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Sunwoo Hwi(선우휘)

Writer default image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Sunwoo Hwi
Family Name
Sunwoo
First Name
Hwi
Middle Name
-
Preferred Name
-
Pen Name
Sun Woohui, Hwi Sǒnu, Suk Ki-won
ISNI
0000000080986471
Birth
1922
Death
1986
Occupation
Novelis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Spanish(Español)
  • German(Deutsch)
  • Japanese(日本語)
  • Korean(한국어)

Sunwoo Hwi (1922-1986) was a South Korean author and novelist.


Life

Sunwoo Hwi was born on January 3, 1922 in Chongju, Pyeonganbuk-do. He was a realist and anticommunist writer and journalist. Sunwoo graduated from Gyeongseong Teachers School in 1944. He worked as a reporter for the Chosun Ilbo before enlisting in the army in 1949 as an information and education officer. He made his literary debut in 1955 with the publication of the short story "Gwisin" (귀신 Ghost).


Writing

Sunwoo Hwi’s literary world is characterized by behavioral humanism, or the expression of active will in dire situations. "Bulkkot" (불꽃 Flowers of Fire), for which he first gained recognition, features a man who overcomes his escapist mentality to embrace the spirit of resistance. As revealed in “Flowers of Fire” as well as in the novellas Gitbal eomneun gisu (깃발없는 기수 Flagman Without a Flag) and Chujeogui pinalle (추적의 피날레 The Finale of the Chase), the will to act is rooted in respect for mankind and desire to oppose dehumanization. For Sunwoo, the responsibility of intellectuals include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affairs of the society and resistance to dehumanization caused by ideological conflicts and social ills. This humanistic approach, however, is overemphasized in works such as Ssaritgorui sinhwa (싸릿골의 신화 Myth of Bush-Clover Village), giving the work the feel of an imaginary world removed from contemporary reality. 

After 1965, Sunwoo Hwi began to evince a more conservative attitude towards the establishment. Sipjaga eomneun golgoda (십자가 없는 골고다 Golgotha Without the Cross), "Sipsamse sonyeon" (13세 소년 A Thirteen-Year-Old Boy) and "Useuun saramdeurui useuun iyagi" (우스운 사람들의 우스운 이야기 A Funny Story About Funny People) focus on nostalgia for lost childhood homes. The Nodaji (노다지 Jackpot), serialized in the Chosun Weekly from 1979 to 1981, is an epic family saga.


Su mundo literario se caracteriza por lo que ha sido llamado como "humanismo conductual", la expresión de una voluntad activa en situaciones extremas. "La chispa" (Bulkkot), por el que ganó reconocimiento por primera vez, trata de un hombre que supera su mentalidad escapista para adoptar un espíritu de resistencia. Como en "La chispa", en las novelas Guardavía sin bandera (Gitbal eomneun gisu) y El final de la persecución (Chujeogui pinalle), la voluntad de actuar está arraigada en el respeto a la humanidad y el deseo de oponerse a la deshumanización. Para Sunwoo Hwi, es la responsabilidad de los intelectuales participar activamente en los temas sociales y resistirse a la deshumanización causada por conflictos ideológicos y males sociales. El acercamiento humanista está demasiado marcado en algunas obras como "El mito del valle Ssaritgol" (Ssaritgorui sinhwa), lo que da a la obra la sensación de un mundo imaginario alejado de la realidad contemporánea. Después de 1956 empezó a mostrar una actitud más conservadora respecto al sistema. En "El Gólgota sin cruz" (Sipjaga eomneun golgoda), "Un chico de trece años" (Yeol sesarui sonyeon) y "Una historia divertida sobra gente divertida", se centra en la nostalgia de los hogares perdidos de la infancia. El premio gordo (Nodaji), publicado de forma serial en Chosun Weekly desde 1979 a 1981, es la crónica de una familia.5

 

Sŏn U-hui wurde am 3. Januar 1922 in Chŏngju, Provinz Nord-P'yŏngan geboren. Er arbeitete als Journalist für den Chosun Ilbo (조선일보), bevor er 1949 als Pädagoge und Öffentlichkeitsrefernt in die Armee einberufen wurde. Er debütierte 1955, als seine Geschichte Geister (귀신) veröffentlicht wurde. Von 1959 bis zu seinem Ruhestand 1986 hielt er seine Karriere als Journalist aufrecht. Er starb am 12. Juni 1986 in Pusan.

Humanistisches Handeln oder auch die Formulierung eines aktiven Willens in ernsten Situationen charakterisiert Sŏns literarische Welt. Sein Werk Feuerblume (불꽃) handelt von einem Mann, der seine realitätsfremde Einstellung überwindet und den Geist des Widerstands in sich aufnimmt. Der Wille zu handeln wurzelt im Respekt gegenüber der Menschheit und dem Verlangen der Entmenschlichung entgegenzutreten. Sŏn ist der Meinung, dass es die Pflicht der Intellektuellen ist, gesellschaftlich aktiv zu sein und einer Entmenschlichung entgegenzuwirken, welche durch ideologische Konflikte und gesellschaftliche Missstände hervorgerufen wird. In anderen Werken wird jedoch die humanistische Angehensweise überbetont, was den Werken den Charakter einer Fantasiewelt gibt. Ab 1965 zeigte er eher eine konservative Haltung[3].

 

1922年1月3日、平安北道定州郡に生まれる。父は自作農民。1943年、京城師範学校を卒業すると、定州にあるクソン (구성) 国民学校で教鞭を執った。
朝鮮が解放を迎えると、1946年2月、北側の社会主義革命に疑問を持った鮮于は越南し、ソウルに住む。朝鮮日報社に入社する一方、1949年には韓国陸軍に入隊し少尉の位を得る。陸軍で朝鮮戦争を休戦まで戦い、1957年10月まで軍人として過ごす。1955年、『新世界』に投稿した「鬼神」が取り上げられて文壇にデビューする。1957年に『文学芸術』に応募した「火花 (불꽃) 」が第2回東仁文学賞を受賞、軍人にして小説家となった。軍を退役すると1958年、『韓国日報』論説委員を経て、1961年には『朝鮮日報』論説委員、1963年に『朝鮮日報』編集局長を務めるまでになる。その手腕は朴正熙軍事政権下において金大中拉致事件を韓国のマスコミで初めて取り上げるほど大胆なものであった。1986年6月、KBSの製作する朝鮮戦争の番組を収録した後、12日、釜山で脳溢血のため死去した。

 

선우휘(1922~1986)는 대한민국의 소설가다. 


생애

선우휘는 1922년 평안북도 정주군에서 태어났다. 비교적 유복한 유년기를 보냈으며, 보통학교 시절에는 아동 잡지 《목마》에 글을 발표할 만큼 문학적인 재능이 뛰어났다. 1936년 경성사범학교에 입학하고 ‘조선어연구회’에 가입, 연구회에서 간행하는 잡지 《반딧불》에 시나 산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1943년 경성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조일소학교의 교사로 일하던 선우휘는 해방 후 북한에서 벌어진 ‘신의주 학생 사건’을 목격하고 1946년 월남했다. 북한의 행태를 고발하려 기자직을 택한 선우휘는 오히려 냉소와 질시를 경험하고 소외감에 빠져 미국행을 계획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인천중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하다가 1948년 ‘여순반란사건’의 소식을 듣고 생명에 위협을 느껴 자신의 태도를 분명히 하고자 군에 입대했다.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선우휘는 대민홍보용 전단 작성 임무를 맡았고, 1.4후퇴 당시 언론 기관의 윤전기를 파괴하기 위해 동아일보사에 불을 지르라는 명령을 받자 이에 불복하고 활자판만 부수고 나왔다. 

1956년 자신의 경험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세계사》에 단편소설 〈성(聲)〉을 발표했다. 이듬해 선우휘의 출세작이자 대표작인 단편소설 〈불꽃〉을 발표하고 소설가로서 이름을 알렸다. 이후 인간 본성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한 강한 행동력을 주제로 삼은 단편과 장편 소설들을 발표했다. 1986년 세상을 떠났다. 


작품세계

선우휘의 작품들은 주로 전쟁과 분단 상황을 배경으로 작품을 썼다. 그의 작품은 전쟁이라는 극한의 상황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인간 본성에 대한 존중, 즉 휴머니티를 형상화한다. 이 점에서 그는 문단에서 전후 세대 작가로 분류된다. 

선우휘의 초기작 〈테러리스트〉(1956), 〈불꽃〉(1957) 등은 극한의 상황에 대한 인간적 결단과 참여를 중시하는 행동주의적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불꽃〉은 3·1운동 시기부터 한국전쟁에 이르기까지의 긴 역사적 격동기를 압축하여 주인공의 내면을 치밀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이 작품은 소극적인 인간상을 극복하고 일어나는 주인공을 통해 전쟁 직후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인간형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한편으로 선우휘의 휴머니즘적 태도는 역사와 현실에 대한 방관자적 태도로 비판받기도 했다. 그의 작품들에서는 외세에 의해 핍박당하는 조국에 대한 안타까움과 같은 감정은 드러나지 않고, 오히려 당대 정치권력을 옹호하고 반공이데올로기를 주도하는 등 현실에 순응하는 태도가 강하게 드러난다는 비판이다.  

이러한 태도는 1960년대에 들어 인간 내면의 성찰에 관심을 기울이는 비교적 소극적 태도로 변모했다. 단편소설 〈십자가 없는 골고다〉(1965), 장편소설 《사도행전》(1966)과 같은 작품들은 역사의식보다 잃어버린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강조되고 있다. 이전까지 작가의 작품에서 주로 다뤘던 지식인의 삶의 자세와 같은 과감한 행동주의적 경향은 옅어지고 인간의 내적 성실성을 묘사하는 데 주력하였다. 


주요 작품

1) 소설집

《불꽃》, 을유문화사, 1959.

《망향》, 일지사, 1972.

《싸릿골의 신화》, 삼중당, 1972.

《선우휘 문학선집》(전5권), 조선일보사, 1987. 


2) 장편소설

《물결은 메콩강까지》, 창우문화사, 1983.

《노다지》(전4권), 동서문화사, 1986.

《쓸쓸한 사람》, 한진출판사, 1977.

《아들이여 아비의 슬픔을 아는가》, 오늘, 1997.


3) 산문집

《아버지의 눈물》, 동서문화사, 1986.


수상 내역

1957년 제2회 동인문학상

1979년 제2회 고재욱 아세아언론상



Original Works11 See More

  • DLKL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불꽃 : 선우휘번역집

    pulkkot : sŏnuhwibŏnyŏkchip

    Sunwoo Hwi / 선우휘 / 2004
  • 불꽃 외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불꽃 외

    pulkkot oe

    Sunwoo Hwi / 선우휘 / 2006
  • DLKL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검정 두루미

    Geomjeong durumi

    Hwang Sun-Won et al / 황순원 et al / -

Translated Books13 See More

E-books & Audiobooks1

  • Modern Korean Literature
    English(English) E-books
    Modern Korean Literature
    Kim Yujung et al / 김유정 et al / 2012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Complete Collection > Library > Complete Collection & Library (more than 2 writers)

E-new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