry Collections
Mangukui nodongjayeo (만국의 노동자여 Workers of the World) (Cheongsa, 1989)
Dongteuneun mipomanui saebyeokeul ditgo (동트는 미포만의 새벽을 딛고 Stepping Upon the Early Morning of Mipo Bay at Dawn) (Nodong Munhaksa, 1990)
Inganui sigan (인간의 시간 The Time of Humans) (Changbi, 1996)
Gileun gwangyaui geotsida (길은 광야의 것이다 The Path Belongs to the Field) (Changbi, 1999)
Chosim (초심 The Original Intention) (Silcheon Munhaksa, 2003)
Gil bakui gil (길 밖의 길 The Road Outside of the Road) (Galmuri, 2004)
Geodaehan ilsang (거대한 일상 The Giant Daily Life) (Changbi, 2008)
Geu modeun gajangjari (그 모든 가장자리 All the Edges) (Changbi, 2012)
Geudae eopsi jeonyeokeun ogo (그대 없이 저녁은 오고 The Evening Comes Without You) (ZMANZ, 2012)
Pyeheoreul inyanghada (폐허를 인양하다 Recovering a Ruin) (Changbi, 2015)
Awards
1989 1st Isan Literary Award
1997 12th Manhae Literature Prize
2007 6th Beautiful Writer Award
2009 2nd Oh Jang-hwan Literature Prize
2009 1st Imhwa Literature Prize
2012 20th Daesan Literary Award for Poetry
2015 17th Baek Seok Prize for Literature
Further Reading
1. 정남영, 「바꾸는 일, 바뀌는 일, 그리고 백무산의 시」, 『당대비평』 7호, 1999.
Jeong, Namyeong, “Making Change, Being Changed, and the Poetry of Baek Mu-san”, Dangdae Bipyeong 7, 1999.
2. 고미숙, 「전복과 생성의 시적 도정-백무산론」, 『비평기계』, 소명출판, 2000.
Go, Misook, “The Poetic Path of Subversion and Generation – On Baek Mu-san”, Bipyeong gigye (비평기계 The Critical Machine), Somyung Books, 2000.
3. 유성호, 「한 노동자 시인의 지속성과 변모」, 『실천문학』 봄호, 2004.
Yu, Seongho, “A Labor Poet’s Persistency and Change”, Literature and Practice, Spring 2004.
4. 이경수, 「인간이 담긴 풍경화」, 『불온한 상상의 축제』, 소명출판, 2004.
Lee, Kyeongsu, “A Landscape Painting With People”, Bul-onhan sangsangui chukje (불온한 상상의 축제 The Dangerous Festival of Imagination) Somyung Books, 2004.
5. 남기택, 「백무산 시 연구」, 『비평문학』 26호, 2007.
Nam, Gitaek, “Study On BaekMu-san’s Poetry”, Literary Criticism 26, 2007.
6. 이기인, 백무산, 「미래의 노동, 미래의 노동시」, 『열린시학』 봄호, 2008.
Lee, Gi-in and Baek Mu-san, “Labor of the Future, and Labor Poetry of the Future”, Yeolrin Sihak, Spring 2008.
7. 조정환, 「백무산 시의 여정과 위대한 리얼리즘의 문제」, 『실천문학』 겨울호, 2009.
Jo, Jeonghwan, “The Journey of Baek Mu-san’s Poetry and the Issue of Great Realism”, Literature and Practice, Winter 2009.
8. 정우영, 「우리의 폐허를 직시하라」, 『창작과비평』 겨울호, 2015.
Jeong, Uyeong, “Face Our Ruins”, The Quarterly Changbi, Winter, 2015.
References
1) 남기택, 백무산 시 연구, 비평문학 26호, 2007.
Nam, Gitaek, “Study On BaekMu-san’s Poetry”, Literary Criticism 26, 2007.
External Links
1. [이사람] 농촌 자생력마저 되살리는 게 '시의 힘'
[This Person] ‘The Power of Poetry’ That Saves Even the Sustainability of the Country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