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Lee Eunsang(이은상)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Lee Eunsang
Family Name
Lee
First Name
Eunsang
Preferred Name
-
Pen Name
YI UN-SANG, Lee Ensang, 李殷相
ISNI
0000000078299453
Birth
1903
Death
1982
Occupation
Poe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Spanish(Español)
  • French(Français)
  • Japanese(日本語)
  • Korean(한국어)

Lee Eunsang (1903 - 1982) was a Korean poet and historian.


Life 

    Lee Eunsang was born in Ma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He studied history at Waseda University in Japan and later completed a Ph.D in Korean literature at Kyung Hee University. Lee made his literary debut in 1921, publishing "Hyeoljo" (혈조 Blood Tide) under the pen name of Duuseong in the fourth issue of Aseong. Hereafter, Lee was most active in the literary magazine Joseon Mundan, which was founded in 1924. 

    Lee worked at Ewha Womans University as a professor from 1931 to 1932, after which he worked for the Dong-a Ilbo and the Chosun Ilbo. In 1942, he was arrested on the suspicion of being implicated in the so-called "incident of Chosun Language Academy" (조선어학회사건), and was released the next year when his indictment suspended. In 1945, he was detained in custody as a political offender at the Gwang-yang police station and was released at the time of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 

    After the liberation, Lee taught at Cheong-gu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Young-nam University. In 1954, he was invited to join the Korean Academy of the Arts. Besides his achievements as a poet and crusader for the modernization of sijo, Lee is known for his research on Admiral Yi Sun-sin, including a modern Korean translation of his Nanjung Ilgi (난중일기 War Diary). Lee was awarded the Rose of Sharon National Medal of Honor in 1970.


Writing

    Lee Eunsang was dedicated to the revival and modernization of sijo, a form of Korean poetry. A poet notable for his evolving style, Lee’s career consists of several distinct stages. In the beginning, his poetic works were almost entirely in free verse, and he published critical essays on Western poets such as Whitman and Tennyson. It was only later on that Lee developed a passionate interest in sijo, a form first invented in the late thirteenth and early fourteenth centuries, consisting of a set rhythm pattern usually involving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lines in three and four syllables each. For five centuries following its invention, sijo remained Korea’s most popular form of verse, but it had fallen out of favor by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the mid-1920s, the poet Lee Byeonggi began his well-known efforts to preserve and revive sijo, and Lee Eunsang matched him in his fervor. The actual sijo poems of Lee Byeonggi and Lee Eunsang, however, differ distinctly in both style and tone. While Lee Byeonggi’s technical innovations largely involved lengthening sijo verses, Lee Eunsang concentrated on condensing the three line poems even further into two lines, resulting in original works that were short but extremely dynamic and powerful. Lee Eunsang went on to create a new form he called ‘Yangjangsijo,’ consisting of less disruptive line breaks and a smoother rhythm. Several of his ‘Yangjangsijo’ poems, such as “Gagopa,” (가고파 Take Me Yonder), “Seongbulsaui bam,” (성불사의 밤 Night of Seongbulsa) and “Yetdongsane olla,” (옛동산에 올라 On the Old Hill) were set to music and have since become classic standards.

    The Korean War marked a distinct shift in Lee Eunsang's work. The central themes of his earlier works vary a great deal: for example, poems such as “Ganeun gonmada” (가는 곳마다 Everywhere I Go) and “Songdo norae” (송도 노래 Song of Songdo) from his first collection, Nosan sijojip (노산시조집Collected sijo of Nosan), are concerned with love of history in general, while “Heureneun bombit” (흐르는 봄빛 Colors of Spring) and “Sseulsseulhan geunal” (쓸쓸한 그늘 Melancholy Shadows) address nature and personal experiences. In sharp contrast, the poems from this new, post-war period reflect Lee’s newfound sense of social and political awareness, treating subjects such as the pain of national division, the memories of patriots, and the glorification of the Korean nation.


Cuando era niño jugaba con sus amigos en un manantial cerca de su casa en el monte Nobisan. Los poemas "Escalando la vieja colina" y "Sinfonía de un manantial" describen los días de su infancia en el manantial. Una de sus motivaciones para escribir poesía en el estilo sijo es que su padre se la recitaba cuando era niño.En 1921 publicó por primera vez un poema suyo en la revista Ahsung bajo el sobrenombre de Du Wuseong.Ganó reputación como un poeta que abrió una nueva forma libre de sijo. La mayoría de sus obras están compuestas como canciones clásicas. Nosan Shijojip, su primer volumen de poesía, se publicó en 1932. Las obras tenían como características la añoranza del hogar, el sentimentalismo y el culto por la naturaleza. Los poemas "Memoria de mi pueblo natal", "Quiero ir" y "Noche del templo Seongbulsa" están llenos de esa lírica simple y tierna.Por la lírica de sus poemas "Muchacha de primavera" (봄처녀) y "Quiero ir" (가고파), y la revisión moderna de la forma sijo en "Donghaesong" (동해송) y "La tierra alta está allí", se le considera el mejor poeta de sijo moderno.

 

Pendant son enfance, il jouait régulièrement avec ses amis près d'une rivière à côté de sa maison située sur la colline du Mont Nobi (Nobisan). À chaque retour à Masan, il se rendait près de cette source, car cela lui rappelait son enfance. Les poèmes Sur l'ancienne colline d'enfance (Yetdongsane olla) et La symphonie du printemps (Bomui gyohyanggok) représentent ces journées qu'il passait enfant au pied de la colline de Nobisan. En 1921, son poème Flot de sang (Hyeoljo) a été publié pour la première fois dans la revue Ahsung sous le nom de plume de Du-u-seong.Lee Eun-sang a peu à peu gagné la réputation d'un poète qui a su donner une nouvelle forme moderne au sijo traditionnel. La plupart de ses œuvres ont été recomposées en chansons. Nosan Sijojip, son premier recueil de poésie, a été publié en 1932. Les œuvres de cette période sont caractérisées par le mal du pays, le sentimentalisme et le culte de la nature.En raison du lyrisme de ses poèmes, notamment La jeune fille printemps (Bomcheonyeo) et Je voudrais y aller (Gagopa), et en raison de sa recomposition du format sijo en une forme d'écriture plus moderne, il est tenu pour l'un des poètes les plus importants concernant la renaissance du sijo moderne.

 

雅号は鷺山である。1903年10月22日、馬山(現在の昌原)で生まれる。1920年、延禧専門学校に入学して2年を修学してから、日本の早稲田大学へ留学した。1928年、帰国して「朝鮮語辞書編纂委員会」で働く。韓国固有の詩である시조(詩調)の現代化に貢献して、李秉岐とは双璧を成しながら詩調の一つの類型を完成させた。彼の作品のほとんどは、曲になって歌曲として歌われるほど、伝統の詩調形式を現代的なリズムでとしてうまく消化させている。このような点は、李秉岐とは異なる特徴でもある。

 

이은상(1903~1982)은 대한민국의 시조시인이자 역사학자다. 


생애

이은상은 1903년 경상남도 마산에서 태어났다. 호는 노산(鷺山)이다. 1918년 마산의 창신학교 고등과를 졸업했다. 1923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다니다가, 1925∼1927년에 일본 와세다대학 사학부에서 청강하였다.

작가는 1921년 ‘두우성(斗牛星)’이라는 필명으로 《아성(我聲)》(4호)에 〈혈조(血潮)〉라는 시를 발표했고, 1924년 10월에 창간된 문예지 《조선문단》을 통해 주로 작품을 발표했다. 그는 이 잡지를 통하여 평론, 수필, 시 작품을 다수 발표하였는데, 특히 국학이나 시조가 아닌 서양에서 도입된 자유시를 주로 발표했다. 이 무렵에 작가가 발표한 자유시는 30편인데 비해, 시조는 단 한편이었다. 

한편 작가는 평론도 다수 발표했는데, 1925년 《조선문단》에 게재된 〈시인 휘트만론〉, 〈영시사강좌〉, 〈예술적 이념의 본연성〉등이 있다. 그러다가 1926년 후반에 이르러 시조부흥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시조를 비롯한 전통문학과 국학(國學)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일본에서 돌아 온 이은상은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1931~1932)를 비롯하여, 동아일보사 기자, 잡지 《신가정(新家庭)》 편집인, 《조선일보》사 출판국 주간 등으로 일했다. 1942년 조선어학회사건에 연루되어 홍원 경찰서와 함흥 형무소에 구금되었다가 다음 해 석방되었다. 또한 1945년 사상범 예비검속으로 광양 경찰서에 유치 중에 광복과 함께 풀려났다. 

작가는 해방 후, 언론·학술·사학 방면의 저술을 많이 남겼고, 문학보다는 사회사업에 주력했다. 또 국토를 두루 다니면서 쓴 기행문과 충무공 이순신 연구로도 이름이 높다. 1967년 시조작가협회장, 한글학회 이사에 취임하고 1966년 문화재 위원에 추대되었다. 1969년 독립운동사편찬위원장에 취임하고 1972년에는 숙명여자대학교 재단이사장, 독립운동사 편찬위원장 등을 역임했고 이화여자전문학교, 서울대학교, 영남대학교에서 교수로 일했다. 

또한 1974년 노산시조문학상을 제정하고, 그 해 한국·네팔 협회 이사장이 되었으며 1976년 성곡학술문화재단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1981년에는 국정자문위원(國政諮問委員)에 위촉되기도 했다. 

작가는 일생을 통하여 시조(時調)와 민족의식 고양(高揚)이라는 두 길을 위해 진력하였다. 작가의 시조 《옛 동산에 올라》(1928), 《성불사의 밤》(1931), 《가고파》(1932) 등은 가곡으로 만들어져 아직도 불리고 있다. 1982년 세상을 떠났다.


작품 세계 

이은상의 시조 작품은 조국과 국토에 대한 예찬, 전통적 동양 정서, 불교적 무상관 등이 바탕을 이루고 있다. 특히 조국과 민족에 대한 사랑은 그의 작품 세계를 전체를 관통한다. 또한 어렵지 않은 시어로 넓은 독자층을 형성하여 시조 부흥에 기여했다.  

이은상은 1929∼1930년에 민요조의 리듬을 살린 〈새타령〉, 〈매화동(賣花童)〉, 〈조선의 꽃〉, 〈남산에 올라〉 등을 발표하였다. 

작가는 자유시와 시조 창작을 병행하다가 1930년대 후반부터 시조 창작에 주력한다. 그는 시조를 쓰는 한편, 당시(唐詩)를 시조형식으로 번역하기도 하고 시조에 관한 이론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동아일보》에 발표한 〈시조 문제〉(1927.4.30.∼5.4.), 〈시조 단형추의(短型芻議)〉(1928.4.18.∼25.), 〈시조 창작문제〉(1932.3.30.∼4.9.) 등의 글을 통하여 글자 수(數)가 아니라 음수율(音數律)로써 시조의 정형성을 추구하였다. 

한편 작가는 한때 주요한에 이어 두 번째로 양장시조(兩章時調)를 시험하여, 시조의 단형화를 시도한 바도 있으나 말기에 이르러서는 오히려 음수가 많이 늘어나는 경향을 띠었다.

1932년에 나온 그의 첫 개인 시조집인 《노산시조집》은 고향에 대한 향수, 자연에 대한 예찬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 중 〈고향 생각〉, 〈가고파〉, 〈성불사의 밤〉 등은 쉽고 감미로운 서정성이 가곡에 걸맞아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노래로 불리고 있다.  

1945년 이후 작가의 시조는 국토예찬, 분단된 조국에 대한 아픔, 통일에 대한 염원, 우국지사들에 대한 추모 등 개인적 정서보다는 사회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경향은 시조집 《노산시조선집》(1958)을 비롯하여, 《푸른 하늘의 뜻은》(1970), 그리고 작가의 마지막 시집인 《기원》(1982)에 잘 드러난다. 


주요 작품

1) 전집

《노산시조선집》(1958)


2) 선집

《노산문선》, 영창서관, 1942.

《가고파》, 화중련, 2012.


3) 시집

《노산시조집》, 한성도서주식회사, 1932

《조국 강산》, 민족문화사, 1954(개정판, 다운샘, 2015)

《푸른 하늘의 뜻은》, 금강출판사, 1970.

《기원(祈願)》, 노산문학회, 1982. 


4) 수필집 

《민족의 맥박》, 민족문화사, 1951.

《피어린 육백 리》, 교육신문사, 1962.

《이 충무공 일대기》, 국학도서출판관, 1946.


수상 내역 

1969년 대한민국 예술원 문학공로상 

1969년 한글 공로 대통령상 

1970년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 

1977년 대한민국 건국포상 



Original Works3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노산시조선집

    Nosansijoseonjip

    Lee Eunsang / 이은상 / 1958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한국현대시선집

    hankukhyundaesiseonjip

    Pak In-Hwan et al / 박인환 et al / -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한국현대시조선

    Hangukyeondaesijoseon

    Choe Nam-Seon et al / 최남선 et al / -

Translated Books5 Se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