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Yi Yuksa(이육사)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Yi Yuksa
Family Name
Yi
First Name
Yuksa
Preferred Name
-
Pen Name
Lee Yuksa, Lee Yuksa, 李陸史
ISNI
0000000385675201
Birth
1904
Death
1944
Occupation
Poe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Spanish(Español)
  • French(Français)
  • Japanese(日本語)
  • Korean(한국어)

Yi Won-rok (May 18, 1904 – January 16, 1944), better known by his pen name Yi Yuksa, was a Korean poet and independence activist. 


Life

Yi was born in Dosan-myeon, Andong on May 18, 1904. Yi was a descendant of the scholar Yi Hwang, better known as Toegye. Yi completed his basic education in Andong, graduating at the age of 15 in 1919. In 1920, at age 17, he moved with his family to Daegu and married. Yi became a teacher at the academy at which he studied, but in 1924 left to attain a university education in Japan.

In 1925, Yi returned to Daegu and along with his brothers and joined the Uiyoldan, an association formed in response to Japanese repression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 Uiyoldan was associated with acts of sabotage and assassination. Yi moved to Beijing in 1925 or 26, likely because of this association, and studied at Sun Yat-sen University in Guangzhou. Yi returned to Korea in 1927. When members of the Uiyoldan bombed the Daegu branch of the Choseon Bank, Yi was among those arrested and spent 18 months in prison. There he was assigned the number 264 (yi yuk sa in Korean), which he later adopted as his pen name.

In 1929 Yi began to work as a journalist, and in 1930 he published his first poem, "Mal" (말 Horse), in the Chosun Ilbo. From 1931 to 1933 he studied in China, but continued to work with the Korean resistance. In 1935 he began to concentrate on his writing, publishing both poems and critical essays. 

In April 1943, he went to Beijing and apparently began smuggling weapons into Korea. That same year, Yi returned to Korea on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death of his mother. He was arrested in Korea, and transferred to Beijing, where he died in prison on January 16, 1944, at the age of 39.  He was cremated and buried in Miari, Seoul.

In 1960, Yi’s remains were reinterred near his birthplace and in 1968 a memorial stone was erected in Andong. Just outside Andong there is the Yi Yuksa Museum, dedicated to the memory of his literature and resistance work.


Writing

As one of his country's most famous poets, Yi Yuksa and his works symbolize the spirit of the anti-Japanese resistance of the 1930s and 1940s. While Yi only wrote approximately forty poems, the fact that they have come to represent the resistance spirit of the Korean people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has made his work famous in Korea. In 1939 Yi published his most famous poem, "Cheongpodo" (청포도 Green Grapes). Yi strove to write in the tradition of Korean lyric poetry, among other things writing in Hangul at a time during which this was bann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Because of Japanese censorship, his writing had to employ symbol and metaphor, never directly commenting on Japanese colonialism or the issues that surrounded it. Nevertheless, his meaning was clear to Koreans, and because of this and his lyricism, his work continues to be included in school textbooks in Korea. After Yi's death, in 1946, his brother published some 20 of his poems. A second edition followed in 1956, and in 1974 an authoritative edition. 


Aunque solo escribió aproximadamente cuarenta poemas, el hecho de que sean representativos del espíritu de resistencia del pueblo coreano contra el gobierno colonial japonés ha hecho que su obra sea famosa en Corea. En 1939 publicó su poema más famoso "Uvas verdes". Escribió en el estilo de la poesía lírica tradicional, escribiendo en la escritura coreana hangeul, en un periodo en el que estaba prohibido por el gobierno japonés. A causa de la censura japonesa, su escritura tenía que ser simbólica y metafórica, sin mentar de forma directa el colonialismo japonés o los sucesos a su alrededor, pero el significado era claro para los coreanos. Gracias a esto y a su lirismo, su obra continúa siendo incluida en los libros de texto escolares de Corea.

 

Yi Yuk-sa n'a officiellement écrit qu'une quarantaine de poèmes de son vivant, mais ses actes de résistance et son appel au soulèvement du peuple coréen contre le gouvernement colonial japonais a fait de son travail une référence littéraire en Corée. En 1939, il publie son poème le plus célèbre, Raisin blanc (Cheong podo). Il prenait soin d'écrire dans la tradition de la poésie lyrique coréenne, en écrivant en hangeul à un moment où la langue coréenne était interdite par le gouvernement japonais. En raison de la censure japonaise, il a dû développer une écriture à la fois symbolique et métaphorique. Néanmoins, le sens de ses poèmes est clair pour les Coréens, et c'est cette caractéristique qui fait que son travail est inclus dans la plupart des manuels scolaires en Corée du Sud.

Après sa mort, son frère a publié quelques-unes de ses œuvres à titre posthume en 1946.

 

李陸史(イ・ユクサ、り りくし、Yi Yuksa, 1904年5月18日~1944年1月16日)は韓国の抗日詩人。本名は李源三、ペンネームの李陸史(イ・ユクサ)は初めて逮捕された時の囚人番号が264(韓国語でイ・ユク・サ)だったことにちなむ。日本、中国の北京大学に留学したエリートだったが、武装独立運動を行なっていた義烈団や朝鮮義勇軍などに参加し、独立軍資金募金、暗殺や爆破工作などのさまざまな秘密工作に関与した。しかし抗日独立運動に参加しながらも、詩作においても旺盛な活動を繰り広げ、傑作を残した。代表詩集「陸史詩集」。

 

이육사(1904~1944)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시인이다. 


생애

이육사는 1904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이원록이다. 5세부터 조부에게 소학(小學)을 배우기 시작했으며 12세에 보문의숙에서 수학했다. 1923년 백학학원에서 교편을 잡았고, 1924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이듬해 1월에 귀국했다. 귀국 후 1926년에 베이징 중국대학 상과에 입학하여 1927년 여름에 귀국했으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 사건인 ‘장진홍의거’에 얽혀 구속되었다. 이후 몇 차례 수감이 반복되었으며, 당시의 수인번호 264를 따서 호를 ‘육사’라고 지었다. 출옥 후에는 다시 베이징대학에서 공부하며 루쉰 등과 알게 되고 독립운동을 지속했다. 

작가는 1930년 《조선일보》에 첫 시 〈말〉을 발표했으며, 같은 해 광주학생항일투쟁과 관련하여 구속되었다. 1933년베이징에서 귀국 후 잡지 《신조선》에 시 〈황혼〉을 발표했으며 본격적으로 문학 활동을 하였다. 1937년에는 김광균, 윤곤강 등과 함께 동인지 《자오선》을 발간하여 그의 대표시인 〈청포도〉, 〈교목〉, 〈절정〉, 〈광야〉 등을 발표했다. 

1941년 폐병으로 인해 성모병원에 입원했으나 독립운동을 위해 1943년 북경으로 떠났다. 그러나 같은 해 귀국하여 동대문경찰서 형사에게 체포, 베이징으로 압송되었고 1944년 세상을 떠났다. 


작품세계

이육사의 유일한 시집 《육사시집》(1946)은 이육사 사망 후, 그가 쓴 시를 모아 동생인 이원조가 시집으로 간행한 것이다. 시집에 실린 시는 20편에 불과하며, 2020년까지 발굴된 시를 모두 모아도 40편을 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육사와 그의 시는 한국 문학 교과서에서 빠지지 않고 다루고 있다. 

이는 물론 《육사시집》에 실린 시편의 탁월한 문학적 성취 덕분이겠으나, 또 하나 중요한 이유는 그의 삶이 시와 일치했다는 점, 적어도 시와 삶이 일치해야 한다는 시인 자신의 인생관/문학관이 그의 시와 삶 양쪽에 드러나기 때문이다. 시집은 시인의 독립에 대한 굳은 의지와 이를 지키며 살아갈 때 불가피하게 생길 고통과 고민이 담겨있다. 

이육사에게 있어서 시 쓰기는 혁명을 위한 행동이었다. 〈절정〉, 〈광야〉와 같은 시에서는 단호한 명령형 문장들로부터 시적 화자의 굳은 의지를 느낄 수 있다. 극도로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화자의 의지가 유지되고 있으며 현실적 가능성을 따지지 않고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난국을 타개하려는 의지가 드러난다. 이 점에서 이육사의 시는 항일운동에 삶을 바친 시인의 ‘정신’을 형상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된다. 

또한 이육사의 시는 풍부하게 사용된 비유와 상징, 고도로 압축적인 문장, 시 전체를 제어하는 형식적 틀로 인해 시 자체로서 폭넓은 해석의 가능성을 남겨두고 있다. 이 점에서 이육사의 시가 조국독립에 대한 열망을 담고 있다는 해석이 그의 시 세계를 지나치게 제한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한다. 


주요 작품

1) 전집

《이육사전집》, 정음사, 1975.

《이육사전집》, 새문사, 1986.

《원본 이육사전집》, 집문당, 1986.

《이육사시전집》, 고려서원, 1990.

《원전주해 이육사 시전집》, 예옥, 2008.


2) 시집

《육사시집》, 서울출판사, 1946. (서울출판사 판 복각, 그 여름, 2016)

《육사시집》, 범조사, 1956. (범조사 판 복각, 더스토리, 2017)


수상 내역

1968년 건국훈장 애국장



Original Works31 See More

Translated Books32 See More

E-books & Audiobook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