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Lee Ha-suk(이하석)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Lee Ha-suk
Family Name
Lee
First Name
Ha-suk
Preferred Name
Lee Ha-suk
Pen Name
李河石, Lee Ha-seok, Lee Ha-suk
ISNI
0000000140451170
Birth
-
Death
Unknown
Occupation
Poe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Korean(한국어)
  • Chinese(汉语)

 

Introduction

 

Lee Ha-suk is a South Korean poet with a career spanning over 50 years. His poetry is known for logical, unemotional, and detached structures. Lee’s rationality and self-restraint are factors that bolster his poetic vision.

 

Life

 

Lee Ha-suk was born in Goryeong, North Gyeongsang Province. His family relocated to the city of Daegu soon after his birth due to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Lee’s aspirations for poetry began when he won a literary writing contest as a fifth-grade student. He began writing in earnest as a junior high school student, and had his poetry published in a magazine by high school.[1] Lee dropped out of the Department of Social Sciences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where he composed poetry inspired by writers such as Kim Chunsu, Kim Soo-young, and T.S. Eliot. Lee made his literary debut in 1971 with a collection of poems including “Gwangye 2” (관계2 Relationship 2).

 

Career as a Journalist

With his background as a social sciences major, Lee began his lifelong career in journalism. His poetry was heavily influenced by his academic and career background. When asked why he chose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during the interview stage of his university entrance exam, Lee responded that he was motivated by his desire to write.[2] His experience as a journalist, where he was constantly kept up-to-date on the goings of society and forced to stay on his toes,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his poetry.

 

In 1978, Lee became a reporter at the Yeongnam Ilbo, where he worked in a range of sections including the society, women, and culture sections. While working in the arts section, Lee was exposed to multiple new art movements and began to consider the application of their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to literature. His first poetry anthology Tumyeonghan sok (투명한 속 Transparent Insides) (1980)[3] was the result, after which Lee recognized the limitations of journalistic writing in dealing with reality. Today, Lee draws a clear boundary between his writings as a journalist and as a literary writer.[4]

 

Non-Literary Career

Lee served as the co-director of the Daegu-North Gyeongsang Korean Literary Society, chair of the Daegu Poets’ Association, and the first director of the Daegu Literary House, actively contributing to his home region.[5] Following his retirement from journalism, Lee spends more time composing poetry.

 

Literary Vision

 

The driving forces of Lee Ha-suk’s poetry are the power of rationality and the spirit of self-restraint.[6] In his work, Lee sets emotions aside and observes his subjects from a rational standpoint, building a logical structure for his poems using carefully-controlled language. Lee is not averse to displays of outrage in his writings, however, as seen in Cheondungui bburi (천둥의 뿌리 The Root of Thunder) (2016), a scathing condemnation of state violence.[7] Kim Chunsu’s modernist techniques and the exploration of reality as seen in the works of Kim Soo-young are also ubiquitous in Lee’s literary record.[8]

 

Motifs: Minerals

Lee Ha-suk’s career, which spans more than half a century, is defined by variations on and expansions of the motifs of minerals, cities, nature, memory, and history. His early works from the 1980s are defined largely by the mineral motif, epitomized by the anthology Tumyeonghan sok where metallic themes like iron, asphalt, and tire pieces are depicted in a hyper-realistic style that avoids subjectivity and the use of emotions.[9] In the anthology, Lee uses the motif of industrial waste to criticize civilization and cities, and bemoans the tragedy of human impact on the natural world. Critics noted that Tumyeonghan sok was a bold confrontation of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era of automation.

 

In Kimssiui yeopeolgul (김씨의 옆얼굴 Kim’s Profiled Face) (1984), Lee portrays the metallic world in greater detail and realism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humans. Iron turns to rust, which melts and becomes rust water raining onto rooftops. The world remains a desolate place where people are still marginalized.

 

Motif: Nature and Humans

In a departure from his previous criticism of the clash between civilization and nature, Lee’s poetry from the 1990s are a rediscovery of nature and the explorations of new possibilities of life. In Uri natseon saramdeul (우리 낯선 사람들 Our Strangers) (1989), Lee began to reveal his personal side thanks to his discovery of hope in his encounter with nature. In a world divided into the indoor-outdoor and civilization-nature dichotomies, Lee was noted to pull his observations of the outside into himself, restructuring and recreating them in his own unique style, as seen in Cheukbaeknamu ultari (측백나무 울타리 The Thuja-wood Fence) (1992) with the plant motif and the active role that is played by natural elements. The beauty of nature highlights the darkness of the civilized world, and connects to the people in that civilization and their problems.[11]

 

Record of History

Geumyoilen meondereul bonda (금요일엔 먼데를 본다 On Fridays, I Look into the Distance) (1996) marked a noteworthy increase in Lee’s expression of the poetic ego. Lee began to release his previously-restrained sense of self and began to explore new directions. Yeonae Gan (연애 間 Between Relationships) (2015) was his first foray into the theme of memory, and Cheondungui bburi evokes the memory of mass death. The latter anthology, inspired by historical tragedies like the Autumn Uprising of 1946 in Daegu, was described as the long-awaited “deafening cry” and a “powerful accusation” from a poet whose work had been defined for decades by self-restraint.[12]

 

Works

 

1) Poetry anthologies

≪투명한 속≫, 문학과지성사, 1980 / Tumyeonghan sok (Transparent Insides), Moonji, 1980

≪김씨의 옆 얼굴≫, 문학과지성사, 1984 / Kimssiui yeopeolgul (Kim’s Profiled Face), Moonji, 1984

≪우리 낯선 사람들≫, 세계사, 1989 / Uri natseon saramdeul (Our Strangers), Segyesa, 1989

≪측백나무 울타리≫, 문학과지성사, 1992 / Cheukbaeknamu ultari (The Thuja-wood Fence), Moonji, 1992

≪금요일엔 먼데를 본다≫, 문학과지성사, 1996 / Geumyoilen meondereul bonda (On Fridays, I Look into the Distance), Moonji, 1996

≪녹≫, 세계사, 2001 / Nok (Green), Segyesa, 2001

≪고령을 그리다≫, 만인사, 2002 / Goryeongeul geurida (Picturing Goryeong), Maninsa, 2002

≪것들≫, 문학과지성사, 2006 / Geotdeul (The Things), Moonji, 2006

≪상응≫, 서정시학, 2011 / Sangeung (Attunement), Seojeongsihak, 2011

≪환한 밤-시로 쓰는 자서전 1≫, 시와반시, 2012 / Hwanhan bam-siro sseuneun jaseojeon (Bright Night – A Poetic Autobiography), Siwa Bansi, 2012

≪연애 間≫, 문학과지성사, 2016 / Yeonae gan (Between Relationships), Moonji, 2016

≪천둥의 뿌리≫, 한티재, 2016 / Cheondungui bburi (The Root of Thunder), Hantije, 2016

 

2) Novels

≪여름강≫, 열음사, 1988 / Yeoreumgang (Summer River), Yeoreumsa, 1988

3) Themed Poetry Anthologies

〈내 딸 아들들아 모두 어디로 갔느냐〉,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실천문학사, 2014 / “Nae ddal adeuldeula modu eodiro gatneunya” (My Sons and Daughters, Where Have You Gone?), In Uri moduga sewolhoyeotda (All of Us Were The Sewol Ferry), Silcheon, 2014

〈기다리는 사람〉, ≪이럴 땐 쓸쓸해도 돼≫, 천년의 상상, 2016 / “Gidarineun saram” (Waiting People), In Ireol ddaen sseulsseulhaedo dwae (At Times Like This, It’s Okay to Be Lonely), Cheonnyeonui Sangsang, 2016

 

4) Children’s Books

≪꽃의 이름을 묻다≫, 문학동네, 1998 / Kkochui ireumeul mutda (Asking the Flower’s Name), Munhakdongne, 1998

 

Awards

 

Kim Su-Young Literary Award (1990) for Uri natseon saramdeul

Docheon Literary Award (1991) for Bimil

Kim Daljin Literary Award (1993) for “Gayasan” and 5 other poems

Daegu City Culture Award for Literature (2002)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Culture Day Award for Outstanding Contributions (2003)

Kim Gwanghyeop Literary Award (2016) for Yeonae gan

Yi Yuksa Poetry Prize (2017) for Cheondungui bburi

 

References

 

[1] Hwang, In-ok, “It is the role of literary writers to pierce the injustices of the era and point society to future directions,” Daegu Shinmun, March 13, 2018, http://www.idaeg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4479.

[2] Hwang, In-ok, “It is the role of literary writers to pierce the injustices of the era and point society to future directions,” Daegu Shinmun, March 13, 2018, http://www.idaeg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4479.

[3] Kim, Ji-hye, “Space for Local Cultural Activities,” Daegu Ilbo, March 20, 2018,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1803200090.

[4] Kim, Ji-hye, “Space for Local Cultural Activities,” Daegu Ilbo, March 20, 2018,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1803200090.

[5] Lee Ha-suk is a frequent participant at events in the Daegu area.

Moon, Hae-cheong, “Founding Summit Committee for Daegu Celebration Program for Patriot Poet Yi Yuksa,” News Free Zone, April 18, 2019, http://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129.

Kim, Jae-gwang, “With Three Poets on a Perfect Evening for Poetry,” Gyeongsang Maeil Sinmun, March 26, 2019, 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240555&part_idx=320.

Kim, Sang-hun, “K-KOCA Established to ‘Provide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Activities Rooted in Local Identity’,” News Paper, February 28, 2019, http://www.news-pap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996.

[6] Kwon, Sun-jin, “Sincheon / Lee Ha-suk,” Daegu Ilbo, July 30, 2017, http://www.idaegu.com/?c=8&uid=367825.

[7] Kwon, Sun-jin, “Sincheon / Lee Ha-suk,” Daegu Ilbo, July 30, 2017, http://www.idaegu.com/?c=8&uid=367825.

[8] “Tumyeonghan sok,” Naver Encyclopedia of Knowledge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821926&cid=46645&categoryId=46645.

[9] Hwang, In-ok, “It is the role of literary writers to pierce the injustices of the era and point society to future directions,” Daegu Shinmun, March 13, 2018, http://www.idaeg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4479.

[10] Ha, Jae-bong, “The Trail of Anti-Civilization Urban Poetry,” Hyeondaesisegae 6 (Cheongha, 1996).

[11] “Introduction to Cheukbaeknamu ultari,”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54208.

[12] “Introduction to Cheondungui bburi,”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92058208.

[13] Kim Su-Young Literature House, Award Winners, “1990 9th Kim Su-Young Literature House Winner Lee Ha-suk,” http://kimsuyoung.dobong.go.kr/award/winningwork.asp?awdNum=9.

[14] Kim, Ji-hye, “Space for Local Cultural Activities,” Daegu Ilbo, March 20, 2018,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1803200090.

[15] Baek, Na-yong, “Poet Lee Ha-suk Wins 1st Kim Gwanghyeop Literary Award,” Jeju News, July 14, 2016,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92639.

[16] Jeong. Yong-tae, “Poet Lee Ha-suk Wins Yi Yuksa Poetry Prize for Cheondungui bburi,” Newsmin, August 1, 2017, http://www.newsmin.co.kr/news/22550/.

 

도입부

 

이하석(1949~)은 한국의 시인이다. 50여 년 간 감정을 배제하고 대상을 관찰하며 논리적으로 구조를 쌓는 시를 써왔다. 이성의 힘과 자기절제의 정신은 이하석의 시세계를 지탱하는 힘으로 평가된다. 

 

생애

 

1949년 경북 고령 출생이다. 출생 직후 발발한 한국전쟁 때 대구로 이주하여 계속 그곳에서 살았다. 초등학교 5학년 때 처음 나간 백일장에서 상을 탄 이후 시인을 꿈꾸기 시작했다. 중학교 때 본격적인 습작을 시작했으며, 고등학교 때 이미 잡지에 시를 발표하기도 했다.1) 경북대학교 사회학과를 중퇴했다. 대학 시절에는 김춘수, 김수영, T.S. 엘리어트 등의 영향을 받으며 시를 썼다. 1971년 시 〈관계2〉 등을 발표하며 데뷔하였다.  

 

기자생활
대학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평생 기자 생활을 했다. 사회학 전공과 기자라는 직업은 이하석의 시와 깊은 연관이 있다. 대학 입시 면접에서 시인 지망생이 왜 사회학과를 가려는가라는 질문에 자신은 글을 쓰기 위해 사회학과를 가고 싶다고 답변했다.2) 사회의 흐름을 살피며 현실과 긴장을 유지해야 하는 기자 직업 역시 이하석의 시쓰기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1978년 영남일보 기자가 된 후 사회부, 여성부, 문화부 등 많은 부서를 거쳤다. 특히 미술담당 기자로서 취재했던 새로운 미술사조는 그에게 미술이 지닌 현대성을 문학에도 적용하는 것을 고심하게 했다. 그 고민의 끝에서 첫 번째 시집 《투명한 속》(1980)이 발간되었다.3) 이후 이하석은 리얼리티 문제에 있어서는 기자로서의 글쓰기에 한계가 있음을 깨달았고, 기사와 문학의 경계를 구별하며 글을 쓰고 있다.4) 

 

문학 외 활동
대구경북민족문학회 공동대표, 대구시인협회회장, 대구문학관 초대 관장 등을 맡으며 자신이 평생 살아온 지역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활동에도 참여해왔다.5) 신문사 퇴직 후에는 시 창작을 위한 시간을 늘렸다고 한다. 

 

작품세계

 

이하석의 시세계를 관통하는 핵심 동력으로 ‘이성의 힘’과 ‘자기절제의 정신’이 꼽힌다.6) 그는 감정을 배제하고 대상을 관찰하며, 정제된 언어를 바탕으로 시의 논리적 구조를 쌓는 방식을 즐겨 사용해왔다. 하지만 《천둥의 뿌리》(2016)에 와서는 냉정하게 국가 폭력을 고발하면서 깊은 분노 또한 감추지 않게 되었다.7) 김춘수에게 영향받은 모더니즘의 기법을 사용하면서 김수영에게 배운 현실 탐구를 멈추지 않았던 것과도 연관된다.8) 

 

광물성 이미지
이하석은 50여년의 창작기간 동안 광물, 도시, 자연, 기억, 역사 등으로 시적 소재를 변주하고 확장해 왔다. 1980년대의 이하석의 초기 시세계는 ‘광물성 이미지’로 대표된다. 《투명한 속》(1980)의 시들은 철, 아스팔트, 타이어 조각 등의 금속성 이미지의 소재를 주관적 감정을 배제한 극사실주의적 묘사로 표현했다.9) 산업쓰레기를 통해 문명과 도시를 비판하고, 인간이 만든 것들이 자연을 해치고 있다는 비극적 인식을 드러냈다. 첫 시집은 기계주의 시대에 정면으로 대응했다는 평가를 받았다.10)  

 

《김씨의 옆얼굴》(1984)에서 쇠붙이의 세계는 인간과의 관계를 통해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의미로 등장한다. 쇠붙이는 녹을 날리고 다시 녹물이 되어 사람이 사는 지붕 위로 흘러내린다. 여전히 세계는 피폐하며 인간은 소외되어 있다. 

 

자연과 사람
문명과 자연의 대립을 날카롭게 비판했던 초기와는 달리, 이하석의 1990년대 시는 자연의 발견을 통해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우리 낯선 사람들》(1989)에서 시인은 비로소 자신의 내면세계를 드러내기 시작하는데, 살아 있는 자연과의 만남에서 희망을 보았기 때문이다. 세계는 안/밖, 문명/자연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시인은 자신이 관찰한 것을 내면으로 끌어들여 재구성한 뒤 자신만의 풍경으로 창조해낸다. 이는 《측백나무 울타리》(1992)에서 식물성의 이미지로 이어지며, 자연적 요소들의 적극적이고 역동적인 모습을 담아낸다. 자연의 아름다움은 반대로 문명화된 세계의 어두움을 부각시키고, 그곳에서 살아가야 하는 우리 삶의 고민과 이어진다.11) 

 

역사의 기록
《금요일에 먼데를 본다》(1996)부터는 시적 자아로서의 ‘나’에 대한 관심이 새삼스럽게 증폭된다. 그동안 절제되었던 시적 자아의 감정이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향해 나아가려는 의지가 부각된다. 《연애 間》(2015)에서는 ‘기억’의 문제에 천착하더니, 《천둥의 뿌리》(2016)에서는 집단적 죽음의 기억을 불러낸다. 1946년 ‘대구10월사건’ 등을 역사적 비극을 소재로 한 이 시집은 수십 년 동안 자기 절제의 정신을 동력으로 시를 써온 시인이 마침내 마침내 터뜨린 ‘거대한 울음’이자 가장 냉정하게 기록한 ‘치열한 고발’이라는 평가를 받았다.12) 

 

주요작품

 

1) 시집
《투명한 속》, 문학과지성사, 1980.
《김씨의 옆 얼굴》, 문학과지성사, 1984. 
《우리 낯선 사람들》, 세계사, 1989.  
《측백나무 울타리》, 문학과지성사, 1992. 
《금요일엔 먼데를 본다》, 문학과지성사, 1996. 
《녹》, 세계사, 2001. 
《고령을 그리다》, 만인사, 2002. 
《것들》, 문학과지성사, 2006. 
《상응》, 서정시학, 2011. 
《환한 밤》 시로 쓰는 자서전1, 시와반시, 2012. 
《연애間》, 문학과지성사, 2015. 
《천둥의 뿌리》, 한티재, 2016. 

 

2) 장편소설 
《여름강》, 열음사, 1988. 

 

3) 테마시집
〈내 딸 아들들아 모두 어디로 갔느냐〉, 고은,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실천문학사, 2014. 
〈기다리는 사람〉, 공광규 외, 《이럴 땐 쓸쓸해도 돼》, 천년의 상상, 2016. 

 

4) 동화
《꽃의 이름을 묻다》, 문학동네, 1998. 

 

5) 산문집
산문집 《우울과 광휘》, 문예미학사, 2007.

 

6) 기행문
《삼국유사의 현장기행》, 문예산책, 1995. 
《늪을 헤매는 거대한 수레》, 세계사, 2005. 

 

수상내역

 

1990년 김수영문학상 수상(수상작 《우리 낯선 사람들》)13)
1991년 도천문학상 수상(수상작 《비밀》)
1993년 김달진 문학상 수상 (수상작 〈가야산〉 외 5편)14)
2002년 대구시문화상 문학부문 수상
2003년 문화의 날 공로상(문화부장관상) 수상
2016년 김광협문학상 수상(수상작 《연애 間》)15)
2017년 이육사 시문학상 수상(수상작 《천둥의 뿌리》)16)

 

참고문헌

 

1) 황인옥, 〈“현실의 불합리 꿰뚫고 미래 방향 제시하는 게 문인들이 해야 할 일”〉, 《대구신문》, 2018.03.13.
http://www.idaeg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4479
2) 황인옥, 〈“현실의 불합리 꿰뚫고 미래 방향 제시하는 게 문인들이 해야 할 일”〉, 《대구신문》, 2018.03.13.
http://www.idaeg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4479 
3) 김지혜, 〈지역 문화계 사랑방 역할 할 수 있도록 운영〉, 《대구일보》, 2018.03.20.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1803200090
4) 김지혜, 〈지역 문화계 사랑방 역할 할 수 있도록 운영〉, 《대구일보》, 2018.03.20.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1803200090
5) 이하석 시인은 대구 지역을 기반으로 한 행사에 자주 참여하고 있다. 
문해청, 〈이육사 애국시인 대구기념사업회 창립총회를 위한 운영위원회〉, 《뉴스프리존》, 2019.04.18. 
http://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129
김재광, 〈시가 어울리는 저녁, 시인3명과 함께〉, 《경상매일신문》, 2019.03.26.
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240555&part_idx=320
김상훈, 〈한국문화예술관광진흥원 창립, ‘각 지역 정체성 근거한 문화예술 활동 기반 마련할 것’〉, 《뉴스페이퍼》, 2019.02.28.
http://www.news-pap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996
6) 권순진, 〈신천/이하석〉, 《대구일보》, 2017.07.30.
http://www.idaegu.com/?c=8&uid=367825
7) 권순진, 〈신천/이하석〉, 《대구일보》, 2017.07.30.
http://www.idaegu.com/?c=8&uid=367825
8) 네이버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투명한 속]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821926&cid=46645&categoryId=46645
9) 황인옥, 〈“현실의 불합리 꿰뚫고 미래 방향 제시하는 게 문인들이 해야 할 일”〉, 《대구신문》, 2018.03.13.
http://www.idaeg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4479 
10) 하재봉, 〈반문명적 도시시의 전개〉, 《현대시세계6》, 청하, 1990. 
11) 《측백나무 울타리》 책소개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54208
12) 《천둥의 뿌리》 책소개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92058208
13) 김수영 문학관, 역대수상작 [1990년 제9회 이하석]
http://kimsuyoung.dobong.go.kr/award/winningwork.asp?awdNum=9
14) 김지혜, 〈지역 문화계 사랑방 역할 할 수 있도록 운영〉, 《대구일보》, 2018.03.20.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1803200090
15) 백나용, 〈이하석 시인, 제1회 김광협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 《제주신보》, 2016.07.14.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92639
16) 정용태, 〈이하석 시인 ‘천둥의 뿌리’ 이육사 시문학상 수상〉, 《뉴스인》, 2017.08.01
http://www.newsmin.co.kr/news/22550/

李河石(1948-),韩国诗人。1971年经《现代诗学》步入文坛。著有《透明的内在》(《투명한 속》)、《金氏的侧脸》(《김씨의 옆얼굴》)、《我们的陌生人》(《우리 낯선 사람들》)等诗集。曾获大邱文学奖、金洙映文学奖、道川文学奖、金达镇文学奖、金光协文学奖、大邱市文化奖。      


  诗集《相应》(《상응》,2011)、《雷霆之根》(《천둥의 뿌리》,2016)


Original Works1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詩と創造

    Yoon Seoksan et al / 윤석산 et al / -

Translated Books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