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재총화(慵齋叢話)
작성: 김세호(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진재교(성균관대 교수, 윤문)
분류: 일반주제
◆기본 정보
『용재총화(慵齋叢話)』는 성현(成俔, 1439∼1504)이 지은 필기잡록류(筆記雜錄類)다. 총 10권, 237개의 이야기를 싣고 있는데, 이 땅의 역사와 풍속, 역사적 인물과 당대 인물의 일화, 시화(詩話), 속담은 물론 제도와 문화, 풍속, 국외 사정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이 책은 성현이 죽기 전 마지막으로 저술한 책으로, 그의 평생의 견문과 지식을 모두 담고 있다.
◆작가 생애
성현의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경숙(磬叔), 호는 용재(慵齋)·부휴자(浮休子)·허백당(虛白堂) 등이며 시호는 문대(文戴)이다.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성염조(成念祖)의 아들로 태어났다. 1462년(세조 8) 23세의 나이로 과거에 급제하며 조정에 출사했고 대사간(大司諫)‧대사성(大司成)‧평안도관찰사(平安道觀察使)‧예조판서(禮曹判書)‧공조판서(工曹判書) 등의 벼슬을 역임했다. 몇 차례 사신으로 임명되어 명나라 수도 북경(北京)에 다녀와 중국의 문물을 체험했고 1493년 예조판서를 지내던 시절 당시의 음악을 집대성해 『악학궤범(樂學軌範)』을 편찬했으며 1504년 『용재총화』를 저술했다. 죽은 뒤에 갑자사화(甲子士禍)가 일어나 부관참시(剖棺斬屍) 되었으나 그 후 신원되어 청백리(淸白吏)에 선정되었다. 개인 시문집으로 『허백당집(虛白堂集)』이 전한다.
◆작품 세계
국왕 성종은 재임시절 잡기류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였고 당대 문인들은 이러한 분위기 속에 잡기류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품었다. 당시 성임(成任)은 송나라 때 이방(李昉)이 지은 『태평광기(太平廣記)』를 요약해 『태평광기상절(太平廣記詳節)』을 지었고, 서거정(徐居正)도 이에 영향을 받아 『필원잡기(筆苑雜記)』와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등을 저술했다. 성현도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촌중비어서(村中鄙語序)」라는 글에서 다양한 음식들이 제각기 맛을 지닌 것처럼 골고루 섭취하면 유익함이 있다는 논리로 잡기류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한 적이 있다.
성현은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용재총화』를 저술했고, 그 내용은 고려시대부터 당대에 이르기까지 민간 풍속 및 문물제도 등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학문‧종교‧문학‧음악‧서화 등 문화 전반을 포괄한다. 다만 각 권은 편차(編差) 없이 서술되어 있고 권별의 구분도 내용과 무관하다. 각 이야기의 제목이 따로 없으며, 장을 나눈 기준도 뚜렷하지 않다.
내용을 보면, 최치원(崔致遠)·정지상(鄭知常) 등 신라와 고려의 명현(名賢), 정몽주(鄭夢周)‧권근(權近) 등 경학(經學)의 대가를 비롯하여 서거정(徐居正)·성임(成任) 등 당대 문인들의 학문적 특성과 문장의 성격을 풀이했다. 서화(書畫)를 언급한 내용도 다수 보이는데, 글씨로는 김생(金生)·이암(李嵒)·이용(李瑢)·강희안(姜希顔) 등의 특징을 이야기했고 그림으로는 고려의 공민왕으로부터 조선 안견(安堅)의 산수화에 이르기까지 두루 다루었다. 또한 『악학궤범』을 편찬한 이력이 보여주듯 음악 관련 기사도 다수 담았다.
한편 지리 및 명승에 대한 기사도 자세한데, 각 도읍의 형세에 대한 논의에서부터 백운동(白雲洞)·청학동(靑鶴洞) 등 명승을 자세히 서술하였다. 풍속의 경우, 잔치음식의 가짓수와 맛의 특징 등을 기술했고, 혼례풍습·나례(儺禮)·처용무(處容舞)·관화(觀火) 등의 절차도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사신을 접대하는 의식 및 절차, 과거제도 및 성균관의 제도에 대한 설명이 보이며 그밖에 제사 풍습, 불교 등의 이야기도 다루었다. 이 외에도 바보나 소경, 물정 모르는 승려, 어리석은 선비를 놀리는 내용이 있는가하면 도깨비와 귀신이 나오고 귀신을 쫓는 사람과 운명을 읽는 점쟁이도 있으며, 역사와 일본과 여진족의 풍속도 실었다. 다방면에 걸친 성현의 깊은 지식과 날카로운 비평 감각이 돋보인다. 특히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을 보면, 왕세가(王世家)와 양반 관료는 물론이고, 서화가·음악가 등을 비롯해 과부, 승려, 무당, 기생 등을 모두 아우르고 있다.
◆특징 및 의의
『용재총화』는 제목에서 드러나듯 조선 전기 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한 내용을 모두 담고 있다. 특히 필기(筆記)에 대한 성현의 생각은 당대 조선 문인들이 공유하던 생각과는 그 결이 사뭇 달랐다. 성현이 그의 벗 채수(蔡壽)의 책 『촌중비어(村中鄙語)』에 써준 서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우리가 밥만 먹는 것이 아니라 과일도 종종 먹고 싶은 것처럼 사람에게는 꼭 읽어야 하는 경서나 역사서 외에도 필기나 야사(野史)를 읽고 싶은 욕구가 있다고 주장한다. 필기는 경서나 역사서처럼 정치와 수행(修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글은 아니지만 읽는 즐거움을 주고 다양한 방면의 지식을 알게 해주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고 말함으로써, 그 가치를 옹호했다. 이 점에서 『용재총화』는 조선 전기 필기잡록의 한 전형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사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황필은 『용재총화』 발문에서 “국사(國史)에 구비하지 못한 것을 모두 수록했다”며 그 의의를 극찬했다. 시문만을 일삼았던 다른 학자들과 달리 문예 전반에 관심을 갖고 이를 일일이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 유행하는 속언(俗言) 및 고담(古談)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실존 인물들의 일화에서부터 하층민의 우스운 이야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도 담고 있어 오늘날 민속학이나 구비문학 연구의 자료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참고 문헌 및 사이트
홍순석, 「용재총화 연구」, 국어국문학 98호, 1987, 101∼129.
신상필, 「필기(筆記)의 서사화(敍事化) 양상(樣相)에 관한 연구(硏究) : 『용재총화(慵齋叢話)』와 『어유야담(於于野譚)』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박사학위 논문, 2004.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grpId=&itemId=BT&gubun=book&depth=3&cate1=Z&cate2=&dataGubun=서지&dataId=ITKC_BT_1306A&upSeoji=ITKC_BT_1305A[한국고전종합DB] 『용재총화(慵齋叢話)』 고전번역서
http://db.itkc.or.kr/dir/item?grpId=hj#dir/node?grpId=hj&itemId=BT&gubun=book&depth=4&cate1=Z&cate2=&dataGubun=서지&dataId=ITKC_BT_1306A&upSeoji=ITKC_BT_1305A[한국고전종합DB] 『용재총화(慵齋叢話)』 해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9691[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성현 [成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9047[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려 [金鑢]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9664[한국민족문화대백과] 용재총화[慵齋叢話]
Yongjaechonghwa (慵齋叢話Assorted Writings of Yongjae)
1. Introduction
Yongjaechonghwa is a work written by Seong Hyeon (成俔, 1439-1504) and is a kind of desultory notes of miscellaneous records. 237 stories are packed into 10 chapters. It records Korea’s history, customs, anecdotes, poetry and prose, and proverbs of historical figures and contemporaries, covering a broad spectrum of topics concerning the political system, culture, and even circumstances overseas. This book was the last book Seong wrote before he died, and it contains the whol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his life.
2. Life
The origin of Seong Hyeon’s family is Changnyeong (昌寧) County of Gyeongsang Province. His courtesy name is Gyeongsuk (磬叔), and pen names include Yongjae (慵齋), Buhyuja (浮休子) and Heobaekdang (虛白堂), while his posthumous name is Mundae (文戴). He was the son of an administrator of the Central Council (知中樞 府事 Jijungchu Busa) Seong Yeomjo (成念祖, 1398-1450). At the age of 23 (1462),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then served as a headmaster of Censor-General (大司諫 大司成 Taesagan Taesaseong), Governor of Pyeongan Province (平安道 觀察使 Pyeongando Gwanchalsa), Minister of Rites (禮曹 判書 Yejo Panseo) and Minister of Public Works (工曹 判書 Gongjo Panseo). He was also appointed an envoy and was sent to Beijing, the capital of Ming dynasty, numerous times and experienced Chinese culture in firsthand experience. He compiled and published his text on music Akhakgwebeom (樂學軌範 Treatise on Music) in 1493 during his tenure as a Minister of Rituals, and he wrote Yongjaechonghwa in 1504. Though he suffered posthumous execution during the Literati Purge of 1504 (甲子史禍Gapjasahwa), he was eventually reinstated and appointed as a cleared government officials (淸白吏 Cheongbaekri). This is conveyed in his anthology, Heobaekdangjip (虛白堂集 Collection of Heobaekdang’s Works).
3. Work
King Seongjong (成宗, r.1469-1495) was very interested in miscellaneous records (雜記japgi) during his reign. Due to this, the literati of this generation embraced a quite affirmative view on the subject. Seong Im (成任, 1421-1484) summarized Taiping Guangji (太平廣記 Extended Tales of the Taiping Era), compiled by Li Fang (李昉, 925-996) during the Song dynasty, and wrote the Taepyeong gwanggi sangjeol (太平廣記詳節 Detailed Contents of Extended Tales of the Taiping Era). Seo Geojeong (徐居正, 1420-1488), also influenced by these works, produced Pirwonjapgi (筆苑雜記 An Author’s Trivia) and Taepyeong hanhwa golgyejeon (太平閑話滑稽傳 Collection of Humorous Tales of Leisure). Seong also contributed his ideas on leisure and entertainment in a formal preface titled Chonjung bieo (村中鄙語 Vulgar Tales in a Village) during a time when the study of leisure was believed to provide valuable academic insights.
Seong wrote about the customs and institutions from Goryeo period (高麗 918-1392) to his time in Yongjaechonghwa along this vein, including everything from the culture, history, geography, and academia, to religion, literature, music, and art. Though, each chapter was written without any clear delineation, the stories and anecdotes are unrelated to each other and chapters are not organized in any distinctive manner. There are no titles or an order given for the stories.
Yongjaechonghwa contains explanations of the academic specialties and writing styles of scholars - from the sages of Silla and Goryeo, like Choe Chiwon (崔致遠, 857-?) and Jeong Jisang (鄭知常, ?-1135), to the masters of Confucian classics, like Jeong Mongju (鄭夢周, 1338-1392) and Kwon Keun (權近, 1352-1409), and contemporary literati such as Seo Geojeong and Seong Im. Many references to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re made, mentioning the calligraphy of Kim Saeng (金生, 711-?), Yi Am (李嵒, 1297-1394), Yi Yong (李瑢, 1418-1453), and Kang Huian (姜希顔, 1417-1464) and treating the paintings from Goryeo’s King Gongmin (恭愍王, r.1351-1374) to the landscapes of Joseon’s An Gyeon (安堅, unknown birth and death date). Furthermore, showing his experience in compiling Akakgwebeom, Yongjaechonghwa, is also filled with music-related articles.
In addition, Seong included detailed articles on geography by discussing the state of affairs in capitals and meticulously depicting scenic locations such as Baekun-dong (白雲洞) and Cheonghak-dong (靑鶴洞). On the topic of customs, he described the structure of dishes of a feast and the ways they were to taste like, and also outlined procedures at wedding ceremony, exorcism ceremony (儺禮 narye), Dance of Cheoyong (處容舞 Cheoyongmu), Fire Works (觀火 gwanhwa) and others. He also included the structure of ceremonies and procedures for entertaining Chinese envoys, the rules of state examination rites and, and treatments of customs surrounding ancestral rites and Buddhism. In addition, there are also humorous stories of characters such as Buddhist monks unfamiliar with the ways of the world and foolish scholars, exorcists, fortune-tellers, sand goblins and ghosts make appearances. Yongjaechonghwa is loaded with foreign history as well, such as Japanese and Jurchen customs as well. The deep knowledge and critical viewpoint that Seong gained from his experience shines through in these stories. In his stories, people from all classes appear – the royal family, aristocrats and bureaucrats, artists and musicians, and even widows, priests, shamans, and female entertainers.
4. Style and Legacy
As shown in the title, Yongjaechonghwa contains a great variety of topics covering much of early Joseon culture. It is worth mentioning that Seong’s ideas about desultory notes (筆記 pilgi; literally brush notes) was slightly different from most Joseon literati of his time. This can be confirmed in the preface that Seong wrote for his friend Chae Su (蔡壽, 1449-1515) in Chonjung bieo. He claimed that, just as we sometimes want to eat fruit rather than rice, people sometimes have the desire to read informal notes and unofficial histories rather than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books. Seong said pilgi, unlike classics or historical texts, do not directly influence politics or ascetic practices, but instead gives pleasure and provides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knowledge. Hence, not only is Yongjaechonghwa an ideal example of desultory notes of miscellaneous records from early Joseon dynasty, but continues to contribute to the progress of literary narrative in a major way.
Hwang Pil (黃㻶, 1464-1526), in the postscript of Yongjaechonghwa, enthusiastically praised the significance of the work stating that “It contains everything the official history books missed.” Not only did he cover the whole range of literature, not limiting himself to poetry and prose as other scholars did in conservative ways, Seong also took interest in the proverbs and folklore of everyday people. Covering such a wide breadth of material - from anecdotes of real people to humorous stories of the lower class – it is also a valuable primary source for the study of folk and oral literature today.
5. References and External Links
5.1. References
Hong, Sunseok, “Yongjaechonghwa Yeongu (A Study on Yongjaechonghwa),” Kukgo Kukmunhak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98, 1987, 101-129.
Sin, Sangpil, Pilgi ui Seosahwa Yangsang e Gwanhan Yeongu: Yongjaechonghwa wa Eoyuyadam eul Jungsimeuro (A Study on the Aspects of Narrative Writing; Focused on Yongjaechonghwa and Eoyuyadam), Doctoral Thesis at Sungkyunkwan University, 2004.
5.2 External Links
[Korean Classics DB] Yongjaechonghwa (慵齋叢話) Translation
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grpId=&itemId=BT&gubun=book&depth=3&cate1=Z&cate2=&dataGubun=서지&dataId=ITKC_BT_1306A&upSeoji=ITKC_BT_1305A
[Korean Classics DB] Yongjaechonghwa (慵齋叢話) Descri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