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Shin Daechul(신대철)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Shin Daechul
Family Name
Shin
First Name
Daechul
Preferred Name
-
Pen Name
-
ISNI
-
Birth
1945
Death
-
Occupation
Poe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Korean(한국어)
  • English(English)
  • Chinese(汉语)

 

도입부

 

신대철(1945~)은 한국의 시인이다. 연세대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1968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 <강설(降雪)의 아침에서 해빙(解氷)의 저녁까지>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시집으로 ≪무인도를 위하여≫(1977), ≪개마고원에서 온 친구에게≫(2000), ≪누구인지 몰라도 그대를 사랑한다≫(2005), ≪바이칼 키스≫(2007), ≪극지의 새≫(2018)가 있다. 

 

생애

 

신대철은 1945년 충남 홍성에서 출생했다. 공주사대부속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5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 이후 같은 대학의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1977년 절필을  선언했다. 1999년 국민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 원장을 역임하고, 2005년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학장을 지내다가, 2010년 정년퇴임했다.  

 

작품세계

 

신대철은 <우리들의 땅>, <×」>, <개마고원에서 온 친구에게> 연작, <그대가 누구인지 몰라도 그대를 사랑한다> 등에서 분단의 현장을 증언하고 민족의 화해를 추구하였다. 시인은 2018년 4월에 이루어진 남북 정상의 극적인 회담을 <새>를 통해 그리기도 하였다. 이전의 시집부터 시도해오던 화해와 합일의 시도가 두 번째 시집에서도 뚜렷하게 지속된다. 그리고 그러한 줄기가 철도와 황야를 따라 히말라야까지 뻗어나가면서 시인의 행보는 분단 극복뿐만 아니라 인간의 근원적 동질성에 대한 탐구에 다다른다. 시인은 흰 구름과 산상초원, 눈 폭풍 속에서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을 기억하기 위해 시를 쓴다. 

 

신대철은 첫 시집을 출간한 후, 어떤 문학단체나 문예지를 통해서도 활동하지 않았다. 이른바 문단활동이 전무했다. 시인의 두 번째 시집 ≪개마고원에서 온 친구에게≫(2000)에서 시인은 오지 체험을 바탕으로 고통의 기억이 현재와 조우하는 순간을 그렸다. 또한 북파공작원을 북으로 보냈던 군대 체험, 시베리아와 몽골에서의 오지 체험, 화전민으로 살아야 했던 유년의 경험을 서정적으로 그렸다. 폭력과 강권이 지배해온 분단 조국 너머의 세계를 지향하는 시인의 목소리가 실존적 자아에 대한 성찰을 동반한다는 점에서 이 시집은 한국의 시단에서 보기 드문 성취라고 할 수 있다. 신대철은 이 시집으로 2002년 제4회 백석문학상을 수상했다. 

 

≪개마고원에서 온 친구에게≫와 첫 시집 ≪무인도를 향하여≫ 사이에는 23년이라는 간극이 있지만, 시간의 길이는 큰 의미가 없다. 두 시집은 23년을 뛰어 넘어 ‘금강’과 ‘개마고원’으로 만난다. 여기서 금강은 자연인이자 분단 현실의 희생자인 시인 신대철이고, 개마고원은 역시 북에서 태어난 자연인이자 분단의 피해자인 북쪽 사람이다. 

 

1970년대 이후 한국 현대시에서 신대철만큼 분단 현실을 화두로 삼아온 시인은 드물다. 1980년대 이른바 정치적 상상력을 동력으로 형성되었던 한국의 시단은 분단시, 노동시, 농촌시, 교육시 등이 당대의 전위를 이루었다. 하지만 신대철은 1980~90년대 시문학의 흐름에서 벗어나 분단 문제를 전적으로 다루었다. 신대철에게 분단 상황은 실존의 문제였다. 

 

칠갑산으로 대표되는 산을 주요한 제재로 삼은 시편들에서 칠갑산(금강)과 개마고원의 결합으로 이어지는 시들은 낯설게 여겨지지만 시인에게는 그 두 개가 다른 것이 아니었다. 유년시절 칠갑산에서 어렴풋이 본 전쟁의 악몽이 비무장지대에서 변주되어 나타난 것이다. 또한 시인의 회고에 따르면 칠갑산에서 비무장지대에 이르는 시기는 시인의 내면이 분열되었던 때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했다. 그 결과가 시인의 두 번째 시집 ≪개마고원에서 온 친구에게≫다. 경험을 중시하는 시인의 태도와 무관하지 않은 듯, 신대철의 시는 공간적 배경이 뚜렷하다. 칠갑산, 비무장지대, 백두대간, 아이오와, 알래스카, 고비 사막 등 지도에 등장하는 현실적 공간이다.1)

 

주요작품

 

1) 시집
≪무인도를 위하여≫, 문학과지성사, 1977
≪개마고원에서 온 친구에게≫, 문학과지성사, 2000
≪누구인지 몰라도 그대를 사랑한다≫, 창비, 2005
≪바이칼 키스≫, 문학과지성사, 2007
≪극지의 새≫, 빗방울화석, 2018

 

2) 산문집
≪나무 위의 동네≫, 청아출판사, 1989

 

수상내역

 

2002년 제4회 백석문학상(수상작 『개마고원에서 온 친구에게』, 문학과지성사, 2000)
2006년 제1회 박두진문학상 수상
2008년 제19회 김달진문학상(수상작 시집 『바이칼 키스』, 문학과지성사, 2007)
2008년 제8회 ‘지훈상’(문학 부문. 수상작 시집 『바이칼 키스』, 문학과지성사, 2007)
2010년 홍조근정훈장 수상(국민대학교 정년퇴임 당시 학교 발전에 기여한 공로) 

 

참고문헌

 

1) 이문재, 「극지에서 마침내 화해하다」, 『문학동네』 2003년 여름호 통권 35호

 

 

 

Introduction

 

Shin Daechul (1945~) is a South Korean poet. He studie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Yonsei University where he graduated with a Master’s degree. He debuted in 1968 by winning the Chosun Ilbo Spring Literary Award with his poem Gangseorui achimeseo haebingui jeonyeokkkaji (강설(降雪)의 아침에서 해빙(解氷)의 저녁까지 From the Morning’s Snow to the Evening’s Thaw). He has published the poetry collections Muindoreul wihayeo (무인도를 위하여 For the Desert Island) 1977, Gaemagowonaeseo on chingooaegae (개마고원에서 온 친구에게 For my Friend from the Gaema Highlands) 2002, Geudaega nuguinji mollado geudaereul saranghanda (그대가 누구인지 몰라도 그대를 사랑한다 I Don’t Know Who You Are but I Love You) 2005, Baikal kiseu (바이칼 키스 Baikal Kiss) 2007, Geukjiui sae (극지의 새 Polar Bird) 2018.

 

Life

 

Shin Daechul was born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Hongseong-gun, in 1945. He graduated from Kongju National University High School before enrolling in Yonsei University in 1965, where he also attended graduate school and earned a Master’s degree. In 1977, he announced the end of his writing career. In 1999, he became the head of the Creative Writing Graduate Department at Kookmin University, where, in 2005, he became dean of the Liberal Arts College. He retired in 2010. 

 

Writing

 

Throughout his poems such as “Urideurui ttang” (우리들의 땅 Our Land), “X” “Gaemagowonaeseo on chingooaegae” (개마고원에서 온 친구에게 For my Friend from the Gaema Highlands) and “Geudaega nuguinji mollado geudaereul saranghanda”(그대가 누구인지 몰라도 그대를 사랑한다 I Don’t Know Who You Are but I Love You) Shin Daechul has stood as witness to the locations of division and has sought the reconciliation of the people. He even commemorated the meeting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o normalize relations that began in April 2018 by writing a poem entitled “Sae” (새 Bird). The attempts for reconciliation and unification that were seen in his first poetry collection were continued very clearly in his second collection of poetry. And as these ideas followed the poet on his travels by rail and through wilderness all the way to the Himalayas, they become more than just about overcoming division, but also an exploration of the essential homogeneity of humanity. While amidst white clouds in a mountain meadow or in a thick blizzard, the poet writes his poems in order to remember what it is that makes us human.

 

After publishing his first poetry collection, Shin Daechul was not active with any literary group or publication, which is to say he was absent from the writing community. His second collection, Gaemagowonaeseo on chingooaegae (개마고원에서 온 친구에게 For my Friend from the Gaema Highlands) (2000), used his experiences from the backcountry as ground to explore how memories of past suffering can manifest themselves in the present. In these lyrical poems he described his experience in the military sending North Korean spies back north, his time spent in the backcountry of Siberia and Mongolia, and his childhood experiences as part of a family of poor slash-and-burn farmers. By looking beyond the violence and authoritarianism of his own country, the poet’s unique voice and his rumination on the existential ego work in tandem to create a rare achievement in Korean poetry. For this poetry collection, Shin Daechul won the 4th annual Baek Seok Prize for Literature (백석문학상) in 2002. 

 

Between Gaemagowonaeseo on chingooaegae and Shin’s first collection Muindoreul wihayeo is a space of twenty-three years, but the length of time has little meaning. The two poetry collections reach across the twenty-three years and meet as the Geum River of South Korea and the Gaema Highlands of North Korea. Here, the Geum River represents the poet  Shin Daechul, the man of nature and casualty of division; while the Gaema Highlands represents a man from North Korea, also a man of nature, and the victim of division.

 

From the 1970s onward, it is rare to see a poet who wrote so much about the reality of division. In the 1980s, South Korean poetry became so formed by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that poetry about division, laborers, farmers, and education became a new vogue. However, throughout the 80s-90s Shin Daechul remained separatefrom other literary circles in that he was fully engrossed with the problemsof division. To him, it was truly an existential problem.

 

It may seem strange at first to see how Shin Daechul compares Chilgap Montain near his hometown to the Gaema Highlands of North Korea, but to him these were not two different places. The nightmares of war that he glimpsed as a young child near Chilgap Mountain reappeared in a different form during his time at the DMZ. According to the poet, when his life took him from Chilgap Mountain to the DMZ, he experienced a great internal split of his own, and he had to go through many different experiencesand trials to begin to make sense of it. These experiences became the subject of his poetry collectionFor My Friend from the Gaema Highlands. Similar to the poet’s focuson the importance of hisexperiences, the spatial backgrounds of his poems are especiallyvivid. Whether it is Chilgap Mountain, the DMZ, the Baekdu Mountain Range, Iowa, Alaska, or the Gobi Desert, they are all real places that can be found on a map. [1]

 

Works

 

1) Poetry Collections

≪무인도를 위하여≫, 문학과지성사, 1977 / Muindoreul wihayeo (For the Desert Island), Moonji, 1977

≪개마고원에서 온 친구에게≫, 문학과지성사, 2000 / Gaemagowonaeseo on chingooaegae (For my Friend from the Gaema Highlands), Moonji, 2002

≪누구인지 몰라도 그대를 사랑한다≫, 창비, 2005 / Geudaega nuguinji mollado geudaereul saranghanda (I Don’t Know Who You Are But I Love You), Changbi, 2005

≪바이칼 키스≫, 문학과지성사, 2007 / Baikal kiseu (Baikal Kiss), Moonji, 2007

≪극지의 새≫, 빗방울화석, 2018 / Geukjiui sae (Polar Bird), Bitbangulhwaseok, 2018

 

2) Essay Collections

≪나무 위의 동네≫, 청아출판사, 1989 / Namu wiui dongne (Neighborhood Above the Trees), Chunga, 1989

 

Awards

 

Baek Seok Prize for Literature (2002)

Park Tu-jin Literary Award (2006)

Kim Daljin Literary Award (2008)

Jihun Literary Award (2008)

Order of Service Merit Red Stripe (2010) (Awarded at the time of his retirement for his work at Kookmin University)

 

References

 

[1] Lee, Moon-jae, Geukjieseo machimnae hwahaehada (극지에서 미침내 화해하다 ReconciliationFrom Polar Opposites At Last), Munhakdongne, 2003 Summer Edition, Volume 35

 

申大澈(1945-),韩国诗人。1968年经《朝鲜日报》新春文艺步入文坛。其作品剖析了不安与恐惧、矛盾与复仇、爱情与失落等人类内在的情感,展现了对生命这一存在的敬畏。


诗集《为了无人岛》(《무인도를 위하여》,1998)、《献给来自盖马高原的朋友》(《개마고원에서 온 친구에게》,2000)、

           《极地之鸟》(《극지의 새》,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