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Yoo Chijin(유치진)

Writer default image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Yoo Chijin
Family Name
Yoo
First Name
Chijin
Middle Name
-
Preferred Name
-
Pen Name
Chi-Jin Yoo, Yu Ch'i-Jin, Yu Ch'i-Jin
ISNI
0000000066510098
Birth
1905
Death
1974
Occupation
Playwrigh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Korean(한국어)

Yoo Chijin (1905-1974) was a South Korean playwright and theater director.


Life

Yoo Chijin was born in 1905 in Geoje, South Gyeongsang province. Yu began his education at a traditional Korean school in his hometown, where he pursued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In 1921 he left to study in Japan, graduating from Ritkyo University with a degree in English literature in 1931. While at Ritkyo University, he read and was deeply impressed by Romain Rolland's Le Théâtre du Peuple. Upon his return to Korea, he formed the modern theater troupe Geukyesulyeonguhoe (‘Geukyeon’). In 1932 he began his literary career serializing his play Tomak (토막 The Shack) in Munye Wolgan.  He followed this with such works as Binminga (빈민가 The Slum) and So (소 The Ox) that criticized the conditions of rural lif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was also active as a theater critic espousing enlightenment values.

In the late colonial period when draconian censorship rules made theater performances almost impossible, Yu staged pro-Japanese collaborative plays such as Heungnyonggang (흑룡강 Black Dragon River) and Daechunamu (대추나무 The Jujube Tree).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he became a formidable arts administrator. He founded the Geukyesulhyeophoe (1946) and served as the head of the Korean Performing Arts Academy (1947) and the Korean Theater Studies Association (1948), as well as first director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1950). In 1962 he was instrumental in founding the Seoul Drama Center, and established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Dramatic Arts, which would later become Seoul Institute of the Arts. From the 1960s onwards he worked mostly in an educational capacity, moulding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theater.


Writing

Yoo Chijin was influenced by the 1920s Singeuk (New Theater) movement that modeled itself after 19th century European realist theater. His best known works such as The Shack and The Ox are considered representative works of the 1930s in their realistic depiction of violence and poverty in rural communities. As a theater critic, Yoo was known for his scathing criticism of contemporary society. 

From the 1940s onwards, however, Yoo threw himself into so-called "national theater," creating works that praised the Japanese regime. Heungnyonggang, Yoo's answer to the colonial Five Races Under One Union motto, is noteworthy in its combination of action and melodrama, with an interesting plot and realistic dialogue, but must be discounted for its glorification of Japan's invasion of Manchuria. Yoo, for his part, appears to have had reservations about creating pro-Japanese works. After Daechunamu, he stopped writing and dedicated himself to directing. 

After the liberation, he wrote anti-communist works such as Jogugeun bureunda (조국은 부른다 Call of the Motherland), Jamyeonggo (자명고 Self-Beating Drum), and Byeol (별 The Star). From 1956 to 1957, he spent more than a year abroad as a fellow of the Rockefeller Foundation, touring the U.S. and Canada for a total of eight months, followed by four more months in Europe. Back in Korea, he experimented with introducing techniques from film, music, and dance into theater. Hangangeun heureunda (한강은 흐른다 As the Han River Flows), from 1958, uses cinematic expression in its depiction of the despair and moral confusion of the citizens of Seoul at the time of the Korean war.


유치진(1905~1974)은 대한민국의 극작가이자 연출가이다.


생애

유치진은 1905년 경남 거제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에는 서당에서 한문 수업을 받았으며 1921년에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1931년 릿쿄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릿쿄대학 재학 중에 로맹 롤랑의 ‘민중 연극론’등을 접하면서 연극에 심취했다. 일본에서 귀국한 직후 신극 운동 단체인 극예술연구회에서 활동했으며, 1932년 《문예월간》에 〈토막 (土幕)〉을 연재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빈민가〉(1935), 〈소〉(1935) 등 식민지 현실과 농촌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담긴 희곡을 공연했고, 계몽적인 연극관을 담은 연극평론도 활발하게 발표했다. 

검열이 강화되고 연극 공연이 거의 불가능해진 일제 강점 후반기에는 이른바 ‘국민연극’의 대변자로 활동하면서 〈흑룡강〉(1941)과 〈대추나무〉(1942) 등의 친일 연극을 공연했다. 1945년 해방 이후부터는 예술 행정가로서의 면모를 드러내면서 극예술협회(1946)를 창립하고, 한국무대예술원장(1947)과 한국연극학회장(1948), 초대 국립극장장(1950) 등을 지내며 한국 연극계를 대표하는 위치에 올랐다. 1962년 남산의 드라마센터 극장 건립을 주도했고, 서울예술대학의 전신인 한국연극연구소를 설립했다. 1960년대 이후에는 주로 연극 교육자로 활동하며 후진 양성에 주력했다.


작품 세계

유치진은 19세기 유럽의 사실주의극을 전범으로 하는 1920년대 신극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그의 대표작인 〈토막〉(1932), 〈소〉(1935)와 같은 작품은 가난과 폭력에 고통 받는 농촌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재현하였으며, 1930년대를 대표하는 연극으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연극 평론가로서 왕성한 활동을 하며 사회비판 의식을 강하게 드러냈다.

그러나 1940년대부터 유치진은 이른바 ‘국민연극’에 깊숙이 관여하며 친일적 성격이 강한 작품들을 창작하였다. 특히 ‘오족협화(五族協和)의 정신을 형상화한 〈흑룡강〉(1941)은 활극과 멜로드라마의 요소를 겸비했고, 흥미로운 구성과 사실적 대사가 돋보이며, 농촌의 현실에 대한 진전된 인식을 보인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지만, 일본의 만주 침략을 긍정적으로 묘사했다는 한계가 있다. 유치진 자신도 일본을 찬양하는 연극을 계속하기에는 고민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대추나무〉(1942) 이후에는 작품을 쓰지 않고 연출에만 전념했다.

해방 후에는 좌익에 대한 비판과 반공 이데올로기가 담긴 〈조국은 부른다〉(1946), 〈자명고〉(1947), 〈별〉(1948) 등을 창작하였으며, 한국전쟁이 끝난 후에는 록펠러 재단의 후원을 받아 미국 연극계를 돌아본 뒤에는 영화, 음악, 무용 등 인접 장르의 기법을 연극에 도입한 실험적인 작품을 창작하기도 했다. 영화적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 전쟁 시기 서울 시민들의 절망감과 윤리적 혼돈을 그린 〈한강은 흐른다〉(1958)가 대표적인 작품이다. 


주요 작품

1) 작품집

《소》, 행문사, 1947.

《흔들리는 지축》, 정음사, 1949. 

《원술랑》, 자유문화사, 1952. 

《나도 인간이 되련다》, 진문사, 1953. 

《유치진희곡선집》, 박문각, 1959. 

《자매》, 성문각, 1971, 

《유치진희곡전집 상, 하》, 성문각, 1971.

《동랑유치진전집》(전9권), 서울예대출판부, 1993.


수상 내역

1954년 서울시문화상 

1955년 대학민국 예술원상

1962년 문화훈장 대통령상  

1963년 5월 문교부 문예상

1967년 3․1 연극상 수상


Original Works6 See More

Translated Books6 Se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