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Wi Sunhwan(위선환)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Wi Sunhwan
Family Name
Wi
First Name
Sunhwan
Preferred Name
Wi Sunhwan
Pen Name
Wi Sunhwan, Wi Sun Hwan
ISNI
-
Birth
1941
Death
-
Occupation
Poe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Works
  • Korean(한국어)
  • English(English)
  • Chinese(汉语)

 

도입부

 

위선환(1941~)은 한국의 시인이다. 그의 시는 나무, 새, 물과 같은 자연물을 자주 소재로 다룬다. 이미지 나열을 통해 시를 전개하는 방법을 즐겨 사용하며, 서정적이고 관념적인 경향을 보여준다. 현대시작품상, 이상화시인상 등을 받았다.

 

생애

 

1941년 전라남도 장흥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 입학 전에는 한문을 배우고 한시를 지었다. 장흥중고등학교 시절 교지 편집위원으로 참여허고,1) 문예반 친구들과 동인 <돌다리>로 활동한 것 외에 따로 시를 배우지는 않았다.2) 제임스 조이스, 프란츠 카프카, T.S 엘리엇 등 서양문학 위주로 독서를 했다. 한국 문학 중에서는 김춘수를 즐겨 읽었다.3)

 

1960년 용아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등단하였다. 1969년에 절필하고 이후 30년 동안 공무원으로 일했다. 문학 대신 클래식 음악과 등산을 취미 삼아 즐겼다.4) 

 

1999년에 퇴직하고 절필 30년 만에 다시 습작을 시작하였다. 2001년 첫 시집 《나무들이 강을 건너갔다》를 출간하였다.5) 2001년 9월 《현대시》에 〈교외에서〉 외 2편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재개했다

 

절필 전인 1960년대에 쓴 시 13편을 발견해서6) 10편을 2011년 《현대시학》 5월호에 발표했고, 13편 전체를 《수평을 가리키다》(2014)에 수록하였다.7)

 

1999년부터 2013년 사이 썼던 〈탐진강〉 연작을 모아 시집 《탐진강》(2013)으로 펴냈다. 첫 번째, 두 번째 시집에서 탐진강 연작을 뺀 나머지 작품을 모아 개정판 합본 시집 《나무 뒤에 기대면 어두워진다》(2019)를 출간했다.

 

작품세계

 

나무
《나무들이 강을 건너갔다》(2001)와 《눈 덮인 하늘에서 넘어지다》(2003)8)에는 나무가 중심 소재로 등장한다. 〈나무들이 강을 건너갔다〉에서 화자는 강을 건너가는 나무들을 본다. 화자의 머리칼에서 비듬이 떨어지는 모습과 나무의 잎이 떨어지는 모습이 겹쳐지며 인간과 나무는 유사한 존재가 된다. 〈뻗침에 대하여〉에서는 인간과 나무 이미지가 겹쳐져 “사람과 나무는 한 몸”9)이 된다. 둘은 "하늘"로 솟구치려 하지만,10) 지상으로 하강하는 눈 때문에 위로 향하지 못하고 넘어진다.(〈대설〉) 
〈하늘빛이 되는〉에서는 상승의 힘과 하강의 힘이 한꺼번에 등장한다. 하강의 힘을 견딘 나무들이 마침내 “하늘빛”을 띄는 것을 보여주면서, 고통이란 상승하기 위한 과정의 일부임을 보여준다.12)

 


위선환의 시에서 새는 “높이를 재지 않고”13) 무한한 공간을 날아다니는 존재이다.(〈새의 비상〉) 새는 길도 없는 공중을 거침없이 날고,(〈새의 길〉) 규범에 구애받지 않는다.14) 그러나 새의 자유로운 비행은 고통을 수반한다. 비행은 “허공이 새를” 찌르는 것이기도 하다.(〈허공은 날카롭다〉)15) 〈새떼를 베끼다〉는 두 무리의 새떼가 공중에서 서로를 지나쳐 가는 모습을 두 마리의 큰 새가 부딪쳐 서로를 관통하는 것으로 상상한다. 새는 충격을 통해 비워짐으로써 날 수 있다. 

 


위선환은 1999년부터 고향 장흥에 있는 탐진강을 소재로 연작시를 꾸준히 썼다. 《탐진강》(2010)연작은 흘러가는 강과 주변의 다양한 풍경을 묘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강의 보편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면서도 동학 농민운동의 마지막 격전지(〈탐진강 55〉), 한국전쟁과 연관된 마을(〈탐진강 25〉)을 등장시켜 장흥 지역이 가진 역사적 의미를 간접적으로 드러낸다.17)  
물의 이미지는 《두근거리다》(2010)에서도 반복된다. 여기서 물은 화자나 대상의 안으로 스며들어 그들을 변화시킨다. 물은 주체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바깥을 향하게 만든다.18) 〈스미다〉에서 빗물은 새 안으로 스며들고, 새 밖으로 넘치며 새를 울게 한다. 〈대면〉에서 ‘나’와 ‘너’는 서로 물에 젖고 마르면서 허물어지고, 서로의 눈물을 받는다. 《시작하는 빛》(2019)에 실린 〈웅덩이〉의 경우, 몸에 물이 스며드는 장면을 몸이 “물 안으로 걸어 들어가 눕”19)는 동시에 물이 몸 안으로 들어오는 것처럼 표현함으로써 역동적인 이미지를 보여준다. 

 

주요작품

 

1) 시집
《나무들이 강을 건너갔다》, 한국문연, 2001.
《눈덮인 하늘에서 넘어지다》, 한국문연, 2003.
《새떼를 베끼다》, 문학과지성사, 2007.
《두근거리다》, 문학과지성사, 2010.
《탐진강》, 문예중앙, 2013.
《수평을 가리키다》, 문학과지성사, 2014.
《시작하는 빛》, 문학과지성사, 2019.
《나무 뒤에 기대면 어두워진다》, 달아실, 2019.

 

번역된 작품

 

Wi Sun Hwan, trans. Song Jaepyeong, Tamjin River 18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2009.20)

 

수상내역

 

2008년 제9회 현대시작품상(강진만 외 7편)
2009년 제14회 현대시학작품상(폭설 외 4편)
2019년 제34회 이상화 시인상(《시작하는 빛》 수상)

 

참고문헌

 

(1) 후주

1) 박진용, 위선환 〈작가와의 하루 대화록〉, 《위선환 블로그》, 2012.12.8
https://blog.naver.com/yago30/90158522840
2) 위선환, 〈나의 억불시대〉 《장흥문화》 27, 2005. 
https://blog.naver.com/yago30/90118945923 에서 재인용
3) 위선환, 김기택  〈‘실체적이니 어떤 것’을 향해 날아가는 새떼〉, 《현대시》, 221, 122-132쪽. 
4) 위선환, 김기택, 위의 글, 120쪽.
5) 위선환, 〈그래서, 그리고, 그러므로〉, 《현대시》, 221, 107쪽. 
6) 위선환, 〈시인의 말: 1960년대 쓴 시들〉, 《현대시학》, 2011, 506, 160쪽. 
7) 위선환, 〈시인의 말〉, 《수평을 가리키다》, 문학과지성사, 2014, 5쪽.
8) 시집의 제목은 〈대설〉의 3행에 등장하는데, 여기서 “넘어지다”의 주어는 나무이다. 
“어둘 무렵에는 춥고 쇠약해진 나무들이/눈 덮인 하늘에서 넘어졌어”
〈대설〉, 《나무 뒤에 기대면 어두워진다》, 달아실, 2019, 112쪽.
9) 〈뻗침에 대하여〉, 《나무 뒤에 기대면 어두워진다》, 달아실, 2019, 87쪽.
10) 오형엽, 〈해설: 위선환의 시세계 적막, 혹은 무한의 깊이〉, 《눈덮인 하늘에서 넘어지다》, 한국문연, 2003, 96쪽.
11) 이성혁, 〈'빈 새 되기'에 대한 시적 탐구 – 위선환론〉, 《모더니티에 대한 역린》, 179쪽. 
13) 〈새의 비상〉, 《나무 뒤에 기대면 어두워진다》, 89.
14) 이성혁, 앞의 글, 183쪽. 
15) 〈허공은 날카롭다〉, 《수평을 가리키다》, 문학과지성사, 2014, 11쪽.
16) 〈탐진강 61〉, 《탐진강》, 문예중앙, 2013. 84쪽. 
17) 〈김용술 선생님을 탐진강 연작시로 말한다〉, 《위선환 블로그》
https://blog.naver.com/yago30/221271292998
18) 최현식, 〈해설: 스밈 혹은 번짐의 내력〉, 《두근거리다》, 문학과지성사, 2010. 115쪽.
19) 〈웅덩이〉, 《시작하는 빛》, 문학과지성사, 2019, 102쪽.
20) 《한국문학번역원》 전자도서관 번역서지정보
https://library.ltikorea.or.kr/node/21191

 

(2) 참고자료
위선환 블로그
https://blog.naver.com/yago30

 

Introduction

 

Wi Sun Hwan (born in 1941) is a Korean poet. His poems often deal with natural objects such as trees, birds and water. He enjoys developing poems by listing images and shows lyrical and abstract tendencies. He was awarded the Contemporary Poetry Award and the Lee Sang-hwa Poets Award. 

 

Life 

 

He was born in Jangheung, South Jeolla Province in 1941.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he learned Chinese characters and wrote Chinese poems. He did not learn poetry other than participating as an editor of school magazine at Jangheung Middle and High [1] and working as a member of the coterie “Doldari (Stone Bridge)” with the friends of his literature club. [2] He read books mainly on Western literature, including James Joyce, Franz Kafka and T.S. Eliot. He enjoyed reading Kim Chun-su among Korean literature authors. [3] 

 

He won the Yonga Literature Award and made a debut in 1960. In 1969, he stopped writing and worked as a public servant for the following 30 years. He enjoyed classical music and hiking as a hobby instead of literature. [4] 

 

Wi retired in 1999 and started writing again after a 30-year hiatus. He published his first poetry collection Namudeuri gangeul geonneogatda (나무들이 강을 건너갔다 Trees Crossed the River). [5] He resumed his full-fledged literary activities with the release of Gyooeeseo (교외에서 In the Suburbs) and two poems in Modern Poetry in September 2001. 

 

He found 13 poems written in the 1960s before the earlier end of his writing career [6], published the 10 poems in the May 2011 issue of Modern Poetics and included all 13 poems in Supyeongeul garikida (수평을 가리키다 Point Toward the Horizontality) (2014). [7]

 

He collected a series of Tamjingang (탐진강 Tamjin River) poems, which he wrote between 1999 and 2013, and published the poetry collection Tamjingang (탐진강 Tamjin River) (2013). He put together all the works except for the Tamjin River series in the first and second poetry collections and published a revised version of the bound volumes Namu dwie gidaemyeon eoduwojinda (나무 뒤에 기대면 어두워진다 Getting Dark When Leaning Against a Tree) (2019). 

 

Works

 

Trees

Trees appear as a main material in Namudeuri gangeul geonneogatda (나무들이 강을 건너갔다 Trees Crossed the River) and Nun deopin haneureseo neomeojida (눈 덮인 하늘에서 넘어지다 Take a Fall from the Snowy Sky) [8]. In Namudeuri gangeul geonneogatda, the narrator sees trees crossing the river. As the dandruff falling from the narrator's hair and the leaf falling from the tree overlap each other, the human and the tree become a similar being. In Ppeotchime daehayeo (뻗침에 대하여 About Reaching Out), the image of humans is superimposed on that of trees, leading to man and tree in a body. [9] The two try to soar into the "sky" [10] but fall without heading upward because of snow falling to the ground in Daeseol (대설 Heavy Snow)

 

In Haneulbichi doeneun (하늘빛이 되는 Becoming Azure), the upward and downward forces appear all at once. Showing that the trees which have endured the force of descent are finally "becoming azure," pain is part of the process of ascending. [12]

 

Birds

In Wi’s poems, a bird is a creature that "does not measure height" and flies in infinite space in Saeui bisang (새의 비상 Birds’ Takeoff). Birds freely fly in the air without a way in Saeui gil (새의 길 Birds’ way) and are not bound by norms. But birds’ free flight involves pain. Flying is also about the “air piercing birds” in Heogongeun nalkaropda (허공은 날카롭다 The Air Is Sharp). [15] Saettereul bekkida (새떼를 베끼다 Trace Out a Flock of Birds) pictures two flocks of birds passing through one another as two big birds bumping against and penetrating into each other. By the force of contact, the bird empties itself and takes flight. 

 

Water

Wi Sun Hwan has constantly written a series of poems on the Tamjin River in his hometown of Jangheung since 1999. The Tamjin River (2010) series is written in a way that depicts the flowing river and the various scenery around it. While showing the universal image of the river, it indirectly reveal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Jangheung area by presenting the last battleground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Tamjin River 55) and the Korean War-related village (Tamjin River 25). [17]

 

The image of water is also repeated in Dugeungeorida (두근거리다 Palpitate). Here water permeates into the narrator or object and changes them. Water breaks down the boundaries of the subject and makes it face outward. [18] The rainwater seeps into the bird, overflows outside of the bird and makes the bird cry in Seumida (스미다 Seep). In Daemyeon (대면 Seeing Eye To Eye), "I" and "You" fall apart as they get wet and dry, and get each other's tears. Ungdeongi (웅덩이 A Puddle) published in Sijakaneun bit (시작하는 빛 The Beginning Light) shows a dynamic image by expressing the scene of water seeping into a body as if the body were walking into the water and lying down [19] and the water were coming into the body at the same time. 

 

Works

 

1) Poetry collections

《나무들이 강을 건너갔다》, 한국문연, 2001 / Namudeuri gangeul geonneogatda (Trees Crossed the River), Hangukmunyeon, 2001

《눈덮인 하늘에서 넘어지다》, 한국문연, 2003 / Nundeopin haneureseo neomeojida (Take a Fall from the Snowy Sky), Hangukmunyeon, 2003

《새떼를 베끼다》, 문학과지성사, 2007 / Saettereul bekkida (Trace Out a Flock of Birds), Moonji, 2007

《두근거리다》, 문학과지성사, 2010 / Dugeungeorida (Palpitate), Moonji, 2010 

《탐진강》, 문예중앙, 2013 / Tamjingang (Tamjin River), Munyejungang, 2013

《수평을 가리키다》, 문학과지성사, 2014 / Supyeongeul garikida (Point Toward the Horizontality), Moonji, 2014

《시작하는 빛》, 문학과지성사, 2019 / Sijakaneun bit (시작하는 빛 The Beginning Light) 

《나무 뒤에 기대면 어두워진다》, 달아실, 2019 / Namu dwie gidaemyeon eoduwojinda (나무 뒤에 기대면 어두워진다 Getting Dark When Leaning Against a Tree), Darasil, 2019 

 

Translations

 

《탐진강》, 문예중앙, 2013 / Wi Sun Hwan, trans. Song Jaepyeong, Tamjin River 18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2009 [20]

 

Awards

 

The 9th Contemporary Poetry Award (제 9회 현대시작품상, 2008) (The Bay of Gangjin and 7 poems)

The 14th Contemporary Poetics Award (제 14회 현대시학작품상, 2009) (Heavy Snowstorm and 4 poems)

The 34th Lee Sang-hwa Poets Award (제 34회 이상화 시인상, 2019) (Prize winner – The Beginning Light)

 

References

 

(1) Notes

1) Park Jin-yong, Wi Sun Hwan (A One-day dialogue with the author) (Wi Sun Hwan

blog), Dec. 08, 2012 

https://blog.naver.com/yago30/90158522840

2) Wi Sun Hwan, Naui eokbulsidae (나의 억불시대 My Eokbul Era)

(Jangheung Culture) 27, 2005

Re-quoted from https://blog.naver.com/yago30/90118945923 

3) Wi Sun Hwan, Kim Gi-taek, “Tsilchejeogini eotteon geotteul” hyanghae naraganeun saette (‘실체적인 어떤 것’을 향해 날아가는 새떼 A Flock of Birds Flying for Something Substantive), (Modern Poetry), 221, pages 122-132

4) Wi Sun Hwan, Kim Gi-taek, ibid., page 120

5) Wi Sun Hwan, Geuraeseo, geurigo, geureomeuro (그래서, 그리고, 그러므로 So, And, Therefore), (Modern Poetry), 221, page 107

6) Wi Sun Hwan, Siinui mal: 1960nyeondae sseun sideul (시인의 말: 1960년대 쓴 시들 A Poet’s Words: Poems Written in the 1960s) (Modern Poetics), 2011, 506, page 160

7) Wi Sun Hwan, Siinui mal (시인의 말 A Poet’s Words) (Point Toward the Horizontality), Moonji, 2014, page 5

8) The title of the poetry collection is found in line 3 of Daeseol (대설 Heavy Snow), where the subject of “take a fall” is trees. “Around the dark, cold and weak trees / took a fall from the snowy sky” Daeseol (대설 Heavy Snow), (Getting Dark When Leaning Against a Tree), Darasil, 2019, page 112

9) Ppeotchime daehayeo (뻗침에 대하여 About Reaching Out), (Getting Dark When Leaning Against a Tree), Darasil, 2019, page 87

10) Oh Hyeong-yeop, Haeseol: wiseonhwanui sisegye jeongmak, hogeun muhanui gipi (해설: 위선환의 시세계 적막, 혹은 무한의 깊이 Description: Wi Sun Hwan’s World of Poetry, Silence or Infinite Depth), (Take a Fall from the Snowy Sky), Hangukmunyeon, 2003, page 96

11) Lee Seong-hyeok, ‘Bin sae doegi'e daehan sijeong tamgu – wiseonhwallon (‘빈 새 되기’에 대한 시적 탐구 – 위선환론 Poetic Exploration for “Becoming an Empty Bird” – Discussion on Wi Sun Hwan) (Anger at Modernity), page 179

13) Saeui bisang (새의 비상 Birds’ Takeoff) (Getting Dark When Leaning Against a Tree), 89

14) Lee Seong-hyeok, ibid., page 183

15) Heogongeun nalkaropda (허공은 날카롭다 The Air Is Sharp) (Point Toward the Horizontality), Moonji, 2014, page 11

16) Tamjingang 61 (탐진강 61 Tamjin River 61), (Tamjin River) Munyejungang, 2013, page 84

17) Gimyongsul seonsaengnimeul tamjingang yeonjaksiro malhanda (김용술 선생님을 탐진강 연작시로 말한다 Speaking of Mr. Kim Yong-sul with a Series of Tamjin River Poems) (Wi Sun Hwan Blog) 

https://blog.naver.com/yago30/221271292998

18) Choe Hyeon-sik, Haeseol: seumim hogeun beonjimui naeryeok (해설: 스밈 혹은 번짐의 내력 Description: History of Seeping and Spreading), (Palpitate), Moonji, 2010, page 115

19) Ungdeongi (웅덩이 A Puddle), (The Beginning Light), Moonji 2019, page 102

20)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Digital Library of Korea Literature Bibliographic Information on Translated work https://library.ltikorea.or.kr/node/21191

(2) Reference Materials

Wi Sun Hwan Blog

https://blog.naver.com/yago30

 

魏善焕(1941-),韩国诗人。1960年获龙儿文学奖,从此步入文坛。在沉寂很长一段时间后,于1999年重新开始诗歌创作。其诗作细腻、感性,以果敢的想象力和深邃的思想构筑了一个抒情的世界。


诗集《树过江了》(《나무들이 강을 건너갔다》,2001)、《抄袭鸟群》(《새떼를 베끼다》,2007)、《悸动》(《두근거리다》,2010)

  • A Flock of Birds Transcribed (2008)

Original Works3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새떼를 베끼다

    Saettereul bekkida

    Wi Sunhwan / 위선환 / 2003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목어2

    Mogeo2

    Wi Sunhwan / 위선환 / 2007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탐진강18

    Tamjingang18

    Wi Sunhwan / 위선환 / 2013

E-books & Audiobooks3

  • English(English) E-books
    Tamjin River 18
    Wi Sunhwan et al / 위선환 / 2003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Poetry > 21st century poetry
  • English(English) E-books
    A Flock of Birds Transcribed
    Wi Sunhwan et al / 위선환 / 2008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Poetry > 20th century poetry
  • English(English) E-books
    A Sandfish II
    Wi Sunhwan et al / 위선환 / 2008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Poetry > 20th century po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