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Park Hyon-suk(박현숙)

Writer default image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Park Hyon-suk
Family Name
Park
First Name
Hyon-suk
Middle Name
-
Preferred Name
Park Hyon-suk
Pen Name
Park Hyun-Sook, Park Hyon-suk, パク・ヒョンスク
ISNI
0000000460166002
Birth
Unknown
Death
Unknown
Occupation
Playwrigh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Korean(한국어)
  • Chinese(简体)

 

Introduction

 

Park Hyon-suk (1926 ~) is a Korean playwright. From the 1950s onward, she has written a number of literary works as one of the first-generation female playwrights in Korea. She has created a unique literary world by digging deep into family matters while presenting those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times.

 

Life

 

Born in 1926 in Jaeryeong, Hwanghae-do province, Korea, Park first became interested in plays in her childhood enjoying the road tours of troupes and playing a role in a church theater [1]. Experiencing the death of her father early and witnessing her mother’s unhappy second marriage, Park began to concentrate deeply on family matters in her works [2].

 

She graduated from a nursing school in Haeju in 1946 and defected to South Korea. After entering university in Seoul, she joined a college drama club and played a role [3]. She started to write a play in 1950 [4]. An essay titled Eomeoni (어머니 Mother) (1950) was her first published work, and a play titled Hangbyeon (항변 Remonstrance) (1960) was the first play released.

 

Since her debut, Park has been a pioneering female playwright in Korea. She was Head of Jejackgeukhoe (The Production Theatre Circle) from 1963 to 1971, and President of The Korean Playwright Association from 1979 to 1980. She also served as mediator for the Seoul Family Court for over 30 years from 1965 to 1996.

 

Writing

 

Park Hyon-suk is a first-generation female dramatist in Korea. She started to write a play since the 1950s when there were almost no female playwrights in the field. She has been known for her distinctive delicate senses and critical perspective on the times [5]. It was around her debut that female playwrights began to appear in the field of playwriting in Korea [6].

 

Family and Affection

In her plays, Park illustrates families and affairs of the heart in a delicate manner. Her plays often deal with hope for the restoration of a ‘normal’ family order. Gamyeonmudohoe (가면무도회 The Masquerade) (1976), one of her most representative works, conveys the message that what is really needed for married couples is a mutual respect for each other [7].

 

Family History and Our History

In her plays, Park does not deal with family matters and matters regarding love from a micro perspective. Rather, she tries to reflect numerous historic events, rangi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Korean War,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o the April Revolution into the history of a family in her plays. For example, her full-length play, Geu challanhan yusan (그 찬란한 유산 The Brilliant Legacy) (1986) deals with four generations of family history, with an autobiographical main character. The family suffers all kinds of hardship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until the April Revolution, confronting one of the most unfortunate times of the country [8].

 

Major Works

 

(1) Collections and Anthologies

박현숙, 《박현숙 문학 전집》 1~7, 늘봄, 2001. / Bakyeonsung munhang jeonjip (The Completed Works of Park Hyon-suk), vol. 1-7, Neulbook, 2001

박현숙, 《박현숙 수상희곡 선집》, 늘봄, 2013. / Bakyeonsung susanghuigong seonjip (The Collection of Awarded Plays of Park Hyon-suk), Neulbook, 2013

 

(2) Collections of Plays

《여인》, 창조사, 1965. / Yeoin (A Woman), Changjosa, 1965

《가면무도회》, 세종문화사, 1976. / Gamyeonmudohoe (The Masquerade), Sejong, 1976 

《그 찬란한 유산》, 범우사, 1992. / Geu challanhan yusan (The Brilliant Legacy), Bumwoosa, 1992

《여자의 성》, 대한, 1996. / Yeojaui seong (A Castel of Woman), Daehan, 1996

 

(3) Essays

《막은 오르는데》, 창조사, 1970. / Mageun oreuneunde (When the Curtain Rises), Changjosa, 1970

《쫓기며 사는 행복》, 유림사, 1982. / Jjotgimyeo saneun haengbok (A Pursued, Happy Life), Yurimsa, 1982

《나의 독백은 끝나지 않았다》, 혜화당, 1993. / Naui dokbaegeun kkeunnaji anatda (My Monologue is Not Over), Hyehwadang, 1993

《그리움은 강물처럼》, 늘봄출판사, 2005. / Geuriumeun gangmulcheoreom (Longing is Like a River), Neulbook, 2005

《추억의 산책》, 늘봄출판사, 2010. / Chueogui sanchaek (A Walk in Memories), Neulbook, 2010

 

Awards

 

Korean Literary Award by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한국문인협회 한국문학상, 1976) [9]

Korean Playwright Association Award in Play (한국희곡작가협회 한국희곡상, 1986) [10]

The Republic of Korea's Eungwan Order of Cultural Merit (1995) [11]

The Korea PEN Literature Award (한국국제펜클럽 펜문학상, 2000) [12]

National Academy of Arts Award (2002) [13]

 

References

 

1) Park Hyon-suk, Naui dokbaegeun kkeunnaji anatda (My Monologue is Not Over), Hyehwadang, 1993, p.41

2) Seon-ju Kim, “A Family Ideology in Early Plays of Park Hyon-suk” in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e Learned Societ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vol. 14, 2003, p.396

3) Park Hyon-suk, Mageun oreuneunde (When the Curtain Rises), Changjosa, 1970, p.30

4) Park Hyon-suk, Naui dokbaegeun kkeunnaji anatda (My Monologue is Not Over), Hyehwadang, 1993, p.67

5) Mi-won Lee, “A Study on Park Hyon-suk’s Plays” in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1998, vol. 11-1, p.132-133 

6) [Wikipedia Korea] Park Hyon-suk

https://ko.wikipedia.org/wiki/박현숙_(극작가)

7) Moocheon Dramatic Arts Association, A Study on the Plays of Park Hyon-suk, Kookhak, 2004, p.30

8) Moocheon Dramatic Arts Association, A Study on the Plays of Park Hyon-suk, Kookhak, 2004, p.19-20

9) [Wikipedia Korea] Korean Literary Award

https://ko.wikipedia.org/wiki/한국문학상

10) History of the Korean Playwright Association  

http://kpw.or.kr/xe/page_AUvq51/174

11) “The 27th Korea Culture and Art Awards”, Kyunghyang Shinmun, October 18, 1995

12) “The Korea PEN Literature Awards”, Joongang Ilbo, February 23, 2000

13) The National Academy of Arts Awards

http://www.naa.go.kr/site/main/major/business/prize/list?cp=4&pageSize=5&listType=list&mbMenuId=prize#skip-nav2

Jin-wol Yu, Literary Criticism on Korean Plays and Feminism, Jipmoondang, 1996

Mi-won Lee, A Study on Modern Dramatists in Korea, Yeongeukgwa Ingan, 2003

The Korean Playwright Association

http://kpw.or.kr/

 

도입부

 

박현숙(1926~)은 한국의 극작가이다. 1950년대 후반부터 한국의 1세대 여성 극작가로서 꾸준하게 활동해왔다. 가족과 가정의 문제에 천착하는 동시에, 이것을 역사적인 시대상과 긴밀하게 결부해 풀어냄으로써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보여 주었다.  

 

생애

 

1926년 황해도 재령에서 출생하였다. 극단의 순회공연을 관람하고 교회에서 연극을 하던 어린 시절의 경험을 통해 연극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1)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의 재혼이 실패로 돌아가는 등 유년기부터 겪었던 불행한 가족사로 인해 가족의 문제에 깊이 천착하게 되었다.2) 
1946년 해주의 간호학교를 졸업하고 월남했다. 서울에서 대학에 들어가 연극부에서 배우로 활동했다.3) 1950년부터 본격적으로 희곡을 집필하기 시작했다.4) 처음 발표한 작품은 수필 〈어머니〉(1950)이며, 처음 발표한 희곡은 〈항변〉(1960)이다.

 

이후 박현숙은 한국의 1세대 여성 희곡작가로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1963년부터 1971년까지 제작극회의 대표를 맡는 등 연극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한국희곡작가협회 회장(1979~1980)을 지냈다. 1965년부터 1996년까지 30여 년간 서울가정법원의 조정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작품세계

 

박현숙은 여성 극작가가 부재하던 1950년대부터 특유의 섬세한 감각과 시대상에 대한 비판적인 안목을 바탕으로 활동한 한국 희곡의 제1세대 여성 극작가이다.5)

박현숙의 등장을 전후해 한국 희곡계에도 여성 작가의 등단과 활동이 더욱 활발해졌다.6) 

 

가족과 애정
박현숙은 가족과 애정 문제를 섬세한 감각으로 그려낸다. 박현숙의 희곡은 정상적인 가족 질서의 회복에 대한 희망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대표작인 〈가면무도회〉(1976)는 부부 사이에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내면적인 상호 존경의 마음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7) 

 

가족사와 역사
박현숙의 희곡에서 가족과 애정의 문제는 한 가족의 삶을 미시적으로 스케치하는 데에 그치지 않는다. 그는 일제 강점기, 한국전쟁, 남북 분단, 4·19 혁명 등 한국 현대사의 수많은 역사적 사건을 가족사에 투영한다. 예컨대 장막극 〈그 찬란한 유산〉(1986)은 자전적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4대에 걸친 가족사를 다룬다. 주인공 일가는 일제 강점기부터 4·19 혁명까지, 시대적 상황을 정면으로 마주하며 온갖 고난을 겪는다.8)

 

주요 작품

 

(1) 개인 전집, 선집
박현숙, 《박현숙 문학 전집》 1~7, 늘봄, 2001.
박현숙, 《박현숙 수상희곡 선집》, 늘봄, 2013.

 

(2) 희곡집
《여인》, 창조사, 1965.
《가면무도회》, 세종문화사, 1976.
《그 찬란한 유산》, 범우사, 1992.
《여자의 성》, 대한, 1996.

 

(3) 수필집
《막은 오르는데》, 창조사, 1970.
《쫓기며 사는 행복》, 유림사, 1982.
《나의 독백은 끝나지 않았다》, 혜화당, 1993.
《그리움은 강물처럼》, 늘봄출판사, 2005.
《추억의 산책》, 늘봄출판사, 2010.

 

수상 내역

 

1976년 제13회 한국문학상 (수상작 〈가면무도회〉) 9)
1986년 제6회 한국희곡작가협회 희곡상 (수상작 <그 찬란한 유산> 10)
1995년 대한민국 화관 문화훈장 11)
2000년 한국국제펜클럽 펜문학상 (수상작 <태양은 다시 뜨리>) 12)
2002년 제47회 대한민국예술원상 13)

 

참고문헌

 

1) 박현숙, 《나의 독백은 끝나지 않았다》, 혜화당, 1993, 41면. 
2) 김선주, 〈박현숙 초기 희곡에 나타나는 가족 이데올로기〉, 《한국현대문학연구》 14, 한국현대문학회, 2003, 396면.
3) 박현숙, 《막은 오르는데》, 창조사, 1970, 30면.
4) 박현숙, 《나의 독백은 끝나지 않았다》, 혜화당, 1993, 67면. 
5) 이미원, 〈박현숙 희곡 연구〉, 《한국연극학》 11-1, 한국연극학회, 1998, 132~133면.
6) [한글 위키피디아] 박현숙 
https://ko.wikipedia.org/wiki/박현숙_(극작가)
7) 무천극예술학회, 《박현숙 희곡 연구》, 국학자료원, 2004, 30면.
8) 무천극예술학회, 《박현숙 희곡 연구》, 국학자료원, 2004, 19~20면.
9) [한글 위키피디아] 한국문학상 
https://ko.wikipedia.org/wiki/한국문학상
10) [사단법인 한국극작가협회] 연혁 http://kpw.or.kr/xe/page_AUvq51/174
11) <27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선정>, 《경향신문》, 1995.10.18. 
12) <국제펜클럽 문학상 수상자 선정>, 《중앙일보》, 2000.2.23. 
13) [대한민국예술원] 대한민국예술원상 http://www.naa.go.kr/site/main/major/business/prize/list?cp=4&pageSize=5&listType=list&mbMenuId=prize#skip-nav2

 

유진월, 《한국 희곡과 여성주의 비평》, 집문당, 1996.
이미원, 《한국현대극작가연구》, 연극과인간, 2003.
[한국극작가협회] http://kpw.or.kr/ 

朴贤淑,韩国儿童文学作家。2006年在《大田日报》发表童话作品,从此开始创作活动。曾获第1届生活儿童文学奖大奖、韩国文化艺术委员会创作资助。创作了《邀请到底》(《끝까지 초대할 거야》)、《伟大的学校》(《위대한 학교》)、《阿迪达克斯炸鸡店》(《아디닭스 치킨집》)、《怪异的公寓》(《수상한 아파트》)等多部童话作品。        童话《卖了奶奶》(《할머니를 팔았어요》,2010)、《没有老师的学校》(《선생님이 사라지는 학교》,2016)


Original Works3

Translated Books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