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Song Su-kwon(송수권)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Song Su-kwon
Family Name
Song
First Name
Su-kwon
Preferred Name
-
Pen Name
평전, Song Su-kwon, Song Sugwon
ISNI
0000000023642103
Birth
1940
Death
2016
Occupation
Writer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Korean(한국어)
  • English(English)

송수권(1940~2016)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생애

송수권은 1940년 전라남도 고흥에서 태어났다. 1959년 순천사범학교와 1962년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1975년 《문학사상》 신인상에 〈산문에 기대어〉 등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80년 첫 시집 《산문(山門)에 기대어》를 출간한 이후 곧이어 두 번째 시집 《꿈꾸는 섬》(1982)을 출간하는 등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였다. 

작가는 30년간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고, 광주학생교육원 연구사, 연구관으로 일했다. 1999년부터 순천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일하다 정년퇴임 한 후에는 ‘한국풍류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일했다. 2016년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작품 세계 

송수권은 한국시의 오래된 전통처럼 여겨진 무기력하고 자조적인 감정으로서의 한(恨)이 아니라, 역사와 개인이 지닌 상처를 극복하고 회복하는 힘으로서 한(恨)의 정서를 작품에서 형상화했다. 또한 남도의 토속어가 가진 특유의 멋을 시에서 구현하고, 역사의식을 매개로 한 민족 재생의 의지를 담은 작품들을 발표해 문단과 대중의 폭넓은 관심을 받았다. 

시집 《꿈꾸는 섬》(1982)은 소박하면서도 애상적인 남도 특유의 가락이 지닌 서정성을 되살리면서 서러움과 한으로 억눌린 민중들의 정서에 역사성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시인은 억압된 채로 절망하고 주저앉는 민중을 그리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삶을 꿈꾸는 모습을 담아낸다. 

《새야 새야 파랑새야》(1987)는 동학농민운동을 주제로 삼은 서사시다. 동학농민운동이 지닌 역사적인 의미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동시에 가혹한 현실을 타개하려는 민중의 한(恨)과 의지를 작품에 담아내었다. 특히 ‘궁궁을을’ 등의 상징적인 의성어 사용을 통해 농민들이 지닌 생명력을 구체적으로 표현했다. 

시인은 역사와 민중의 삶 외에도 서정적인 존재로서의 민중들의 일상을 작품에 담아내는 등 다양한 시 세계를 형성했다. 


주요 작품

1) 시집 

《산문에 기대어》, 문학사상사, 1980.

《꿈꾸는 섬》, 문학과지성사, 1982.

《아도(啞陶)》, 창비, 1985.

《새야 새야 파랑새야》, 나남, 1987. 

《우리들의 땅》, 문학사상, 1988. 

《자다가도 그대 생각하면 웃는다》, 전원, 1991.

《별밤지기》, 시와시학사, 1992. 

《바람에 지는 아픈 꽃처럼》, 문학사상사, 1994. 

《수저통에 비치는 저녁 노을》, 시와시학사, 1998. 

《들꽃세상》, 혜화당, 1999.

《초록의 감옥》, 찾을모, 1999.

《파천무》, 문학과경계, 2001.

《언 땅에 조선매화 한 그루 심고》, 시와시학, 2005.

《시골길 또는 술통》, 종려나무, 2007.

《격포에 오면 이별이 있다》, 문학의 전당, 2008.

《달궁 아리랑》, 종려나무, 2010.

《퉁》, 서정시학, 2013.


2) 산문집

《다시 산문(山門)에 기대어》, 오상사, 1985.

《사랑이 커다랗게 날개를 접고》, 문학사상사, 1989.

《남도기행》, 시민, 1990.

《쪽빛 세상》, 토우, 1998.

《만다라의 바다》, 모아드림, 2002.


수상 내역

1987년 전라남도 문화상

1988년 제2회 소월시문학상 

1993년 서라벌문학상

1996년 제7회 김달진문학상 

1999년 제11회 정지용문학상 

2003년 제1회 영랑시문학상


Song Su-kwon (1940 – 2016) was a modern South Korean writer.


Life 

Song Su-kwon was born on March 15, 1940, in Goheung, South Jeolla Province. Song attended Suncheon Teacher's College before graduating from Sorabol Arts College with a degree in Creative Writing. He made his literary debut in 1975, when his poem "Sanmune gidaeeo" (산문에 기대어 Leaning on the Temple Gates) won the inaugural Munhak Sasang New Writer's Award. The poem, inspired by the tragic death by suicide of his younger brother,  at once established Song as a poet in the lyrical school of poetry (as opposed to ontological).

Song has actively embraced the wounds of historic trauma in his poetry, notably in the collection of linked poems Ppalchisan (빨치산 Partisans), about the partisans of Jirisan Mountain during the Korean War, and his epic Heungnyongmalli (흑룡만리 Ten-Thousand-Li Black Dragon), dedicated to the April 3rd Uprising and Massacre of Jeju.

Song worked at the Gwangju Yogwang Girls Middle School as both a teacher and an educational researcher. Later he was a professor of poetry writing at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Writing

Bitterness is the most salient sentiment in this Song Su-kwon’s work; but his poetry emphasizes not the typical sentiment of a weak bitterness giving rise to self-contempt, but rather, within that bitterness, a dignified masculine identity of immanent intimacy and power. He has published many works that succeed in preserving the flavor and style of the southern dialects, designed to inspire the people through a consciousness of history and regional differences.

Song's work centers on the lives of common people, although Song does not see live as a confrontation between have and have-nots, and Song's work follows the lines of classical Korean lyricism. Having lived in South Jeolla Province most of his life, including at the time of his death, Song Su-kwon was able to infuse his poetry with the regional culture.


Original Works3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고래의 노래

    Goraeui norae

    Kim Nam Jo et al / 김남조 et al / -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한국현대시선

    Hangukhyeondaesiseon

    Han Yong-un et al / 한용운 et al / -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현대한국명시선

    Hyeondaehangungmyeongsiseon

    Joo Yohan et al / 주요한 et al / -

Translated Books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