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Works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literature titles (classical, modern and contemporary) in multiple languages.

10 results
  • 제4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
    제4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

    Je4hoe hangukgwahangmunhaksang susangjakpumjip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Hwang Mogwa / 황모과 / 2020 / -

  • 우리가 다시 만날 세계
    우리가 다시 만날 세계

    Uriga dasi mannal segye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Hwang Mogwa / 황모과 / 2022 / -

    이 소설은 1990년 당시 “백말띠 여자가 드세다”라는 속설로 인해 여아 선별 임신중지가 이루어졌던 역사적 사건을 모티프로 삼는다. 이야기는 1990년생 여성들이 모두 태어난 가상의 세계가 어느 날 갑자기 엉망이 되면서 시작된다. 주변 여성들이 하나둘씩 사라지고 그들에 대한 기억마저 지워지는 상황 속에서 평행세계를 오가며 이전의 세계로 돌아가기 위해 애쓰는 주인공 채진리의 분투기다.

  • 밤의 얼굴들
    밤의 얼굴들

    bamui eolguldeul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Hwang Mogwa / 황모과 / 2020 / -

  •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

    mal eomneun jadeurui moksori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Hwang Mogwa / 황모과 / 2023 / -

  • DLKL
    10초는 영원히

    10choneun yeongwonhi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Hwang Mogwa / 황모과 / 2023 / -

  • 제4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
    제4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

    je4hoe hangukgwahangmunhaksang susangjakpumjip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Hwang Mogwa et al / 황모과 et al / 2020 / -

  • 뉴 러브
    뉴 러브

    nyu reobeu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Pyo Gookcheong et al / 표국청 et al / 2021 / -

    안전가옥 앤솔로지 시리즈의 일곱 번째 주제는 ‘뉴 러브’이다. 영화 투자배급사 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과 함께한 두 번째 공모전의 응모작 300여 편 가운데 열띤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된 다섯 편을 수록했다. ‘이미 셀 수 없이 많은 사랑 이야기에 어떤 새로움을 더할 수 있을까?’라는 물음에 가장 매력적인 대답을 건네준 작품들이다. 자기 의지를 갖게 된 게임 캐릭터들이 새로운 세계를 펼쳐 내는 「장군님의 총애」, 벨루가 무리에 몰래 섞여 생활하는 로봇 벨루가의 사랑스러운 성장담 「나의 새로운 바다로」, 죽은 남편을 되살릴 기회 앞에 선 아내의 내적 갈등을 담은 「롤백」, 타인의 표정을 훔치며 살아온 이의 서늘한 애정을 그린 「사람의 얼굴」, 물리학도와 한류스타 배우 간의 기묘한 소개팅 스캔들 「가능성 제로의 연애」 등 모든 수록작은 현실을 넘어선 세계의 풍경과 그 세계에서 펼쳐질 수 있는 사랑의 색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사랑이 불러일으키는 감정에 집중하는 이야기만을 ‘사랑 이야기’로 부를 필요는 없을 것이다. 우리가 무엇을 욕망하고 무엇으로부터 도피하는지를 두루 조망하는 이야기들을 통해 사랑 이야기가 품을 수 있는 넓은 스펙트럼을 확인할 수 있다.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01684193

  • 대스타
    대스타

    daeseuta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Sim neoul et al / 심너울 et al / 2020 / -

    2020 부산국제영화제 아시아콘텐츠&필름마켓 E-IP마켓 선정작 「대리자들」 수록 수록작 「증강 콩깍지」 올 9월 말 MBC [시네마틱드라마 SF8] 방영 확정 그 어느 때보다 가까워진 스타와 대중을 장르소설다운 파격으로 담아내다 누구나 한순간에 스타가 될 수 있는 시대, ‘안전가옥 스토리 공모전’에서는 다섯 번째 키워드로 ‘대스타’를 선정했다. 이전보다 강화된 심사를 통과한 다섯 편의 이야기를 모았다. 유명인은 어느 시대에나 존재했지만 유명인을 둘러싼 양상은 꾸준히 달라졌다. 대스타라는 키워드는 그래서 독특하다. 인간 보편의 욕망과 특정 시대의 욕망을 함께 담을 수 있는 까닭이다. 『대스타』는 매력적인 인물을 중심으로 흥미로운 이야기를 풀어놓음과 동시에, 우리의 세상을 향한 날카로운 질문을 던진다. 「대리자들」(심너울)은 인공지능이 연기자를, 그리고 스타의 자리까지 위협하게 된 근미래를 그린다. 「스타 이즈 본」(배예람)은 대스타에게 일어난 끔찍한 사건을 파헤치며 팬과 스타 사이의 유대감과 거리감을 조명한다. 「x Cred/t」(이경희)는 현재의 스타 시스템을 극단으로 밀어붙인 세계를 보여 줌으로써 대스타의 어두운 내면을 드러낸다. 「형사 3이 죽었다」(정재환)는 영화 촬영 현장에서 벌어진 사망 사건의 전말을 추리하며 진정한 스타의 자격을 묻는다. 「증강 콩깍지」(황모과)는 주변 사람에게 스타의 모습을 덧씌우는 증강현실 앱 ‘콩깍지’를 통해 스타 이미지 소비의 이면을 살펴보는 작품으로, 오는 「시네마틱드라마 SF8」에 포함되어 8월 MBC 월화드라마로 방송될 예정이다.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90963969

  • 이상한 나라의 스물셋
    이상한 나라의 스물셋

    isanghan naraui seumulset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Kim Cheong-gyul et al / 김청귤 et al / 2023 / -

    “나만 혼자 이상한 나라에 떨어진 것 같아” 스물셋, 우리는 지금 어디를 헤매고 있는 걸까? 김청귤, 서이제, 이서수, 황모과, 신종원, 윤치규, 이상욱, 임국영  여덟 명의 작가가 들려주는 스물셋 그와 그녀의 이야기 누군가는 자신의 꿈을 향해 첫발을 떼기도 하고, 다른 누군가는 각박한 현실에 치여 꿈을 포기하기도 하는 나이. 이제 마냥 어리다는 핑계를 댈 수 없는, 그래서 어느 방향이든 한곳을 향해 달리고 싶지만 금세 또 ‘될 대로 되라’ 덜 자란 척 때려 치고 싶어지기도 하는, 변덕스럽고 혼란스러운 시기. 바로 스물셋이다. 『이상한 나라의 스물셋』은 그런 스물셋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를 위한 단편소설 앤솔러지다. 은퇴를 앞둔 마법소녀부터 졸업 전시회에서 ‘불귀의 객’이 된 취준생까지, 여덟 명(김청귤, 서이제, 이서수, 황모과, 신종원, 윤치규, 이상욱, 임국영)의 작가가 이야기하는 스물셋은 때로는 이상한 나라인가 싶다가도 한순간 처참할 만큼 현실적인 모습이다. 지금, 당신이 헤매고 있는 스물셋은 어떤 세상인가? 당신이 맞이한 스물셋이 ‘코딱지’ 맛 젤리일지라도… 영화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2001)]에는 ‘온갖 맛이 나는 젤리’가 등장한다. 호그와트 마법학교의 교장 덤블도어는 어린 시절 ‘구토’ 맛을 먹고 난 후 젤리를 끊었다가 해리 덕분에 오랜만에 다시 그 젤리를 먹게 되는데, 그때 먹은 젤리는 ‘귀지’ 맛이었다. 물론 온갖 맛이 나는 젤리 안에는 레몬이나 수박, 솜사탕, 블루베리 등 맛있는 맛의 젤리도 많이 들어 있다. 다만, 이번에 집어 든 젤리가 ‘코딱지’ 맛이었을 뿐이다. 나만 혼자 이상한 나라에 떨어진 것 같이 불안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청춘들에게 “이 또한 지나갈 거야.”라고 ‘1’도 도움이 안 되는 소리를 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99’는 그게 정답이기 때문이다. 스물셋, 끝나지 않을 것 같은 시간 속에서 헤매고 있는 당신에게, 다음에 집어 든 젤리는 조금 더 괜찮은 맛이기를… 그리고 결국엔 당신이 원하는 맛으로 끝날 수 있기를…. 달달한 응원을 보낸다.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18100169

  • 오늘의 SF #2
    오늘의 SF 2

    oneurui SF 2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Chung Serang et al / 정세랑 et al / 2020 / -

    취업준비생, 톨게이트 노동자, 노인, 퀴어, 난민에서 포스트휴먼, 클론, 기후재난, 다중우주까지 너머를 지향하는 동시에 현실의 삶에 더욱 밀착하는 7편의 신작 소설 한국 SF는 20세기 초부터 줄곧 우리 곁에 있었지만 그로부터 100여 년이 지나서야 다수 독자의 뚜렷한 가시권에 들어오게 되었다. 지금 SF에 주목하는 이유가 우리가 체감하는 세계와 삶의 변화 속도를 가장 잘 반영하는 장르이기 때문이라면, 『오늘의 SF #2』에 발표된 7편의 신작 SF 소설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두터운 팬층을 보유한 한국 대표 SF 작가 배명훈의 중편 「임시조종사」는 전투 로봇의 어깨 위에 곱게 수 놓인 레이스만큼이나 낯선 SF와 판소리의 조합을 통해 읽는 동시에 들리는 놀라운 이야기 경험을 선사한다. 타자와 소수자에 대한 섬세한 감수성을 지닌 작가 정소연의 단편 「수진」은 같은 이름을 지닌 여섯 명의 여성을 차례로 만나며 편견과 배제로 충족되지 못한 마음이 기술로 충족될 수 있을지 질문을 던진다. 「마지막 히치하이커」로 2017년 제4회 한낙원과학소설상을 수상한 문이소의 「이토록 좋은 날, 오늘의 주인공은」이 전하는 테크놀로지의 온기는 다정하고 유쾌하다. 내적 현실 시뮬레이터의 힘을 빌려 구현한 아름다운 임종에 조용히 박수를 치고 싶어진다. 과학 전문 기자를 거쳐 SF와 과학 논픽션을 오가며 다양한 글쓰기를 선보이는 고호관의 「0에서 9까지」는 인간의 모든 행동 패턴이 인공지능에 의해 예측 가능한 시대가 도래할 때 진정한 자유의지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이미 소셜미디어의 알고리즘에 일상을 내맡긴 소설 밖 현실을 떠올리면 웃다가도 뒷맛이 개운치 않다. 시네마틱 드라마 ‘SF 8’ [간호중]의 원작 「TRS가 돌보고 있습니다」를 쓰고 소설집 『깃털』을 낸 김혜진의 「프레퍼」는 기후위기로 불타는 미래를 그린다. 고온 경보가 공습 경보처럼 울리고 검은 구름과 화염이 사람들을 집어삼키는 세상에서 우리는 서로에게 어떤 존재가 될 수 있을까. 『우주아이돌 배달작전』과 『우주아이돌 해방작전』을 쓴 손지상의 「인터디펜던트 바로크」는 지구 고대 생물을 닮은 외계 존재들 간의 우주전쟁, 사이보그 행성과 유기체 행성, 열반에 드는 존자와 매력적이고 오만한 악마가 명멸하는 초다중내우주에서 펼쳐지는 독특한 스페이스 오페라다. 「모멘트 아케이드」로 제4회 한국과학문학상 중단편 부문 대상을 수상한 황모과는 「스위트 솔티」로 흔들리고 떠다니는 삶이 곧 자신의 정체성이 된 이들이 서로의 어깨를 보듬으며 미래의 고향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들려 준다. 이주와 난민이라는 주제가 기착지인 부산항을 거쳐 우주로 확장한다. 지금 가장 멀리 나아가는 텍스트 SF를 둘러싼, SF가 던지는 물음들을 따라 아직 오지 않은 더 나은 날들을 볼 수 있기를 크리틱은 SF 비평에 대한 절실하고 다급한 요구를 반영해 『오늘의 SF』가 힘주어 준비한 섹션이다. SF 연구자이자 문화 비평가인 이지용이 27년여 동안 120편 넘게 발표된 듀나의 작품들이 갖는 다양한 의미 지점을 탐구한다. 장르 관습의 능숙하고 개성적인 활용, 한국어로 보여 주는 경이의 세계, 시대에 따라 변모한 인식을 작품에 구현하는 힘에 대해 읽고 나면 결국 듀나의 작품을 펼치고 싶어진다. 인터뷰에서는 이다혜 기자가 드라마와 영화, 방송 채널과 OTT 플랫폼의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 ‘SF8’의 기획·연출자 민규동 감독과 마주 앉았다. SF 소설 붐이 영화로도 이어질 수 있을지, 두려움과 설렘이 뒤섞인 창작자의 마음을 엿볼 수 있다. 장르문학 전문 최지혜 편집자는 묵직한 매력과 주제의식을 품은 김창규 작가와 그의 작품 세계 및 창작론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김창규 작가는 ‘SF8’ [블링크]의 원작 「백중」을 쓰기도 했다. 각자의 방향으로 성큼성큼 걸어온 두 창작자의 고민이 겹치는 지점이 있어 흥미롭다. 과학, 문학,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SF와 다른 영역과의 접점을 다채롭게 보여 주고자 하는 『오늘의 SF』의 지향성은 칼럼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전혜진의 글은 한국 SF의 계보를 이루는 뚜렷한 하나의 줄기이자, 무엇보다 지금 한국에서 SF를 읽고 쓰는 사람의 최소 절반 이상이 여성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SF 순정만화에 대한 재평가를 요구한다. 국립과천과학관 연구관인 유만선은 아이작 아시모프의 작품이 엘론 머스크의 스페이스 X 설립에 바탕이 되었듯 항공우주 분야 과학자들과 SF 작가들 간의 소통과 협력이 머지않아 이곳에서도 움트길 기대하며, 과학 커뮤니케이터 이은희는 SF에 재현된 여성의 몸과 인류의 재생산 방식을 통해 여성의 몸에 덧씌워진 지나친 생식주의적 관점을 검토한다. 에세이에는 전혜진 작가의 「『위치스 딜리버리』와 함께하는 분당 산책」, 박문영 작가의 「SF를 쓴다는 것, SF 작가로 산다는 것」 두 편을 실었다. 전혜진의 SF 기행문은 서울 근교의 베드타운 분당, IT 기업들이 밀집한 판교의 지도 위에 SF 무대의 좌표를 찍어 보는 독특한 경험을 선사한다. 박문영의 글은 거친 동질화로부터 한 발짝 떨어져서 균열과 틈, 차이를 섬세하게 들여다보려는 데서 SF를 읽고 쓰는 이유를 찾는다. 우리 각자의 SF는 어떤 모습인지 되묻게 하는, 짧지만 긴 여운이 남는 글이다. 리뷰는 문지혁, 듀나를 비롯한 다섯 명의 필진이 참여해 마거릿 캐번디시부터 천선란까지 치열하게 균형을 맞추어 선별한 작품들을 소개한다.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95728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