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ye Yong-muk (September 8, 1904 – August 9, 1961) was a South Korean writer.
Life
Kye Yong-muk was born Ha Taeyong on September 8, 1904, in Seoncheon, North Pyeongan Province. Kye was educated at Sambong Public Normal School and Whimoon Normal School. In 1928, he moved to Japan to pursue his studies at Toyo University.
Kye's first published work was the short story "Geulbang-i kkae-eojyeo" (글방이 깨어져 The Shattered Schoolroom) which was published in the youth magazine Saesori in 1920. In 1925, Kye won the Saengjang literary contest with his poem "Bucheonim geomnim bomi wanne" (부처님 검님 봄이 왔네 O Buddha and Divine Spirits, Spring has Come).
Kye transferred his attention to short fiction with the publication in 1927 of "Choi seobang" (최서방 Mr. Choi) in Joseon Mundan, after which he never returned to writing poetry. Like many authors of the era including Yi Sang, he was imprison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August 1943 on charges of “displaying inadequate reverence for the emperor.”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Kye struggled to maintain a non-partisan position in the atmosphere of growing ideological strife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Kye died in 1961 in the middle of serializing the novel Seolsujip (설수집 Gleanings) in the journal Hyundae Munhak.
Writing
Kye Yong-muk’s early works of fiction evince the influence of socialist thought, depicting the plight of tenant farmers under vicious exploitation by landlords. When Kye Yong-muk returned to the literary world after a hiatus, however, it was no longer from the leftist perspective that he approached his subject matter. "Baekchi Adada" (백치 아다다 Adada, the Idiot), published in 1935, clearly bears the marks of this shift. A story of a mentally handicapped woman, the text offers a critique of contemporary social mores and the all-encompassing pursuit of material gain, but the economic question is reduced to the level of basic human greed rather than analyzed in terms of class conflict. One of Kye's most famous works, the story was adapted into a film in 1987 by the director Im Kwon-taek.
In subsequent works, Kye Yong-muk began to focus more on the art of writing and appealed to mysticism and complex symbology. Desire for material possessions continued to be deplored as the root of much evil in such stories as "Byeongpunge geurin dagi" (병풍에 그린 닭이 Like a Chicken on a Folding Screen), "Geumsuniwa dak" (금순이와 닭 Geum-sun and the Chicken), and "Mabu" (마부 The Pack-Horse Driver), but the characters in these texts find that they have no choice but to accede to this desire in order to maintain their livelihood. Rather vague in tone, these works differ from his earliest stories in that they lack historical awareness and portray common people merely as objects for contemplation. Nonetheless, they reveal increasing refinement of Kye Yong-muk’s artistic technique, a trend that continues in his post-Liberation works, including "Byeoreul henda" (별을 헨다 Counting Stars), "Barameun geunyang bulgo" (바람은 그냥 불고 The Wind Still Blows), and "Mulmaemi" (물매미 Water Cicadas). He is remembered as a writer who contributed (primarily in 1930s) to stylistic, technical and formal refinement of the modern Korean short story.
L'Institut coréen de traduction littéraire (LTI of Korea) résume son travail de la manière suivante :
Les premiers travaux de Kye manifestent l'influence de la pensée socialiste sur ses récits. Il dépeint la situation des fermiers exploités par des propriétaires cupides. Lorsqu'il fait son retour dans le monde littéraire, après une interruption de quelques années, il abandonne cependant son point de vue socialiste dans ses récits : Adada, l'Idiote (Baekchi Adada), publié en 1935, porte clairement les traces de ce changement. Il s'agit de l'histoire d'une femme handicapée mentale avec pour toile de fond une critique des mœurs contemporaines où tout est prétexte à la poursuite du gain matériel. Cette avidité est réduite à des problèmes de base chez l'être humain et n'est pas présentée sous la forme de conflit de classe. Dans ses travaux ultérieurs, Kye a commencé à se concentrer davantage sur l'art de l'écriture en tant que tel et a fait appel au mysticisme et au symbolisme pour développer ses récits. Plutôt vagues dans le ton, ces travaux diffèrent de ses premières histoires dans la mesure où ils n'ont pas de conscience historique et dépeignent les gens ordinaires comme de simples objets d'observation. Néanmoins, ils révèlent de plus en plus le raffinement de la technique artistique de Kye Yongmuk, une tendance qui se poursuit dans ses travaux après la Libération de la Corée, y compris En comptant les étoiles (Byeoreul Henda), Le vent souffle encore (Barameun geunyang bulgo), et Cigales (Mulmaemi). Il est connu pour être un écrivain qui a contribué (principalement dans les années 1930) au raffinement stylistique de la littérature moderne en Corée4.
계용묵(1904~1961)은 대한민국의 소설가다.
생애
계용묵(본명 하태용)은 1904년 평안북도 선천에서 태어났다. 삼봉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서당에 다니던 중, 서울에 올라가 1922년 휘문고등보통학교에 다녔다.
1920년 소년지 《새소리》에 시 〈글방이 깨어져〉가 2등으로 당선되었고, 1925년 《생장》의 현상문예에 시 〈부처님, 검님 봄이 왔네〉가 당선되었다. 계용묵이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한 것은, 1927년 《조선문단》에 단편소설 〈최서방〉이 당선된 이후로, 《조선지광》에 〈인두지주(人頭蜘蛛)〉(1928)를, 《조선문단》에 〈백치아다다〉(1935)를 발표했다. 작가는 1925년 5월 《조선문단》 제8호에 단편 〈상환(相換〉이 뽑힌 이후, 40여 편의 단편소설을 발표했다.
한편 계용묵은 1924년부터 약 4년 동안 고향에서 외국문학서적을 탐독하다가 1928년 일본의 도요대학(東洋大學) 동양학과에서 공부했다. 그러나 집안이 파산하여 1931년 귀국하였다. 이후 1938년부터 《조선일보》사에서 일했다. 1943년에는 일본 천황 불경죄로 2개월간 수감되기도 했다. 광복 직후, 계용묵은 좌우익으로 대립된 문단에서 ‘중간자적(中間子的) 입장’을 고수하며, 정비석과 함께 1946년 잡지 《대조(大潮)》를 창간했고, 1948년 김억(金億)과 함께 출판사 수선사(首善社)를 창립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1961년 세상을 떠났다.
작품 세계
계용묵은 인간이 가지는 선량함과 순수성을 옹호하면서 인간 존재와 삶의 의미를 탐구한 작품들을 주로 발표했다. 작가는 문제적인 현실을 외면하지는 않았는데, 갈등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고 담담한 세태묘사에 머물렀다.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작품에서 구현하고 단편양식에 대한 관심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
계용묵은 초기의 단편 〈최서방〉(1927), 〈인두지주(人頭蜘蛛)〉(1928) 등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현실주의적인 경향을 보이기도 했으나, 1935년 〈백치아다다〉 이후, 유미주의적인 경향으로 바뀌어, 미적 창조 및 자율성을 강조하는 예술지상주의적인 경향을 드러내는 작품을 썼다. 〈최서방〉(1927), 〈인두지주(人頭蜘蛛)〉(1928)는 지주와 소작인의 갈등을 그렸다는 점에서 대체로 현실의 문제를 소설적 주제로 삼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투쟁의식이 없다는 점에서 서민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이 반영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1935년 《조선문단》 제4권 제3호에 〈백치아다다〉(1935)를 발표하면서 작가는 초기의 미숙함에서 벗어나, 세련된 문장과 소설적 구성으로 소극적이고 소시민적인 인물들의 애환을 다뤘다. 〈장벽(障壁〉(1935), 〈병풍에 그린 닭이〉(1939), 〈청춘도(靑春圖〉(1938), 〈신기루(蜃氣樓)〉(1940)등이 이에 해당된다. 한편 작가는 1945년 해방 이후, 격동과 혼란 속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단편 〈별을 헨다〉(1946), 〈바람은 그냥 불고〉(1947) 등을 발표했다.
주요 작품
1) 전집
《계용묵문학전집》(1~2), 민음사, 2004.
2) 소설집
《병풍에 그린 닭이》, 조선출판사, 1944.
《백치 아다다》, 조선출판사, 1945.
《별을 헨다》, 희문사. 1954.
2) 산문집
《상아탑(象牙塔)》, 우생출판사, 1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