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Kim Nam-il(김남일)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Kim Nam-il
Family Name
Kim
First Name
Nam-il
Preferred Name
-
Pen Name
Kim Namil, 金南一
ISNI
0000000040487184
Birth
-
Death
Unknown
Occupation
Novelis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Korean(한국어)
  • English(English)

 


1. 도입부

 

김남일은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1983년 『우리 세대의 문학』에 단편 「베리」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1987년에는 첫 장편 『청년일기』를 발간했고 이후 현재까지 소설과 산문, 르포 등을 발표하고 있다. 현재 아시아네트워크 책임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제1회 전태일문학상, 제2회 아름다운작가상, 제17회 제비꽃문학상, 제23회 전태일문학상 등을 수상했고, 2012년 권정생 창작기금을 받았다.


2. 생애

 

김남일은 1957년 경기도 수원에서 태어났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네덜란드어과를 졸업했고, 1983년에 등단했다. 1984년부터 1990년까지 자유실천문인협의회 편집 책임을 맡았고, 그 후신인 한국작가회의에서 2010년부터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 2014년 3월부터 실천문학 대표로 재직했다. 그러나 실천문학 대주주들과의 갈등으로 계간 실천문학 편집위원들이 총사퇴한 2016년 3월, 편집위원들과 함께 실천문학에서 사임했다. 이후 실천문학에는 자신의 글을 싣지 않겠다는 성명에 서명했다. 2016년 당시 정권에 의해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가 작성돼 있음이 드러났는데, 김남일도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었다. 그가 대표로 재직하던 실천문학 역시 그랬다.

 

3. 작품세계

 

 

4. 주요 작품

 

김남일의 소설은 그의 이력에 걸맞게 사회비판적이다. 1983년에 등단한 그는 당시의 다른 많은 작가들과 마찬가지로 한국사회의 노동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그의 초기 작품은 “체험과 취재를 무엇보다 소중한 창작의 비법으로” 삼고 “우리 시대와 자신에 대하여 과장하지 않은 채 가장 진솔하게”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다. 진솔함을 중시하는 그의 소설은 상상이나 과장을 최소한으로 제한하여 소설과 실록의 중간 형태에 가까워 보일 정도였다. 이는 1980년대 한국 소설이 민중, 노동, 혁명 등 사회 변혁의 이념에 사로잡혀 있었던 나머지 노동 현장이나 농촌 등에서의 투쟁을 이상화해 제시하곤 했던 것과 대비된다. 요컨대 당대 문학의 지배적인 문제의식은 공유하고 있었으되 당대 문학의 가장 심각한 병폐에는 빠져 있지 않았던 셈이다.

1980년대에는 반공주의, 분단체제, 1980년 광주에서의 항쟁과 그에 대한 정권의 학살 등에 대한 반발로 사회주의가 지식인들의 의식을 사로잡고 있었고, 문학 역시 민중, 노동, 혁명 등의 기표들로 가득했다. 이는 1980년 쿠데타에 의해 집권한 신군부의 압도적인 국가폭력에 대한 반작용이었다. 그러나 1987년 개헌을 통한 민주적 제도 도입,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전후한 급격한 경제 성장과 소비 자본주의의 도래, 1989–1991년 동유럽 사회주의의 몰락 등 여러 요인들로 인해 지식인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맞았다. 때문에 1980년대에 활동했던 많은 작가들이 달라진 사회에서 작품 활동을 이어가지 못했다.

김남일은 1990년대 이후로도 꾸준히 활동한 몇 안 되는 작가 중 한 사람이다. 1980년대에 주로 활동했던 작가들의 경우 1990년대에 작품 활동을 이어가더라도 변화한 세상과 사람들에 대한 불편함이나 억울함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김남일은 달랐다. 1990년대 이후 김남일의 작품은 인간의 존재를 무의미하게 만드는 시간에 대해 질문하고 그러면서도 망각의 시간을 의미 생성의 시간으로 바꿔낼 수 있는 기억의 힘에 대해 이야기한다. 김남일에게 기억은 더 나은 삶에 대한 희망과 같은 뜻이다. 그는 여전히 더 나은 세계, 더 나은 삶을 꿈꾸며 작품 활동을 계속하는 한편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편에 서서 활동하고 있다.

 

5. 수상 내역

 

 1. 라마야나 (2016)

2. 문익환 (2014)

3. 스토리텔링 하노이 (2012)

4. 우리 민족 최고의 이야기꾼 홍명희 (2011)

5. 천재토끼 차상문 (2010)

6. 소중한 생명을 다루는 의사 (2009)

7. 산을 내려가는 법 (2007)

8. 늘 푸른 역사가 신채호 (2007)

9. 모래도시의 비밀 (2006)

10. 책 (2006)

11. 전우치전 (2006)

12. 노구치 히데요 05 (2005)

13. 전태일 32 (2005)

14. 이중섭 09 (2005)

15. 엘리너 루스벨트 30 (2005)

16. 골목이여, 안녕 (2004)

17. 라이트 형제 (2004)

18. 통일 할아버지 문익환 (2002)

19. 세상의 어떤 아침 (1997)

20. 국경 3부 1, 2 (1996)

21. 국경 2부 1, 2 (1995)

22. 국경 1부 1, 2, 3 (1993)

23. 은혜갚은 까치 (1993)

24. 떠돌이꽃의 여행 (1993)

25. 나무꾼과 선녀 (1992)

26. 마니오크가 된 마니 (1992)

27. 천하무적 (1992)

28. 일과 밥과 자유 (1988)

29. 전진하는 동지여 (1988)

30. 청년일기 (1987)

 

6. 같이 보기

 

1. 제17회 제비꽃문학상, 2010

2. 제2회 아름다운 작가상, 2010

3. 제1회 전태일문학상, 1989


7. 주석

문학동네 홈페이지, 2017.5.8.에 확인http://www.munhak.com/books/book_view.asp?page=1&SearchType=0&SearchText=김남일&pidx=2&bookidx=10607

실천문학사 새 대표이사에 김남일 작가 선임, 해럴드경제, 2017.5.8.에 확인.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40327001376&md=20140330004057_BL

전태일문학상·전태일청소년문학상 시상식, 경향신문, 2017.5.8.에 확인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1152153105&code=100100

창비 홈페이지, 2017.7.20.에 확인http://www.changbi.com/authors/2520?board_id=24

임헌영, 「’90년대적 방향전환을 모색하며」(『천하무적』 해설), 『천하무적』, 고려원, 1992. p.270.

김원, 「80년대에 대한 ‘기억’과 ‘장기 80년대’」, 『한국학연구』 36, 2015.

권명아, 「바위처럼, 사막처럼, 모래처럼, 그리고 겨자씨처럼」, 『실천문학』 1998년 봄호.

 


1.  Introduction

 

Kim Nam-il (Hangul 김남일; born 1957) is a South Korean writer. He made his literary debut in 1983 when his short story “Beri” (베리 Berry) appeared in the journal Literature of Our Age. He published his first novel Cheongnyeon ilgi (청년일기 Diary of Youth) in 1987, and has since written various works of fiction, nonfiction, and literary journalism. He is also a senior researcher at Asia Culture Network. He is the winner of the 1st Jeon Tae-il Literary Award, 2nd Beautiful Writer Award, 17th Violet Literary Award, 23rd Jeon Tae-il Literary Award, and the 2012 Kwon Jeong-saeng grant for creative writing.

 

2. Life

 

Kim Nam-il was born in Suwon, South Korea in 1957. He studied Dutch a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made his literary debut in 1983. He was the managing editor for the Writers Association of Korea (then the Association of Writers Practicing Freedom) from 1984 to 1990 and has served as its Secretary-General since 2010.

  Kim became the president of the publisher Silcheon Munhak in March 2014, but stepped down in March 2016 when a conflict with its majority shareholders led to the resignation of its quarterly journal Literature and Practice’s entire editorial board. Kim signed a joint statement by writers declaring that they would not have any of their works published by Silcheon Munhak. In 2016, it was revealed that Kim was placed on a blacklist of artists and organizations excluded from government support programs for speaking out against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Silcheon Munhak was also on the list.

 

3. Writing

 

Kim Nam-il is primarily concerned with social criticism, which is apparent in both his personal history and literary work. When he debuted as a writer in 1983, many of his South Korean contemporaries took an interest in labor issues. One critic described his early work as “relying heavily on experience and investigation for creative inspiration” and as portraying “our times and himself most candidly without exaggeration.” Minimizing imagination and embellishment in favor of authenticity, Kim’s early writings fell somewhere between fiction and documentary. This contrasts with other works of Korean fiction in the 1980s, which were so focused on ideas of social change, the masses, labor, and revolution that they tended to idealize the struggles of laborers and farmers. While Kim raised the same questions as his contemporaries, he managed to avoid their pitfalls.

  In the 1980s, many South Korean intellectuals embraced socialism in response to anticommunism,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Gwangju Uprising and the ensuing massacre perpetrated by the government. Literature was replete with symbols of the populace, labor, and revolution. These trends were a reaction against the state violence enacted by the government of Chun Doo-hwan, who assumed presidency in 1980 through a coup. But South Korea’s democratization in 1987, rapid economic growth and rise of capitalism catapulted by the 1988 Seoul Olympics, and the fall of socialism in Eastern Europe between 1989 and 1991 were some of the various factors that brought sweeping changes to the South Korean intellectual society. Many writers who were active in the 1980s could not adjust to these changes and failed to carry on their writing.

  Kim Nam-il is one of the few writers from the 1980s who continued to publish into the 1990s. Such writers often wrote about their discomfort or frustration with the changing world and people, but Kim took a different approach. He began to ask what makes human existence meaningless, and reflected on the power of memory to turn a period of oblivion into a period of creating meaning. Kim sees memory as being equivalent to the hope for a better life. His works express hope for a better world and a better life, while representing the voices of marginalized or disadvantaged groups.

 

4. Works

 

1. 라마야나 (2016)

Ramayana (2016)

2. 문익환 (2014)

Moon Ik-hwan (2014)

3. 스토리텔링 하노이 (2012)

Storytelling Hanoi (2012)

4. 우리 민족 최고의 이야기꾼 홍명희 (2011)

Hong Myong-hui, the Best Storyteller of Korea (2011)

5. 천재토끼 차상문 (2010)

Cha Sang-moon the Genius Rabbit (2010)

6. 소중한 생명을 다루는 의사 (2009)

Doctors Deal with Precious Lives (2009)

7. 산을 내려가는 법 (2007)

How to Go Down a Mountain (2007)

8. 늘 푸른 역사가 신채호 (2007)

Shin Chaeho, Forever a Historian (2007)

9. 모래도시의 비밀 (2006)

The Secret of the Sand City (2006)

10. 책 (2006)

Books (2006)

11. 전우치전 (2006)

The Story of Jeon Woo-chi (2006)

12. 노구치 히데요 05 (2005)

Vol. 5: Hideyo Noguchi (2005)

13. 전태일 32 (2005)

Vol 32: Jeon Tae-il (2005)

14. 이중섭 09 (2005)

Vol 9: Lee Jung-seob (2005)

15. 엘리너 루스벨트 30 (2005)

Vol. 30: Eleanor Roosevelt (2005)

16. 골목이여, 안녕 (2004)

Goodbye, Alleys (2004)

17. 라이트 형제 (2004)

The Wright Brothers (2004)

18. 통일 할아버지 문익환 (2002)

Moon Ik-hwan the Old Reunification Advocate (2002)

19. 세상의 어떤 아침 (1997)

One Morning in the World (1997)

20. 국경 3부 1, 2 (1996)

National Border Book 3 Volumes 1-2 (1996)

21. 국경 2부 1, 2 (1995)

National Border Book 2 Volumes 1-2 (1995)

22. 국경 1부 1, 2, 3 (1993)

National Border Book 1 Volumes 1-3 (1996)

23. 은혜갚은 까치 (1993)

The Magpie That Repaid Its Debt (1993)

24. 떠돌이꽃의 여행 (1993)

Travels of the Wandering Flower (1993)

25. 나무꾼과 선녀 (1992)

The Woodcutter and the Fairy (1992)

26. 마니오크가 된 마니 (1992)

Mani Who Became Manioc (1992)

27. 천하무적 (1992)

Invincible (1992)

28. 일과 밥과 자유 (1988)

Work, Food, and Freedom (1988)

29. 전진하는 동지여 (1988)

Dear Comrade Marching Forward (1988)

30. 청년일기 (1987)

Diary of Youth (1987)

 

5. Awards

 

1. 2010: 17th Violet Literary Award

2. 2010: 2nd Beautiful Writer Award

3. 1989: 1st Jeon Tae-il Literary Award

 

6. References

 

문학동네 홈페이지, 2017.5.8.에 확인http://www.munhak.com/books/book_view.asp?page=1&SearchType=0&SearchText=김남일&pidx=2&bookidx=10607

실천문학사 새 대표이사에 김남일 작가 선임, 해럴드경제, 2017.5.8.에 확인.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40327001376&md=20140330004057_BL

전태일문학상·전태일청소년문학상 시상식, 경향신문, 2017.5.8.에 확인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1152153105&code=100100

창비 홈페이지, 2017.7.20.에 확인http://www.changbi.com/authors/2520?board_id=24

임헌영, 「’90년대적 방향전환을 모색하며」(『천하무적』 해설), 『천하무적』, 고려원, 1992. p.270.

김원, 「80년대에 대한 ‘기억’과 ‘장기 80년대’」, 『한국학연구』 36, 2015.

권명아, 「바위처럼, 사막처럼, 모래처럼, 그리고 겨자씨처럼」, 『실천문학』 1998년 봄호.

Original Works3

Translated Books5 Se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