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Ko Hyeong-ryeol(고형렬)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Ko Hyeong-ryeol
Family Name
Ko
First Name
Hyeong-ryeol
Preferred Name
Ko Hyeong-ryeol
Pen Name
Ko Hyungryul, Ko Hyeongryeol, Ko Hyeong-ryeol
ISNI
0000000034690469
Birth
1954
Death
-
Occupation
Poet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Spanish(Español)
  • French(Français)
  • German(Deutsch)
  • Korean(한국어)

Ko Hyeong-ryeol (born 1954) is a modern Korean poet.


Life

Ko Hyeong-ryeol was born in the town of Haenam at the southern tip of the Korean Peninsula and grew up in Sokcho, Gangwon Province. After high school, Ko passed an exam to become a government employee and worked as a clerk in his township. He made his literary debut in 1979 publishing the poem "Jangja" (장자 Zhuangzi) in Hyundae Munhak. Since then he has published 11 collections of poetry, most recently Oraedoen geotdeureul saenggakal ttaeeneun (오래된 것들을 생각할 때에는 Thinking of Old Things) in 2020. He is the recipient of the Baek Seok Prize for Literature (2006), among others.


Writing

Ko Hyeong-ryeol is a poet of “peculiar” voice. Calm even as it discusses the history of Korean national division or the author's wish for Korean reunification, his poetic language carries the halting tone of a soliloquy muttered or a conversation initiated with difficulty. Though never exertive, Ko's poetry exudes the strength of compassion and warmth grounded in the poet's own perspective toward the world, which is not that of a distant observer but rather that of a close neighbor who meditates on things as though they are an immediate part of his life. As Ko has aged his work has become even more humble and pure in tone. Ko often describes the world as full of sorrow and suffering, but his poetry also expresses life with compassion and understanding.


Ko es un poeta de una sonoridad particular.4 Tranquilo incluso para hablar de la historia de la división de Corea o de su deseo de que Corea se reunifique. Su lenguaje poético tiene el tono titubeante de un soliloquio murmurado o de una conversación iniciada con dificultad. Aunque nunca es asertiva, su poesía rebosa de una fuerza misericordiosa y cálida que se asienta en su propia perspectiva del mundo, que no es la de un observador distante, sino la de un vecino cercano que medita sobre asuntos que son parte de su vida. Según Ko Hyeong-ryeol se ha ido haciendo mayor, sus obras tienen un tono más humilde y honesto. Describe a menudo el mundo como lleno de tristeza y sufrimiento, pero su poesía también refleja la vida a través de la compasión y la comprensión.5

 

Ko est un poète au style singulier1. Adoptant un ton posé et calme sur des sujets comme la division nationale du pays ou le souhait de l'auteur d'une réunification des deuxCorées, son langage poétique adopte le ton d'un monologue balbutiant ou d'une conversation difficile. Il traite de sujets qui lui sont proches en se fiant aux expériences des personnes autour de lui. Bien que les descriptions des choses qui l'entourent soient marquées d'une certaine souffrance, d'une mélancolie latente, cette poésie n'en demeure pas moins pleine de compassion et de compréhension pour ses personnages.

 

Ko Hyeong-ryeol wurde am 8. November 1954 in der Stadt Haenam, an der südlichen Spitze der koreanischen Halbinsel, geboren und wuchs in Sokcho, Gangwon-do auf. Nach dem Abschluss der Oberstufe arbeitete er als Angestellter im öffentlichen Dienst in seiner Gemeinde. Sein literarisches Debüt hatte er 1979 mit seinem Gedicht Der Erstgeborene (장자), welches in der Zeitschrift Zeitgenössische Literatur (현대문학) veröffentlicht wurde.

Einige seiner Kritiker bezeichnen ihn als einen Poet mit einer 'eigenartigen' Stimme. Seine Stimme wirkt unterdrückt und stockend, wie in einem Monolog, selbst wenn sie Themen wie die problematische koreanische Geschichte, die Teilung des Landes oder den brennenden Wunsch nach Wiedervereinigung vorträgt. Wenn auch niemals anstrengend, so strahlt Kos Lyrik doch die Stärke von Mitgefühl und Wärme aus. Diese Gefühle basieren auf seiner eigenen Sichtweise der Welt, welche nicht die eines fernen Beobachters ist, sondern vielmehr die eines direkten Nachbarn, der alle Dinge betrachtet, als wären sie ein direkter Teil seines Lebens. Mit den Jahren, in denen Ko als Dichter heranreifte, wurde der Ton seiner Stimme sogar noch bescheidener und unverfälschter. Selbst während er die Welt voll von Kummer und Leid beklagt, schafft er es das Leben mit Mitgefühl und Verständnis zu umarmen.

Ko wurde 2003 mit dem Chihun-Literaturpreis ausgezeichnet.[2]

 

고형렬(1954~)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생애

고형렬은 1954년 강원도 속초에서 태어났다. 속초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4년에 지방행정공무원 생활을 하며 동인활동을 하며 습작을 했다. 

1979년 《현대문학》에 시〈장자(莊子)〉, 〈수풀 속에는〉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85년 첫 시집 《대청봉 수박밭》을 출간한 이후 다수의 시집을 출간했다. 

또한 작가는 2000년에 계간 《시평(詩評) SIPYUNG》을 창간하며 아시아 시운동에 앞장섰다. 중국과 일본, 몽골, 타이완의 시인들을 한국에 초청하여 시낭송회를 개최했으며, 2010년에 한아세안시인문학축전(Korea-ASEAN Poets Literature Festival)을 서울과 속초, 인도네시아 페칸바루에서 개최했다. 중국의 린망, 일본의 시바타 산키치, 스즈키 히사오, 한국의 김기택 등 15명의 시인과 함께 《몬순 MONSOON)》 국제시동인을 결성했다.  

1985년부터 2005년까지 《창작과비평》사 편집부장으로 일했고, 명지전문대 문창과 겸임교수, 한아세안시인문학축전 조직위원장, 《현대시학》 주간 등을 역임했다.


작품 세계 

고형렬은 장자(莊子) 연구를 꾸준히 하고 있는데, 이는 작가의 시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작가는 등단 초기부터 꾸준히 무위의 세계를 추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또한 작가는 식민지 시기의 민중들의 삶과 민족분단으로 인한 고통과 분단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을 시적 상상력을 통해 그려내고 있다.

첫 시집 《대청봉 수박밭》(1985)에 수록된 작품들은 시간의 흐름에 함몰되지 않는 순수한 원형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원형의 세계를 통해 현실과 이상과의 괴리를 넘어서게 된다. 작가의 이러한 경향은 시집 《사진리 대설》(1993)을 거쳐 《밤 미시령》(2006)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비루한 현실을 넘어서는 이상적인 세계에 대한 모색이다. 또한 시어에 대한 관심이라든지 현실에 대한 절망감을 드러내는 특유의 정서 등은 작가의 특징에 해당한다. 

《리틀보이》(1995)는 히로시마 원폭의 비극을 다룬 시집으로, 일본에서도 화제를 불러일으킨 바 있는 8000행에 이르는 장시(長詩)다. ‘리틀보이’는 1945년 8월 6일 미국에 의해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이름으로 작가는 8년 동안의 취재를 통해 작품을 썼다. 작가는 히로시마에 원폭이 투하되는 시간을 100만 분의 1초 단위로 확장해, 끔찍했던 순간을 다각적으로 묘사하고, 핵폭탄 ‘리틀보이’가 낳은 비극과 일제하 조선인들이 겪었던 수난을 서사시의 형식으로 형상화해낸다. 

《유리체를 통과하다》(2012)에는 모두 108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작가는 세상과 사물을 바라보던 기존의 시선에 대해 회의하면서, 새로운 차원의 언어에 대한 모색과 그에 따른 절망감과 반성을 작품에 담아내었다.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거울이다》(2015)에서 시인은 세계를 바라보는 예민한 감각으로 불안과 혼돈의 세계에서 희망보다는 절망과 어둠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어둠 너머의 빛을 탐색하고 나는 누구인가 라는 오래된 질문을 지속적으로 던지면서 삶에 대한 열정을 토로하고 있다. 

《오래된 것들을 생각할 때에는》(2020)에서 작가는 세계에 대한 성찰과 시공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무한대의 상상력으로 빛나는 형이상학적 사유의 세계를 펼쳐 보인다. 삶에 대한 회의와 허무 그리고 존재에 대한 탐구를 98편의 시에 담아내었다. 


주요 작품

1) 시집 

《대청봉 수박밭》, 청사, 1985. 

《해청》, 창작사, 1987. 

《해가 떠올라 풀이슬을 두드리고》, 청하, 1988. 

《서울은 안녕한가》, 삼진기획, 1991. 

《사진리 대설》, 창작과 비평사, 1993. 

《바닷가의 한 아이에게》, 씨와, 1994. 

《마당식사가 그립다》, 고려원, 1995. 

《성에꽃 눈부처》, 창비, 1998. 

《김포 운호가든에서》, 창작과비평사, 2001. 

《밤 미시령》, 창비, 2006. 

《나는 에르덴조 사원에 없다》, 창비, 2010. 

《유리체를 통과하다》, 실천문학, 2012. 

《지구를 이승이라 불러줄까》, 문학동네, 2013.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거울이다》, 창비, 2015.

《리틀보이》, 넥서스, 1995(개정판, 최측의 농간, 2018).

《붕(鵬)새》, 시평사, 2010.

《오래된 것들을 생각할 때에는》, 창비, 2020.


2) 산문집

《은빛 물고기》, 한울, 1999(개정판, 최측의농간, 2016).

《장자의 하늘, 시인의 하늘》, 나남, 2011.

《고형렬 에세이 장자 전집》(1~7), 에세이스트사, 2017.


수상 내역 

2003년 제3회 지훈상(문학부문)

2006년 제2회 일연문학상 

2006년 제8회 백석문학상 

2006년 제38회 대한민국문화예술상 

2010년 제55회 현대문학상

2018년 제16회 유심작품상


Original Works52 See More

Translated Books30 See More

E-books & Audiobooks4 See More

  • English(English) E-books
    The Riddle of the 'Can-'in Cancer
    Ko Hyeong-ryeol / 고형렬 / 2010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Poetry > 20th century poetry
  • English(English) E-books
    To a Never Quiet Poem
    Ko Hyeong-ryeol et al / 고형렬 / 2008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Poetry > 20th century poetry
  • English(English) E-books
    Flower Rising in Tree Rings
    Ko Hyeong-ryeol / 고형렬 / 2010 / KDC구분 > literature > Korean Literature > Korean Poetry > 20th century poetry

Event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