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체 뭐하자는 인간이지 싶었다
taech'e mwŏhajanŭn in'ganiji ship'ŏtta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Lee Lang / 이랑 / 2018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Essay > 21st century
2016년에 출간된 이랑의 에세이다. 영화를 만들고 만화를 그리는 작가가 즐겁고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고민하며 작가자신과 세상을 향해 던지는 질문을 담은 글이다.
-
오리 이름 정하기
Ori ireum jeonghagi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Lee Lang / 이랑 / 2019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Fiction > 21st century > Others
-
너를 알고 싶어
Neoreul algo sipeo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Cho Nam-ju et al / 조남주 et al / 2022 / -
-
괄호가 많은 편지
kwalhoka manhun phyenci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Kim Ryeong-hwa et al / 김령화 et al / 2021 / -
문득 괄호를 열고 닫듯이 서로의 마음도 넘나들 수 있을까 불안의 시대, 갇혀버린 마음을 위로하는 슬릭과 이랑의 편지 힙합 신에서 혐오 대신 사랑을 노래해온 슬릭, 장르를 넘나들며 쉴새없이 이야기를 만드는 이랑. 각자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일하고 있는 두 여성 아티스트가 코로나 시대에 편지를 주고받았다. 우리 시대 빛나는 작가들의 왕복서간을 엮는 문학동네 서간에세이 시리즈 ‘총총’ 중 한 권이다. 한 달 벌어 한 달 먹고살던 두 사람은 유례없는 감염병의 시대를 맞아 깜깜한 앞날에 대한 불안을, 이 와중에도 꼬리에 꼬리를 무는 마음속 생각들을 내밀히 공유해보기로 한다. 두 사람은 언뜻 보기에 닮은 점이 많다. 활동명이 두 글자이고, 한국에서 음악하는 30대 여성 아티스트이자, 페미니스트이자, 고양이 동거인이다. 그러나 막상 서로에 대해서는 잘 몰랐다. 이랑에게 슬릭은 ‘Mnet 리얼리티 예능 [굿걸]에 나온 래퍼’였고, 슬릭에게 이랑은 ‘시상식에서 트로피를 경매에 부친 아티스트’였다. 서로가 서로에게 ‘미지의 세계’인 슬릭과 이랑은 편지를 통해 더 가까이 만나보기로 한다. 행사장에서 몇 번 마주친 게 전부였던 두 사람은 편지를 주고받던 도중 재미있는 공통점을 발견한다.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편지글에 괄호가 많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괄호 속에는 부연의 말이 들어 있기도 했고, 해명의 말이 담겨 있기도 했고, 상대가 알아줬으면 하는 본심이 드러나기도 했다. A를 이야기하다가도 B에서 C까지 전부 들려주고 싶은 마음을 겨우 가다듬어 괄호 속에 꾹꾹 눌러 담았는지도 모른다. 또, ‘괄호’란 단어를 소리 내어 발음하면 ‘과로’가 된다. 두 사람은 앞날에 대한 초조함으로 일을 무리하게 많이 받거나, 혹은 일을 마구 벌이기도 하며 달력에 가득 채워진 색색깔의 마감들을 소화해내느라 자주 과로한다는 점도 꼭 닮아 있었다. 글에서는 괄호를 많이 쓰고 현실에서는 과로를 자주 한다는, 소소하지만 중요한 공통점을 발견하면서 ‘괄호가 많은 편지’들이 본격적으로 오고간다.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02642773
Original Works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literature titles (classical, modern and contemporary) in multiple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