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Choi Dong-Ho(최동호)

Writer default image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Choi Dong-Ho
Family Name
Choi
First Name
Dong-Ho
Middle Name
-
Preferred Name
-
Pen Name
ЧҮЭ Дунху, ЧҮЭ Дунху, Dong Ho Choi
ISNI
0000000083667759
Birth
1948
Death
-
Occupation
Writer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Korean(한국어)
  • English(English)
  • Russian(Русский)
  • Chinese(汉语)

 


1. 도입부

 

최동호(1948~)는 대한민국의 시인, 평론가, 교수이다. 고려대학교 국문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고려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있다가 정년퇴임했고, 현재 동대학교 명예교수이다. 1976년 첫 시집을 출간했고 197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평론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했다. 시의 ‘정신’, ‘동양 시학’, ‘극서정’(極抒情詩)에 대한 연구서를 다수 출간했고 박두진 문학상(2009), 유심작품상(2013) 등을 수상했다. 현재 한국시인협회와 시사랑문화인협의회에서 회장을 맡고 있다.

 


2. 생애

 

최동호(1948~)는 대한민국의 시인, 평론가, 교수이다. 경기도 수원에서 출생했다. 공무원이었던 아버지를 따라 부산·삼천포·여수·목포 등 지방 도시를 돌아다니며 유년기를 보냈다. 고등학생 때부터 문학, 철학, 역사에 심취했다. 1966년 고려대학교 국문학과에 입학해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까지 받았다. 1988년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부교수로 부임했다. 현재는 고려대 명예교수 겸 경남대 석좌교수로 있다.

1976년 대학 시절부터 가지고 있던 시작 노트를 정리해 열화당에서 ≪황사 바람≫을 발간했다. 본격적인 문학평론 활동은 197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꽃, 그 시적 형상의 구조와 미학>이 당선되면서 시작했다. 문예지 ≪서정시학≫과 ≪미래서정≫을 창간했고, 한국시학회, 한국문학평론가협회, 한국비평학회, 황순원학회 회장과 한국문학번역원 이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 대산문화재단 이사를 지냈다. 또한 1990년 김달진 시인 작고 1주기를 맞아 ‘김달진문학상’을 제정하고 운영위원장이 되었으며, 1996년에는 진해에서 ‘제1회 김달진문학제’를 거행했다. 1991년 소천이헌구비평문학상, 1996년 현대불교문학상(시 부문)과 시와시학상 평론상, 1998년 김환태평론문학상, 1999년 편운문학상(평론 부문), 2006년 대산문학상(평론 부문), 2009년 혜산박두진문학상과 고산윤선도문학상(현대시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3. 작품세계

 

최동호는 한국의 서정시를 대표하는 시인이자 시론가이다. 그는 평론집을 통해 “정신주의”와 “극서정”의 필요성을 주창했다. 한국의 근대문학사에서 서정시의 영역은 좁아져왔다. 아마도 산업화와 디지털문화의 확대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최동호는 시대가 변했다고 서정지의 가치가 줄어들지는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디지털 시대에 문학과 말의 생명력이 어떻게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해, 그리고 예술이 어떻게 사람을 감동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해왔다. 그러면서 그는 동양철학과 생태주의가 현대 사회에서 어떤 가치를 지니며, 어떻게 그런 사상들을 구현하는 시를 쓸 수 있을지에 관한 논의도 병행해왔다. 그의 시는 이런 고민을 작품으로 옮겨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최동호의 시는 끊임없이 존재와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그가 초기에 발표한 시는 소리, 그림자를 통해 존재와 존재의 자리(장소)를 탐구하는 것이었다. 두 번째 시집 『아침책상』에서는 부재와 존재의 역설적 관계를 파악하는 모습이 나타났고, 세 번째 시집 『딱따구리는 어디에 숨어있는가』에서 이런 인식은 더욱 심화되었다. 그리고 연이어 출간한 『공놀이 하는 달마』와 『얼음얼굴』은 존재에 대한 물음을 극한까지 밀어붙인 결과라는 평을 받는다. 특히 후기 시집에서 존재의 문제는 동양철학의 근본적인 교훈과 연관되어 사유된다. 최동호는 그림자/여백/유령과 같이 비실체적인 존재를 언급함으로써, 공(Void)에 대한 불교적 사유를 풀어낸다. 이런 사유에 따르면 여백은 단순히 비어있는 것이 아니라, 생성과 소멸이 빚어지는 공간이다. 따라서 여백과 공(Void)을 포착하는 최동호의 시는, 존재의 생성과 소멸을 현시하는 정신주의 문학의 한 극점이라고 할 수 있다.

 


4. 주요 작품

 

시집

1. 『황사바람』(열화당, 1976)

2. 『아침책상』(민음사, 1988),

3. 『딱따구리는 어디에 숨어 있는가』(민음사, 1995)

4. 『공놀이 하는 달마』(민음사, 2002)

5. 『불꽃 비단벌레』(서정시학, 2009)

6. 『얼음 얼굴』(서정시학, 2011)

 

평론집/연구서

1. 『시의 해석』(새문사, 1983)

2. 『현대시의 정신사』(열음사, 1985)

3. 『불확정시대의 문학』(문학과 지성사, 1987)

4. 『한국현대시의 의식현상학적 연구』(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1989)

5. 『80년대 젊은 시인들』(시민, 1990)

6. 『새로운 비평 논리를 찾아서』(나남, 1990)

7. 『평정의 시학을 위하여』(민음사, 1991)

8. 『남북한 현대문학사』(나남, 1995)

9. 『삶의 깊이와 시적 상상』(한국문학도서관, 1995)

10. 『하나의 도에 이르는 시학』(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11. 『시 읽기의 즐거움』(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12. 『디지털 문화와 생태시학』(문학동네, 2000)

13. 『인터넷 시대의 시창작론』(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14. 『정지용 사전』(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15. 『한국현대시사의 감각』(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16. 『진흙 천국의 시적 주술』(문학동네, 2006)

17. 『한국 현대시와 물의 상상력』(서정시학, 2010)

18. 『디지털 코드와 극서정시』(서정시학, 2012)

19. 『정지용 시와 비평의 고고학』(서정시학, 2013)

20. 『황순원 문학과 인간 탐구』(서정시학, 2015)

21. 『최동호 평론 선집』(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5)

 


5. 수상 내역

 

 

1. 1985, 대한민국문학상 평론상

2. 1991, 소천비평문학상

3. 1996, 제1회 시와시학상 평론상

4. 1996, 제1회 현대불교문학상

5. 1998, 제10회 김환태평론문학상

6. 1999, 제9회 편운문학상

7. 2009, 제9회 고산문학상 시부문상

8. 2009, 제4회 혜산 박두진 문학상

9. 2013, 제11회 유심작품상 시부문

 

 


6. 같이 보기

 

1. 문흥술, 「‘시의 정신사’에서 ‘동양의 시학’에 이르는 거대한 발자취」, 『오늘의 문예비평』 62호, 오늘의 문예비평, 2005

2. 이성모, 「넓고도 그윽한 그늘의 힘」, 『시와세계』 35호, 시와 세계, 2011.

 

 

 


1.  Introduction

 

Choi Dong-ho (born 1948) is a South Korean poet, critic, and professor. He studied Korean literature at Korea University at both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s. He taught Korean literature until his retirement at Korea University, where he is professor emeritus. He published his first poetry collection in 1976, and debuted as a critic when his critical essay won the Joongang Ilbo New Writer’s Contest in 1979. He has written a number of monographs on the spirit of poetry, Eastern poetics, and geukseojeongsi ("extreme lyric poetry"), a term he coined to describe short, easy to understand, and highly evocative poetry. He won the Park Dujin Literary Award in 2009 and the Yushim Award in 2013. Currently, he serves as the president of the Society of Korean Poets and Sisarang Arts and Culture Association.

 

 

2. Life

 

Choi Dong-ho was born in Suwon, South Korea in 1948. He moved frequently in childhood because his father, being a civil servant, was stationed at various cities like Busan, Samcheonpo, Yeosu, and Mokpo. After starting high school, he took a great interest in literature, philosophy, and history. He enrolled in the Korean Literature program at Korea University in 1966, and received his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there. In 1988, he became an associate professor of Korean literature at the school. He is now professor emeritus at Korea University and chair professor at Kyungnam University.

In 1976, Hwangsa baram (황사 바람 Yellow Dust Wind), an edited version of a poetry notebook Choi kept since his undergraduate years, was published by Youlhwadang. Choi began working as a critic when his essay, "Kkot, geu sijeok hyeongsangui gujowa mihak." (꽃, 그 시적 형상의 구조와 미학 The Structure and Aesthetics of the Flower's Poetic Imagery), won the Joongang Ilbo New Writer’s Contest in 1979. He founded the literary journals Mireseojung and Lyric Poetry and Poetics.

He has served in a number of positions, including: the president of The Korean Poetics Society, Korean Literature Critics Association, Korean Society of Criticism, and Hwang Sun-Won Society; the director of LTI Korea and The Daesan Foundation; and a member of Arts Council Korea. In 1990, he created the Kim Daljin Literary Prize in honor of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poet's death and headed the prize committee. In 1996, he organized the inaugural Kim Daljin Literary Festival in Jinhae, South Korea.

He is the winner of the Socheon Lee Heon-gu Literary Criticism Award (1991), Hyundae Buddhist Literary Award for Poetry (1996), Poetry and Poetics Award for Criticism (1996), Kim Hwan-tae Literary Criticism Award (1998), Pyeon-un Literature Award for Criticism (1999), Daesan Literary Award for Criticism (2006), Hyesan Park Dujin Literary Award (2009), and Gosan Yun Seon-do Literary Award for Modern Poetry (2009).

 

 

3. Writing

 

Choi Dong-ho is a celebrated lyrical poet and poetry critic in South Korea. He has stressed the importance of spiritualism and geukseojeong ("extreme lyricism") in his critical essays. Lyrical poetry has been declining in the South Korean modern literary scene, perhaps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the spread of digital culture. Nevertheless, Choi argues that the value of lyric poetry does not decrease even if the times change. He is concerned with how literature and language can retain their vitality in the digital age and how art can connect emotionally with readers. He also writes about the significance of Eastern philosophy and ecologism in today's society and how to write poems that embody those ideologies. Such ruminations are reflected in his own poetry.

Choi's poetry continuously asks questions about existence and essence. His early works explore existence and the place of existence through sound and shadow. In particular, he examines the paradoxical relationship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in his second poetry collection Achim cheksang (아침책상 Morning Desk), and probes the issue further in his third collection Ttakttagurineun eodie sumeoitneunga (딱따구리는 어디에 숨어있는가 Where Is the Woodpecker Hiding?). His subsequent works Gongnori haneun dalma (공놀이 하는 달마 Bodhidharma Playing Ball) and Eoreum eolgul (얼음얼굴 Ice Face) are regarded as inquiries into existence taken to the extreme. His later poetry collections link the issue of existence to basic tenets of Eastern philosophy. Choi evokes Buddhist thought on the void by referring to shadow, empty space, ghosts, and other intangibles. He describes empty space as not simply a space that contains nothing, but a place of creation and demise. Choi's poems, which perceive this empty space and the void, can thus be considered a culmination of spiritualist literature that deals with the beginning and end of existence.

 

 

4. Works

 

Poetry Collections

1. 『황사바람』(열화당, 1976)

Yellow Dust Wind. Youlhwadang, 1976.

2. 『아침책상』(민음사, 1988)

Morning Desk. Minumsa, 1988.

3. 『딱따구리는 어디에 숨어 있는가』(민음사, 1995)

Where Is the Woodpecker Hiding? Minumsa, 1995.

4. 『공놀이 하는 달마』(민음사, 2002)

Bodhidharma Playing Ball. Minumsa, 2002.

5. 『불꽃 비단벌레』(서정시학, 2009)

The Spark of the Jewel Beetle. Lyric Poetry and Poetics, 2009.

6. 『얼음 얼굴』(서정시학, 2011)

Ice Face. Lyric Poetry and Poetics, 2011.

 

Critical Essay Collections and Monographs

1. 『시의 해석』(새문사, 1983)

The Interpretation of Poetry. Saemoon, 1983.

2. 『현대시의 정신사』(열음사, 1985)

The Spiritual History of Contemporary Poetry. Yeuleumsa, 1985.

3. 『불확정시대의 문학』(문학과 지성사, 1987)

Literature in Uncertain Times. Moonji, 1987.

4. 『한국현대시의 의식현상학적 연구』(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1989)

Phenomenological Study of Contemporary Korean Poetry.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RIKS), Korea University, 1989.

5. 『80년대 젊은 시인들』(시민, 1990)

Young Poets of the 1980s. Simin, 1990.

6. 『새로운 비평 논리를 찾아서』(나남, 1990)

In Search of New Logic of Criticism. Nanam, 1990.

7. 『평정의 시학을 위하여』(민음사, 1991)

For the Poetics of Pacification. Minumsa, 1991.

8. 『남북한 현대문학사』(나남, 1995)

History of Contemporary Literature in North and South Korea. Nanam, 1995.

9. 『삶의 깊이와 시적 상상』(한국문학도서관, 1995)

The Depth of Life and Poetic Imagination. KLL, 1995.

10. 『하나의 도에 이르는 시학』(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Poetics as a Form of Enlightenment. Korea University Press, 1997.

11. 『시 읽기의 즐거움』(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The Joy of Reading Poetry. Korea University Press, 1999.

12. 『디지털 문화와 생태시학』(문학동네, 2000)

Digital Culture and Ecological Poetics. Munhakdongne, 2000.

13. 『인터넷 시대의 시창작론』(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Writing Poetry in the Internet Age. Korea University Press, 2002.

14. 『정지용 사전』(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Chong Chi-Yong Dictionary. Korea University Press, 2003.

15. 『한국현대시사의 감각』(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Sensibilities of Contemporary Korean Poetry. Korea University Press, 2004.

16. 『진흙 천국의 시적 주술』(문학동네, 2006)

Poetic Magic in a Muddy Heaven. Munhakdongne, 2006.

17. 『한국 현대시와 물의 상상력』(서정시학, 2010)

Contemporary Korean Poetry and the Imagery of Water. Lyric Poetry and Poetics, 2010.

18. 『디지털 코드와 극서정시』(서정시학, 2012)

Digital Code and Extreme Lyric Poetry. Lyric Poetry and Poetics, 2012.

19. 『정지용 시와 비평의 고고학』(서정시학, 2013)

Chong Chi-Yong's Poetry and the Archaeology of Criticism. Lyric Poetry and Poetics, 2013.

20. 『황순원 문학과 인간 탐구』(서정시학, 2015)

Hwang Sun-Won's Works and their Exploration of People. Lyric Poetry and Poetics, 2015.

21. 『최동호 평론 선집』(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5)

Anthology of Critical Essays by Choi Dong-ho. Zmanz, 2015. 

 

 

5. Awards

 

 

1. 1985: Republic of Korea Award for Criticism

2. 1991: Socheon Lee Heon-gu Literary Criticism Award

3. 1996: Inaugural Poetry and Poetics Award for Criticism

4. 1996: Inaugural Hyundae Buddhist Literature Prize

5. 1998: 10th Kim Hwan-tae Literary Criticism Award

6. 1999: 9th Pyeon-un Literature Award

7. 2009: 9th Gosan Yun Seon-do Literary Award for Poetry

8. 2009: 4th Hyesan Park Dujin Literary Award

9. 2013: 11th Yushim Award for Poetry

 

 

 

6. Further Reading

 

1. 문흥술, 「‘시의 정신사’에서 ‘동양의 시학’에 이르는 거대한 발자취」, 『오늘의 문예비평』 62호, 오늘의 문예비평, 2005

Mun, Heung-sul. "Giant Footsteps from the 'Spiritual History of Poetry' to 'Eastern Poetics.'" Literary Criticism Today 62 (2005).

2. 이성모, 「넓고도 그윽한 그늘의 힘」, 『시와세계』 35호, 시와 세계, 2011.

Lee, Seong-mo. "The Wide and Deep Power of Shade." Poetry & World 35 (2011).

 

 

 

 

известный корейский поэт и литературный критик, доктор филологических наук и лауреат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корейских литературных премий.

 


В стихах Чхве Тонхо отражен не всегда понятный западной культуре буддийский взгляд на мир и место человека в нем.

 

Это позволяет поразмыслить над стихами поэта, почувствовать глубину и многогранность такого философского учения, как буддизм, и стать мудрее, добрее и чище в своих делах и помыслах.

 

崔东镐(1948-),韩国文学研究家兼诗人。1976年推出诗集《黄沙风》(《황사바람》),从此开始创作活动。他认为诗歌的存在并不是为了寻找人生的意义,而是为了通过日常小事和语言使人生变得更加多彩。曾获现代佛教文学奖、朴斗镇文学奖等奖项。        


诗集《黄沙风》(《황사바람》,1976)、《清晨的书桌》(《아침 책상》,1988)、《如冰的脸》(《얼음 얼굴》,2011)


Original Works9 See More

  • DLKL
    Russian(Русский) Printed/Published Work
    외국문학지 2010.03

    Oegungmunhakchi 2010.03

    Jeong Ho-seung et al / 정호승 et al / -
  • DLKL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당신이 신이다

    tangshini shinida

    Han Yong-un et al / 한용운 et al / 2014
  • 병 속의 바다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병 속의 바다

    Byeong sogui bada

    Choi Dong-Ho / 최동호 / 2013

Translated Books10 See More

E-news5 See More

Events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