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Works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literature titles (classical, modern and contemporary) in multiple languages.

17 results
  • 현남 오빠에게
    현남 오빠에게

    Hyeonnam oppaege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Cho Nam-ju et al / 조남주 et al / 2017 / -

    Published in 2017, this feminist-themed short story collection contains works by seven female authors, including “To My Brother Hyeonnam” by Cho Nam-ju, “Your Peace” by Choi Eunyoung, “Gyeongnyeon” by Kim Yi-seol, and “The Child of Mars” by Kim Seong Joong. Featuring works by women writers who have strived consistently over the years to have their voices heard, the collection is a meaningful indication of how issues of gender-based violence and discrimination have emerged in Korean society as an important topic of public discourse. In these short stories, the authors offer a subtle and precise perspective on the dangers that threaten women’s realities.

  • 나의 할머니에게
    나의 할머니에게

    Naui halmeoniege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Yoon Sung-hee et al / 윤성희 et al / 2020 / -

    틀림없이 우리 곁에 있어왔지만 정확하게 응시된 적은 없었던 여성들 『나의 할머니에게』는 사회 곳곳에서 여전히 소외되고 주목받지 못하지만, 어려운 시절을 충실히 살아낸 우리 시대의 소중한 어른으로서 ‘할머니’들의 이름을 제대로 불러보고 싶다는 마음에서 시작되었다. 현재 한국 문단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 중인 여성 작가 6명(윤성희, 백수린, 강화길, 손보미, 최은미, 손원평)이 유해한 시대를 무해한 사랑으로 헤쳐 나온 이들의 믿지 못할 삶의 드라마를 각자의 고유한 감각과 개성으로 그려냈다. 가족의 의미가 흐려져가는 시대에도 부모를 대신해 우리를 키우고 보듬었던 존재. 가족을 위해, 또 여성을 억누르는 부당한 세상에 의해 자신의 이름을 지우고도 한 시대를 오롯이 버텨낸 역사의 증언자. 떠올리면 언제나 마음이 따뜻해지는 단어. “틀림없이 우리 곁에 있어왔지만 정확하게 응시된 적은 없었던 여성들”(황예인, 발문)인 할머니에 대한 여섯 편의 소설이 실려 있다.

  • 사라지는 건 여자들뿐이거든요
    사라지는 건 여자들뿐이거든요

    Sarajineun geon yeojadeulppunigeodeuny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Kang hwa gil et al / 강화길 et al / 2020 / -

    사라지는 여성들에 대한, 사라지지 않을 기록들 여성의 불안을 전면화하는 여덟 편의 아름답고 강력한 은유 여성의 불안을 매혹적으로 형상화한 ‘고딕-스릴러’ 테마 소설집 『사라지는 건 여자들뿐이거든요』가 출간되었다. 강화길, 손보미, 임솔아, 지혜, 천희란, 최영건, 최진영, 허희정, 한국문학을 이끌어가는 젊은 여성 소설가 8인이 2020년을 살아가는 여성이 겪는 불안을 다양한 시공간 속에서 재현한다. 2015년 강남역 살인사건에서부터 최근 N번방 사건까지, 일련의 사건들을 경유하며 ‘불안’은 여성의 삶을 설명하는 가장 주요한 감각으로 자리 잡았다. 불안은 여성의 생명을 위협하는 다양한 혐오와 사회적 압박에서 비롯된 것인 동시에, 스스로가 부여하는 제한과 경멸, 혐오 등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기도 하다. 이때 불안은 개인적 차원의 것이라기보다는 다양한 세대의 여성들의 경험이 겹겹이 중첩되는 곳에 놓이는 공통의 것이다. 그러나 공통의 경험이 곧바로 연대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여성의 삶속에 가로 놓여있는 다양한 차이는 우리를 피해자인 동시에 가해자인 위치에 놓아두며, 불균질하고 비이성적인 충동 속에 위치시킨다. 대프니 듀 모리에의 『레베카』, 셜리 잭슨의 『힐 하우스의 유령』 등, 특정 공간이나 특정 관계에서의 불안을 매개로 인간의 심리를 세밀히 파헤치는 고딕-스릴러 장르는 이런 비뚤어지고 거친 마음의 결을 그로테스크한 방식으로 드러냄으로써 불안을 전면화한다. 뿐만 아니라 그 불안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의 여러 이슈들과 함께 공명하며 오래도록 여성의 것으로 여겨진 ‘히스테리아’를 해체하고 재조직한다. ‘고딕-스릴러’라는 장르를 통과하여 우리는 ‘기묘하고 표정이 읽히지 않는’ ‘의심할 수밖에 없는’ ‘미쳐 있는’ 등의 이유로 사라져왔던 여성의 서사를 지금 이곳에 가장 문학적인 방식으로 복원할 수 있게 된다. 우리가 만날 여덟 편의 고딕-스릴러 소설이 사회적 약자가 겪을 수밖에 없는 세계 속의 불안이 정확하게 발화되는 장이 되는 한편, 이 시대에 필요한 공감과 연대를 불러오기를 기대한다.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91360833

  • 디어 랄프 로렌
    디어 랄프 로렌

    Dieo ralpeu roren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Son BO-MI / 손보미 / 2017 / -

  • 디어 랄프 로렌
    디어 랄프 로렌

    dieo ralpeu roren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Son BO-MI / 손보미 / 2017 / -

  • 2023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2023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2023 gimseungongmunhaksang susangjakpumjip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Kwon Yeo-sun et al / 권여선 et al / 2023 / -

  • 그들에게 린디합을
    그들에게 린디합을

    geudeurege rindihabeul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Son BO-MI / 손보미 / 2013 / -

  • DLKL
    우아한 밤과 고양이들

    uahan bamgwa goyangideul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Son BO-MI / 손보미 / 2021 / -

  • 작은 동네
    작은 동네

    jageun dongne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Son BO-MI / 손보미 / 2020 / -

    나만 몰랐던 나의 또 다른 이야기 손보미의 신작 장편소설 『작은 동네』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됐다. 첫 장편소설 『디어 랄프 로렌』 이후 3년 만이다. 작가는 “결정적인 대목을 말하지 않고” “말해지지 않은 덕에 더욱 강렬”(권희철)한 스토리 구성 능력과 “한국 소설의 미학적 지형을 흔드는 신선함”(이광호)을 갖춘 개성적인 감각으로 다수의 문학상(젊은작가상 대상, 한국일보문학상, 김준성문학상, 대산문학상)을 수상하며 한국 문학의 중추로 꾸준한 실력을 보여왔다. 이번 소설은 교보생명 [광화문에서 읽다 거닐다 느끼다]를 통해 2018년 1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연재되었던 작품을 묶은 것이다. 1인칭 여성 화자를 내세워 ‘나’의 현재와 내가 살았던 ‘작은 동네’에서의 과거 이야기를 오가는 방식으로 서술되었으며, 아무도 말해주지 않았고 기억에서마저 지워진 나와 엄마의 서사를 복구하는 추리극이다. 작가는 근래 「밤이 지나면」 「크리스마스의 추억」으로 이어지는 단편소설을 통해 ‘열 살 여자아이’로 그려지는 인물에 작가적 관심을 보여왔는데 이번 장편소설 역시 이러한 관심의 연장선상으로서 손보미의 근래 작품을 따라 읽어온 독자에게는 작가의 확장된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source: https://www.yes24.com/Product/Goods/91000774

  • 아무튼, 미드
    아무튼, 미드

    amuteun, mideu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Son BO-MI / 손보미 / 2024 / -

    한국일보문학상, 대산문학상, 이상문학상, 젊은작가상 등 굵직한 문학상을 휩쓸며 자기만의 고유한 작품 스타일을 구축해온 소설가 손보미의 첫 에세이. ‘나를 만든 세계, 내가 만든 세계’ 아무튼 시리즈 예순여덟 번째 책으로, 그가 오랫동안 사랑해온 미드(미국 드라마)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다. 작가는 미드의 수많은 매력 중에서도 “소설이 그렇듯” 우리 삶을 재현하는 방식으로서의 ‘이야기’에 집중한다. 그를 번번이 사로잡고야 마는 건 그 이야기 속에서 울고 웃고 싸우고 사랑하는 사람들이다. 하나같이 결핍을 지닌, 너무나도 인간적인 그들은 결국 현실의 우리 모습으로 포개지고 번져간다. Everybody lies. ‘모든 인간은 거짓말을 한다’라는 대명제 아래 이 불가해한 삶의 끝은 절망일 수밖에 없다고 느끼지만, 작가는 미드를 통해 어딘가에 반드시 존재할 희망의 기미를 읽어낸다. 그런 의미에서 미드는 지금의 그를 만든 하나의 퍼즐 조각이며, 이 책은 ‘손보미 유니버스’로 들어가는 열쇠가 되어줄 것이다. 그가 들려주는 미드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자기 삶을 사랑한다는 의미는 무엇인지, 또 우리가 끝끝내 서로를 포기하지 말아야 하는 까닭은 무엇인지, 생의 작은 비밀들을 엿볼 수 있다. source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3545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