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Ham Min Bok(함민복)

Writer default image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Ham Min Bok
Family Name
Ham
First Name
Min Bok
Middle Name
-
Preferred Name
-
Pen Name
咸敏復, Ham Min Bok
ISNI
0000000460229536
Birth
1962
Death
Unknown
Occupation
Poe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Works
  • Korean(한국어)
  • English(English)
  • Chinese(简体)

 

도입부

 

함민복(1962~)은 한국의 시인이다.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1988년 시 <성선설>을 ≪세계의 문학≫에 발표하며 등단했다. 이후 ≪우울씨의 일일≫(1990)을 비롯하여 5권의 시집과 ≪미안한 마음≫(2006) 등 3권의 에세이집을 출판했다. 함민복은 자본주의와 가난을 화두로, 현대 문명의 모순을 비판한다. 시인만의 감성이 잘 드러나는 문체와 날카로운 풍자가 특징적이다. 1996년부터 강화도에서 생활하고 있다. 

 

생애

 

함민복은 1962년 충북 중원군 노은면에서 출생했다. 초등학교 6학년 때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집안이 어려워져, 등록금이 면제되는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에 입학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월성 원자력 발전소에서 4년간의 일하다가, 사표를 내고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에 진학했다. 1988년 시 <성선설>로 ≪세계의 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이후 1990년에 첫 시집 ≪우울씨의 일일≫을 출간하고 3년 뒤 두 번째 시집 ≪자본주의의 약속≫을 출간했다. 1996년 우연히 놀러 간 강화도 마니산이 마음에 들어, 폐가에서 생활을 시작했다.1) 세 번째 시집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를 출간하고, 1998년 문화관광부 주관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을 받았다. 2005년에는 네 번째 시집 ≪말랑말랑한 힘≫을 출간했다. 2011년 3월 시창작교실에서 만난 박영숙과 결혼했다. 2013년 다섯 번째 시집 ≪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을 출간했다.

 

작품 세계

 

함민복의 시는 자본주의의 병적 현상에서 파괴된 가족사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문제를 다룬다. 많은 시인들이 계급, 민중, 소외된 약자들의 문제를 다루고 있지만, 의외로 자본주의와 가난을 전면에 내세워  화두로 삼는 시인은 드물다. 첫 시집 ≪우울씨의 일일≫(1990), ≪자본주의의 약속≫(1993),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1996)에 이르기까지 시인은 일관되게 자본주의와 가난에 주목한다. 그러나 10년에 가까운 공백기를 두고 새롭게 출판된 ≪말랑말랑한 힘≫(2005)에서는 부드럽고 말랑말랑한 ‘뻘’을 통해 “딱딱한” 도시의 자본주의를 극복하고자 한다.2) 실제로 시인은 1996년부터 강화도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시적 영감을 얻고 있다.

 

1990년에 출판된 첫 시집 ≪우울씨의 일일≫은 총 3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울씨의 일일> 연작을 비롯하여 46편의 시가 담겨있다. 시집에는 시인의 등단작인 <성선설>이 앞에 실려 있다. “손가락이 열 개인 것은/어머니 뱃속에서 몇 달 은혜 입나 기억하려는/태아의 노력 때문인지도 모릅니다”가 시의 전문인 <성선설>은 재치 있고 기발한 상상력이 인상적인 작품이다. 시집의 표제작인 <우울씨의 일일> 연작은 박태원의 소설 ≪구보씨의 일일≫을 패러디한 것으로, ‘우울씨’는 후기산업사회의 도시를 걷는 인물로 등장한다. ‘우울’이라는 병증을 시대적 정체성으로 규정하며 시인은 한국의 자본주의에 비판을 가한다.3)

 

세 번째 시집인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는 1부인 ‘선천성 그리움, 2부 ’달의 소리‘, 3부 ’거대한 입‘, 4부 ’꽃‘으로 나뉘며, 총 73편의 시가 담겨있다. 발문은 시인 차창룡이 썼다. 그는 “자본주의에 대한 자조적인 비판을 지나, 지독한 사랑의 길을 거친 자의 고통스런 여정의 결과”라고 평한다. 이전의 두 시집에서 함민복의 따뜻한 마음과 함께 자조에 가까운 자기부정을 느낄 수 있었다면, 이 시집에서는 자조를 극복하는 힘을 발견할 수 있다. ≪모든 경계에서 꽃이 핀다≫는 시인이 강화도에 정착한 첫 해에 발표한 시집으로 함민복 시의 새로운 시적 경향을 예고한다.

 

네 번째 시집인 ≪말랑말랑한 힘≫은 시인이 강화도에 정착한지 10여년 만에 출간한 시집이다. 1부 22편, 2부 19편, 3부 15편, 4부 19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문 <섬이 하나면 섬은 섬이 될 수 없다>까지 총 76편의 글이 실려 있다. 함민복은 이 시집을 통해 2005년 제24회 김수영 문학상과 제7회 박용래 문학상을 수상했다. 시집의 제목 ‘말랑말랑한 힘’이 지시하는 것은 바다와 육지의 경계라 할 수 있는 ‘뻘’이다. 시인은 시 <뻘에 말뚝 박는 법>에서 “좌우로 또는 앞뒤로/흔들며 지그시 눌러주기만 하면 된다”고 말하며, 이를 “수평이 수직을 세워”넣는 것이라 표현한다. 이는 ‘뻘’의 말랑말랑함이 도시의 딱딱함과 함께 조화를 이루는 방식으로, 시인의 사유를 드러낸다.4)

 

시인의 다섯 번째 시집 ≪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2013)은 네 번째 시집 이후 8년 만에 펴낸 시집이다. 3부로 나뉘어 있으며 70여 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가난한 삶 속에서 타자와 더불어 살아가는 시인의 세계관을 담백한 언어로 표현한다.

 

주요 작품

 

1) 시집 
≪우울씨의 일일≫, 세계사, 1990
≪자본주의의 약속≫, 세계사, 1993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창작과비평사, 1996
≪말랑말랑한 힘≫, 문학세계사, 2005
≪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 창비, 2013
≪당신 생각을 켜놓은 채 잠이 듭니다≫(시선집), 시인생각, 2013

 

2) 동시집 및 그림책
≪바닷물 에고, 짜다≫, 비룡소, 2009
≪꽃봇대≫, 대상, 2011
≪흔들린다≫, 작가정신, 2017

 

3) 산문 및 에세이
≪눈물은 왜 짠가≫, 이레, 2003
≪미안한 마음≫, 풀그림, 2006
≪길들은 다 일가친척이다≫, 현대문학, 2009

 

수상 내역

 

1998년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수상
2005년 제24회 김수영 문학상 수상(시집 ≪말랑말랑한 힘≫)
2005년 제7회 박용래 문학상 수상( 시집 ≪말랑말랑한 힘≫)
2005년 제2회 애지 문학상 수상
2011년 제6회 윤동주상 문학부문 대상 수상
2011년 제비꽃 서민시인상 수상


참고 문헌

 

1) 최영진, <강화도에서 어부로 살아가는 시인 함민복의 일상>, ≪레이디 경향≫, 2005.11.9
2) 함성호, <공포의 서정, 환위(換位)의 시학>, 함민복, ≪자본주의의 약속≫, 세계사, 1993
3) 정기석, <90년 전후 한국시에 나타난 우울 정동 고찰>, ≪한국문예창작≫ 44, 한국문예창작학회, 2018
4) 노용무, <길과 그림자로 이어진 뻘의 상상력-함민복의 ≪말랑말랑한 힘≫론>, ≪한국언어문학≫ 65, 2008

 

Introduction

 

Ham Min Bok (born 1962) is a Korean poet. He graduated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of Seoul Institute of the Arts, and began his career as a poet after the literary journal World's Literature published his poem "Seongseonseol (성선설, The Theory of Innate Goodness)" in 1988. Since his debut, he has written five poetry collections including U-ulssiui iril (우울씨의 일일, A Day in the Life of U-ul), published in 1990, and three collections of essays including Mianhan maeum (미안한 마음, Regretful Heart), published in 2006. Mainly interested in capitalism and poverty, he criticizes the absurdities of the modern civilization. He is noted for his writing style full of his unique sensibility and shrewd satire. He has been living in Ganghwado Island since 1996.

 

Life

 

Ham was born in 1962, in Noeun-myeon, Jungwon-gun, Chungcheongbuk-do. His family declined in wealth after his father died when he was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so he had to go to Sudo Electric Technical High School, where he could get a tuition exemption. He graduated high school and worked at the Wolsong Nuclear Power Plant for four years, before he quit his job and entered into Seoul Institute of the Arts to study creative writing. In 1988, he made his debut as a poet with the publication of his poem "Seongseonseol" in World's Literature. Then his first poetry collection U-ulssiui iril came out in 1990, followed by the publication of his second poetry collection Jabonjuui-ui yaksok (자본주의의 약속, The Promise of Capitalism) after three years. In 1996, he stepped into Manisan Mountain in Ganghwado Island by chance and liked it there, so started to live in a deserted house in the mountain.[1]

 

After his third poetry collection Modeun gyeonggye-eneun kkochi pinda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On Every Boundary Flowers Blossom) came out, he received the 1988 Today's New Writers Award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hel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then his fourth poetry collection Mallang mallanghan him (말랑말랑한 힘, The Soft Power) was published in 2005. He got married in March 2011 to Pak Yeongsuk, whom he met in a poetry writing class. His fifth poetry collection Nunmureul jareuneun nunkkeopul cheoreom (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 Like the Eyelid That Cuts Tears) came out in 2013.

 

Writing

 

The poetry of Ham Min Bok covers a variety of subjects, from the maladies of capitalism to the history of destroyed families. In the midst of many poets who focus on the issues of class, the people, and the minorities, he is one of the few whose main interest lies in capitalism and poverty. He has consistently paid attention to the two subjects, as shown in his 1990 debut book U-ulssiui iril, as well as the 1993 poetry collection Jabonjuui-ui yaksok and the 1996 book Modeun gyeonggye-eneun kkochi pinda. That being said, in Mallang mallanghan him, which came out after a ten-year hiatus, he aims to overcome the "stiff" capitalism of the city with the soft and smooth power of 'mud.'[2] In fact, he has been living in Ganghwado Island since 1996, and gets inspirations from the place.

 

His 1990 poetry collection U-ulssiui iril contains three parts of 46 poems, including the "U-ulssiui iril" Series. His debut poem "Seongseonseol" can also be found in the first part of this book. The poem, whose whole text is "Maybe we have ten fingers/because we were counting for how many months our kind mothers fed us/when we were in their bellies," impresses the readers with its interesting and original imagination. The title pieces, the "U-ulssiui iril" Series, are the parody of "A Day in the Life of Novelist Gubo," written by Park Taewon, and features the main character U-ul who walks around in the city of post-industrialization. With U-ul, whose name literally means depression, the poet implies that the mental illness is the identity of our times and denounces the capitalism in Korea.[3]

 

His third poetry collection Modeun gyeonggye-eneun kkochi pinda is made up of 73 poems in four parts: "Congenital Longing," "The Sound of the Moon," "A Huge Mouth," and "A Flower." And its postscript is written by the poet Cha Changryong, who says the book is "the result of a painful journey in which Ham passed the self-deprecating criticism of capitalism and the brutal path of love." While his two previous books exhibit his self-denial similar to self-deprecation along with his warm heart, the third book shows the power that overcomes such self-deprecation. In addition, it is also regarded as the potent of his new style of poetry, as it was published in the first year of his new life in Ganghwado.

 

His fourth poetry collection Mallang mallanghan him came out ten years after Ham settled down in the island. It contains 76 pieces of writing—the first part of 22 poems, the second part of 19 poems, the third part of 15 poems, the fourth part of 19 poems, and one prose entitled "Seomi hanamyeon seomeun seomi deulsuga eobsda (섬이 하나면 섬은 섬이 될 수 없다, An Island Is Not an Island If There Is Only One Island in the World)." For this book, he won the 24th Kim Su-Young Literary Award and the 7th Park Yong-rae Literary Award (박용래 문학상) in 2005. Its title "Mallang mallanghan him," whose literal meaning is the soft power, signifies 'mud,' what lies on the boundary between the land and the ocean. In the poem "Ppeore maldukbakneun beob (뻘에 말뚝 박는 법, How to Drive a Stick in the Mud)," the poet writes "Left and Right, back and forth/swing it, push it gently, and then it's done," adding that this is "how horizontality makes verticality stand." This reveals his way of thinking that the softness of the 'mud' is keeping a balance with the hardness of the city.[4]

 

His fifth poetry collection, Nunmureul jareuneun nunkkeopul cheoreom came out in 2013, eight years after the publication of his fourth poetry collection. It consists of three parts of 70 poems. In this book, his simple and clear language describes the world he dreams, where people help each other in life of poverty

 

Major works

 

1) Poetry collections

≪우울씨의 일일≫, 세계사, 1990 / U-ulssiui iril (A Day in the Life of U-ul), Segyesa, 1990

≪자본주의의 약속≫, 세계사, 1993 / Jabonjuui-ui yaksok (The Promise of Capitalism), Segyesa, 1993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창작과비평사, 1996 / Modeun gyeonggye-eneun kkochi pinda (On Every Boundary Flowers Blossom), Changbi, 1996

≪말랑말랑한 힘≫, 문학세계사, 2005 / Mallang mallanghan him (The Soft Power), Munhak Segyesa, 2005

≪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 창비, 2013 / Nunmureul jareuneun nunkkeopul cheoreom (Like the Eyelid That Cuts Tears), Changbi, 2013

≪당신 생각을 켜놓은 채 잠이 듭니다≫(시선집), 시인생각, 2013 / Dangsin saenggageul kyeonoheun chae jami deumnida: siseonjip (I Go to Sleep Thinking About You: Selected Poems of Ham Min Bok), Siin Saenggak, 2013

 

2) Children's poetry collections and picture books

≪바닷물 에고, 짜다≫, 비룡소, 2009 / Badatmul ego, jjada (Oops, the Sea Water Is So Salty), Biryongso, 2009

≪꽃봇대≫, 대상, 2011 / Kkotbotdae (The Pole of Flowers), Daesang, 2011

≪흔들린다≫, 작가정신, 2017 / Heundeullinda (Shaking), Jakka Jungsin, 2017

 

3) Prose and essays

≪눈물은 왜 짠가≫, 이레, 2003 / Nunmureun wae jjanga (Why Are Tears Salty), Ire Books, 2003

≪미안한 마음≫, 풀그림, 2006 / Mianhan maeum (Regretful Heart), Pulgeurim, 2006

≪길들은 다 일가친척이다≫, 현대문학, 2009 / Gildeureun da ilgachincheogida (The Roads Are All Related), Hyundae Munhak, 2009

 

Awards

 

Today's New Writers Awards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1998)

The 24th Kim Su-Young Literary Award (2005) for Mallang mallanghan him

The 7th Park Yong-rae Literary Award (박용래 문학상, 2005) for Mallang mallanghan him

The 2nd Aeji Literature Award (애지 문학상, 2005)

Grand Prize at the 6th Yun Dongju Literature Award (2011)

Violet Prize for the Poet of the People (제비꽃 서민시인상, 2011)

 

References

 

[1] Choe Yeongjin, "The Daily Life of Ham Min Bok, a Poet and Fisherman in Ganghwado," Lady Kyunghyang, November 9, 2005.

[2] Ham Seongho, "The Lyricism of Terror, the Poetics of Transposition," Jabonjuui-ui yaksok (Seoul: Segyesa, 1993).

[3] Jeong Giseok, "Study on the Depression Shown in the Korean Poetry Around the 1990s," The Journal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44 (2018).

[4] Roh Yongmu, "The Imagination of Mud Leading to Roads and Shadows: On Ham Min Bok's Mallang mallanghan him,"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65 (2008).

咸敏复(1962-),韩国诗人。1988年在《世界文学》发表诗作《性善说》(《성선설》),从此步入文坛。后又推出《忧郁氏的一天》(《우울씨의 일일》,1990)等5部诗集以及《满心歉意》(《미안한 마음》,2006)等3部随笔集。其作品以资本主义和贫穷为主题、对现代文明进行了强烈的批判。       


《忧郁氏的一天》(《우울씨의 일일》,1990)、《柔软的力量》(《말랑말랑한 힘》,2005)


  • Why Are Tears Salty (2008)

Original Works3

Translated Books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