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입부
이재무(1958년~)는 대한민국의 시인, 교육자이다.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한남대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삶의 문학》, 《문학과 사회》 등에 작품을 발표하며 문필활동을 시작했다. 내밀하고도 단단한 어투로 사물과 내면을 파악하는 서정시인이다. 제2회 난고(김삿갓)문학상과 편운문학상, 제1회 윤동주시상과 한남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디지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 생애
이재무(1958년~)는 대한민국의 시인, 교육자이다. 충남 부여에서 태어나 한남대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1983년 무크지 《삶의 문학》에 <귀를 후빈다> 등 5편의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1993~1994년에 민족문학작가회의 시분과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다. 1994년에 민족예술인총연합 대의원을 맡았다. 2002년 제 2회 난고문학상을 받았다. 2005년 제 15회 편운문학상 우수상을 받았다. 2006년 제1회 윤동주상을 받았다. 시집 [섣달그믐](1987), [온다던 사람 오지 않고](1990), [벌초](1992), [몸에 피는 꽃](1996), [시간의 그물](1997), [위대한 식사](2002), [푸른 고집](2004) [누군가 나를 울고 있다면](2007) [저녁 6시](2007), [경쾌한 유랑](2011), [슬픔에게 무릎을 꿇다](2014)를 출간했다. 시선집 [오래된 농담](2008)와 육필시집 [주름 속에 나를 다린다](2013), 시평집 [사람들 사이에 꽃이 핀다면] (2005)를 출간했다. 산문집 [생의 변방에서](2003),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밥](2010) 공저 [민족시인 신경림 시인을 찾아서], 편저 [대표시, 대표평론Ⅰ·Ⅱ] 등을 발표했다. 동국대대학원 · 한신대 · 추계예술대 · 청주과학대 · 한남대에서 시창작 강의를 했다. 현재 계간 <시작> 편집주간으로 있고, 서울디지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3. 작품세계
이재무의 시는 서정적이다. 그는 진솔한 언어로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연민, 비주류에 대한 애정, 자연과 어머니에 대한 회상, 인생과 문학에 대한 정직한 성찰 등을 표현해왔다.
물론 이렇게 일관된 문제의식을 견지하고 있다고 해도, 이재무의 시는 시대에 따라 다소 변화를 겪어왔다. 그의 시를 3기로 나눈다면, 1기는 등단한 시점부터 첫 시집 「섣달 그믐」부터 세 번째 시집「벌초」를 낼때까지, 2기는 그의 네 번째 시집 「몸에 피는 꽃」을 내던 시기, 3기는 그의 다섯 번째 시집인 「위대한 식사」를 낸 이후가 된다. 1기에 시인은 농촌 출생인 시인의 가족사와 주변에 얽힌 이야기가 담담한 어조로 회상했다. 반면 2기는 농촌을 떠나 도시로 편입된 이후 곤고한 일상을 엮어 가는 사람들의 부대낌과 갈등,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회한을 담은 작품들이 주를 이뤘다. 1기에 과거의 기억을 가감 없이 나타낸 작품이 많았다면, 2기는 도시에서 살아가야 하는 현대인의 좌절과 귀향에 대한 열망을 표현한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3기에 시인은 자신이 도시인으로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냉혹한 현실을 인지하면서도, 문명과 함께 생태로의 귀환을 꿈꾸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재무의 시에서는 농촌에서의 유년 체험이 진솔하게 묻어나고, 순수함을 잃은 오늘날의 문명사회를 향한 질타가 자주 드러난다. 그는 건강한 농촌 생활과 현대인들의 냉혹하고 무미건조한 일상을 대조한다. 근래에는 근대주의의 이데올로기인 '진보’를 비판하고, 생태계의 복원을 주장하는 작품도 자주 쓰고 있다. 그런데 그는 정치적 비판을 할 때조차 서정적 감수성을 드러내고, 자신의 경험에 기반하여 창작을 한다. 그의 작품은 생태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삼아 근대 이후 자본논리에 의해 상실된 생의 덕목과 가치들을 복원시켜내고 있다. 그래서 그는 한국의 대표적인 문명비평적 서정 시인 중 한 명이라고 평가받는다.
4. 주요 작품
시집
1. [섣달그믐](청사, 1987)
2. [온다던 사람 오지 않고](문학과 지성, 1990)
3. [벌초](실천문학, 1992)
4. [몸에 피는 꽃](창비, 1996)
5. [시간의 그물](문학동네, 1997)
6. [위대한 식사](세계사, 2002)
7. [푸른 고집](천년의 시작, 2004)
8. [누군가 나를 울고 있다면](화남출판사, 2007)
9. [저녁 6시](창비, 2007)
10. [경쾌한 유랑](문학과 지성, 2011)
11. [슬픔에게 무릎을 꿇다](실천문학, 2014)
시선집
1. [오래된 농담](북인, 2008)
2. [주름 속에 나를 다린다](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3)
시평집
1. [사람들 사이에 꽃이 핀다면] (화남, 2005)
산문지
1. [생의 변방에서](화남, 2003)
2.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밥](화남, 2010)
3. [집착으로부터의 도피](천년의시작, 2016)
5. 수상 내역
1. 2002년 제 2회 난고문학상
2. 2005년 제 15회 편운문학상 우수상
3. 2006년 제1회 윤동주상
6. 같이 보기
1. 성창규, <땅에 관한 상상력 : 바슐라르의 몽상으로 히니와 이재무의 시 읽기>, 동서비교문학저널 22, 2010.
2. 권성우, <상처받은 시인의 아름다움과 순정 : 이재무 작품론>, 계간 시작, 2015
7. 외부 링크
이재무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people/이재무/100005322307421
Lee Jae Moo
Intro
Lee Jae Moo (born 1958) is a South Korean poet and educator. He was born in Buyeo, Chungcheongnam-do. He graduated from Hannam University in Korean literature. He started writing by publishing works on Salmui Munhak, and Literature and Society. He is a lyrical poet that examines objects and inner sides with a subtle but solid voice. He won the 2nd Nango (Kim Satgat) Literature Prize, the Pyeonwoon Literature Prize, the 1st Yun Dongju Poetry Prize, and the Hannam Literature Prize. Currently he is working as a professor at Seoul Digital University.
Life
Lee Jae Moo (born 1958) is a South Korean poet and educator. He was born in Buyeo, Chungcheongnam-do. He graduated from Hannam University in Korean literature. He also completed a master’s degree in Korean literature at Dongguk University. He began his literary career in 1983 as he published 5 poems including “Gwireul hubinda” (귀를 후빈다 I’m Picking My Ear) on a mook called Salmui Munhak. From 1993 to 1994, he was the deputy chairman of the poetry subcommittee of the Association of Writers for National Literature. In 1994 he was 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People’s Artist Federation. He was awarded the 2nd Nango Literature Prize in 2002. He was awarded the 15th Pyeon-un Literature award in 2005. In 2006 he was awarded the 1st Yun Dongju Literature Award. He has published poetry collections Seotdalgeumeum (섣달그믐 New Year’s Eve) (1987), Ondadeon saram oji ango (온다던 사람 오지 않고 The One Who Promised to Come Does Not) (1990), Beolcho (벌초 Mowing the Grass) (1992), Mom-e Pineun Kkot (몸에 피는 꽃 A Flower that Blossoms on the Body) (1996), Siganui geumul (시간의 그물 The Net of Time) (1997), Widaehan siksa (위대한 식사 The Great Meal) (2002), Pureun gojib (푸른 고집 Blue Stubbornness) (2004), Nugunga nareul ulgo itdamyeon (누군가 나를 울고 있다면 If Someone is Crying Me) (2007), Jeonyeok 6 si (저녁 6 시 6 in the afternoon) (2007), Gyeongkwaehan yurang (경쾌한 유랑 Cheerful Wandering) (2011), and Seulpeume-ge mureupuel kkulda (슬픔에게 무릎을 꿇다 Succumbing to Sadness) (2014). He also published a poetry anthology Oraedoen nongdam (오래된 농담 An Old Joke) (2008), and a handwritten poetry collection, Jureumsoke nareul darinda (주름 속에 나를 다린다 Ironing Myself Among the Wrinkles) (2013), as well as poetry critique collection, Saramdeul sai-e kkot-I pindamyeon (사람들 사이에 꽃이 핀다면 If Flowers Blossomed Among People) (2005). He published an essay collection, Saengui byeonbang-eseo (생의 변방에서 At the Edge of Life) (2003), and Sesang-eseo jeil matitneun bab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밥 The World’s Tastiest Meal) (2010). He also co-authored Minjoksi-in Shin Kyeong-nim si-ineul chataseo (민족시인 신경림 시인을 찾아서 In Search of the National Poet, Shin Kyeong-nim), and compiled Daepyosi, Daepyopyeongron I, II (대표시, 대표평론 I, II Representative Poetry, The Theory of Critique I, II). He taught poetry writing at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Hanshin University, Chugye University for the Arts, Chongju National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Hannam University. He is currently the editor in chief of the seasonal journal, Sijak, and is also working as a professor at Seoul Digital University.
Writing
Lee Jae Moo’s poetry is lyrical. With a sincere voice, he has expressed sympathy for those that have been excluded, love for the minority, reminiscence on nature and mother, and truthful examination on life and literature.
Of course, even though he possesses such consistent critical mind, Lee Jae Moo’s poetry has experienced changes according to the period. If his poetry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is from when he began his literary career and the publication of his first poetry collection Seotdalgeumeum (섣달그믐 New Year’s Eve) until his third poetry collection Beolcho (벌초 Mowing the Grass); the second is from the time of his fourth poetry collection Mom-e Pineun Kkot (몸에 피는 꽃 A Flower that Blossoms on the Body); and the third is after he published his fifth poetry collection Widaehan siksa (위대한 식사 The Great Meal). During his first period, the poet, who comes from the countryside, reminisced about his family history and surrounding stories with a calm voice. In contrast, his second period was mostly of works that describes the suffering and conflict of people that moved from the countryside into the city and are leading life of hardship, as well as their longing and regret for their hometown. If the first period had a lot of works that showed memories of the past as they are, the second period can be said as a time where he expressed the frustration of the modern person who must lead life in the city, as well as the desire for return to home. Meanwhile, the third period showed how the poet himself is aware of the harsh reality that he must live as a city dweller, but also an image of how he dreams of returning to nature along with civilization.
Lee Jae Moo’s poetry frankly shows the poet’s adolescent experiences in the countryside, and he also often expresses rebuke for today’s civilized society that have lost its innocence. He compares the lives of healthy countryside lifestyle, and the cold, dry life of modern people. These days, he is criticizing ‘progress’, an ideology of modernism, and is often writing works that argue for restoring the environment. Even when he does political criticism, he shows lyrical sensitivity, and he writes based on his own experiences. His works are rooted in ecological imagination, recovering life’s virtues and values that have been lost by the logic of capitalism after the modern times. That is why he is praised as one of Korea’s major lyric poets who criticize civilization.
Works
Seotdalgeumeum (섣달그믐 New Year’s Eve), Cheongsa, 1987.
Ondadeon saram oji ango (온다던 사람 오지 않고 The One Who Promised to Come Does Not), Moonji Publishing ,1990.
Beolcho (벌초 Mowing the Grass), Silcheon Munhak, 1992.
Mom-e Pineun Kkot (몸에 피는 꽃 A Flower that Blossoms on the Body), Changbi, 1996.
Siganui geumul (시간의 그물 The Net of Time), Munhakdongne, 1997.
Widaehan siksa (위대한 식사 The Great Meal), Segyesa, 2002.
Pureun gojib (푸른 고집 Blue Stubbornness), Cheonnyeonui sijak, 2004.
Nugunga nareul ulgo itdamyeon (누군가 나를 울고 있다면 If Someone is Crying Me), Hwanam Publishing, 2007.
Jeonyeok 6 si (저녁 6 시 6 in the afternoon), Changbi, 2007.
Gyeongkwaehan yurang (경쾌한 유랑 Cheerful Wandering), Moonji Publishing, 2011.
Seulpeume-ge mureupuel kkulda (슬픔에게 무릎을 꿇다 Succumbing to Sadness), Silcheon Munhak, 2014.
Poetry anthologies
Oraedoen nongdam (오래된 농담 An Old Joke), Bookin, 2008.
Jureumsoke nareul darinda (주름 속에 나를 다린다 Ironing Myself Among the Wrinkles) ZMANZ, 2013.
Poetry Critique Collection
Saramdeul sai-e kkot-I pindamyeon (사람들 사이에 꽃이 핀다면 If Flowers Blossomed Among People), Hwanam, 2005.
Essay collection
Saengui byeonbang-eseo (생의 변방에서 At the Edge of Life) Hwanam, 2003.
Sesang-eseo jeil matitneun bab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밥 The World’s Tastiest Meal), Hwanam, 2010.
Jibchakeurobuteo-ui dopi(집착으로부터의 도피 Escape from Obsession), Cheonnyeonui sijak, 2016.
Awards
2002 2nd Nango Literature Prize
2005 15th Pyeon-un Literature Award
2006 1st Yun Dongju Literature Award
Further Reading
1. 성창규, <땅에 관한 상상력 : 바슐라르의 몽상으로 히니와 이재무의 시 읽기>, 동서비교문학저널 22, 2010.
Seong, Changgyu, “Imagination on the Ground: Reading Heaney and Lee Jae Moo With Bachelard’s Reveries”, The Journal of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22, 2010.
권성우, <상처받은 시인의 아름다움과 순정 : 이재무 작품론>, 계간 시작, 2015
Kwon, Seongwu, “The Beauty and Purity of a Wounded Poet: On Works of Lee Jae Moo”, Sijak Quarterly, 2015.
External Links
이재무 페이스북
Lee Jae Moo Facebook
https://www.facebook.com/people/이재무/100005322307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