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Yoon Seoksan(윤석산)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Yoon Seoksan
Family Name
Yoon
First Name
Seoksan
Preferred Name
-
Pen Name
尹石山, Yoon Suksan, 尹錫山
ISNI
-
Birth
1947
Death
-
Occupation
Writer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Korean(한국어)

 

Introduction

 

Yoon Seoksan (1946-) is a South Korean poet. Yoon has a decades-long career as a postsecondary instructor of Korean literature and is also the writer of multiple research papers on Cheondoism. While his early poetry anthologies are modern reimaginings of classical folklore and historical figures, his later works are reflections on humble, ordinary scenes of daily life.

 

Life

 

Career as a poet

Yoon Seoksan was born in Gongju, South Chungcheong Province, in 1946. He was a high school student in 1967 when his poem “Pyeonji” (편지 The Letter) was announced the winner of a competition at a newspaper. Yoon’s young age was the subject of much attention, to the point that his victory was reported on the radio news. He went on to submit his work to multiple poetry competitions, and made his literary debut in 1974 with the poem “Bada sogui raempeu” (바다 속의 램프 The Lamp in the Sea).[1] In 1975, he founded the magazine Singamgak (신감각 New Sensibilities) with other poets who debuted around the same time. The publication garnered interest for its novel directions in poetry.[2] Yoon’s published anthologies include Bada sogui raempeu (바다 속의 램프 The Lamp in the Sea) (1980), Jeok (적 Silence) (2000), and Bap nai, jam nai (밥 나이, 잠 나이 Age for Food, Age for Sleep) (2008), among others. Yoon was named the chair of the Society of Korean Poets in 2018[3], and is the recipient of multiple literary distinctions including the Korean PEN Literary Prize.

 

Cheondoism[4] Research

In addition to his career in poetry, Yoon Seoksan is known as a researcher of Cheondoism. Both his maternal and paternal grandfathers were followers of the faith, and his father is also a devout believer. Yoon’s father claims to have survived being shot during the Korean War through prayer. He converted Yoon to Cheondoism, and Yoon went on to write his PhD dissertation on the Yongdamyusa[5], a holy book in Cheondoism. For decades, Yoon researched the Donghak movement (the predecessor to Cheondoism) and published multiple research papers on the field. He translated the Cheondo holy book Donggyeongdaejeon from Classical Chinese into Korean in order to promote the faith, and co-translated the book into English with University of Rhode Island Professor Emeritus Yong Choon Kim, publishing the manuscript via a US publisher.

 

Work

 

Early Work

Yoon Seoksan’s early poetry was often serialized, involving traditional folklore and historical figures.

 

Ondare kkum (온달의 꿈 Ondal’s Dream) (1986) features the figure of Ondal[8], and Cheoyongui norae (처용의 노래 The Song of Cheoyong) uses the folk character Cheoyong as a motif. In these poems, Yoon reimagines these characters from a modern perspective, effectively creating a link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rather than cut them off. For example, the character of Cheoyong in Cheoyongui Norae is not simply described as the figure of classical folklore, but strikes a parallel to the poem’s perspective character, who wanders the streets of modern Seoul. The anguish of mythological figures is revealed to be timeless problems that even modern readers can experience.[10]

 

Yongdam ganeun gil (용담 가는 길 The Road to Yongdam) (1997) is about the life of Choe Je-u, the founder of Cheondoism. Unlike most Cheondoist poems, which tend to be epic poetry, Yoon’s work is deliberately rendered in a lyric style. The lyric form breathes life and emotion into the grand narrative framework of Choe’s life. In Yongdam ganeun gil, Choe is not simply a historical figure from the distant past but a dispenser of meaningful wisdom even to those living in contemporary times.[11]

 

Later Work

 

Yoon’s later poetry focuses on reflections about daily life rather than folklore or history. His poems “Ilyoil jeoncheol 4-hoseon” (일요일 전철 4호선 Sunday on Subway Line 4), “Jeoncheol an honghae” (전철 안 홍해 The Red Sea in the Subway), and “Sindorim jeoncheolyeog” (신도림 전철역 Sindorim Subway Station), among others, are poems in the anthology Naneun jigeum unjeonjung (나는 지금 운전중 I am Currently Driving) (2013) that feature the subway—one of the most familiar forms of transportation to contemporary South Koreans. The characters in the poems are figures often spotted on South Korean subways—migrant workers going to Seoul on a day off, a blind person playing music and begging for donations, and vendors selling goods at bustling transfer stations. Such ordinary snapshots are often missed by people in their busy day-to-day, but Yoon examines such scenes with affection and discovers the special moments hidden in between. His poem “Olijeong sundubu” (Sundubu from Olijeong), for example, features migrant workers who are unable to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for the holidays and a person from Yanbian who assists them. The charity and generosity of those who have little are a reminder of the value of humanity and call on readers to reflect on the values humans must defend.[12]

 

Works

 

1) Collections

≪견딤에 대하여≫, 시선사,2004 / Gyeondime dehayeo (On Enduring), Siseonsa, 2004

 

2) Poetry anthologies.

≪바다 속의 램프≫, 고려원, 1980 / Bada sogui raempeu (The Lamp in the Sea), Goryeowon, 1980.

≪온달의 꿈≫, 정음사, 1986 / Ondare kkum (Ondal’s Dream), Jeongeumsa, 1986.

≪처용의 노래≫, 문학아카데미, 1992 / Cheoyongui norae (The Song of Cheoyong), Munhak Academy, 1992.

≪적≫, 시와시학사, 2000 / Jeok (Silence), Siwasihaksa, 2000.

≪밥 나이, 잠 나이≫, 황금알, 2008 / Bap nai, jam nai (Age for Food, Age for Sleep), Goldegg, 2008.

≪나는 지금 운전중≫, 푸른사상, 2013 / Naneun jigeum unjeonjung (I am Currently Driving), Prunsasang, 2013.

≪절개지≫, 도훈, 2018 / Jeolgaeji (Jeolgaeji), Dohun, 2018.

 

3) Essays

≪용담에서 고부까지≫, 신서원, 1999 / Yongdameseo gobukkaji (From Yongdam to Gobu), Sinseowon, 1999.

≪어머니께서 담배를 태우게 된 연유≫, 태학사, 2016 / Eomeonikkeseo dambaereul taeuge dwen yeonyu (The Reason Mother Came to Smoke Cigarettes), Taehagsa, 2016.

 

4) Research papers and biographies

≪고전적 상상력≫, 민족문화사, 1983 / Gojeonjeok sangsangnyeok (Classical Imagination), Minjogmunhwasa, 1983.

≪용담유사연구≫, 민족문화사, 1987 / Yongdamyusayeongu (Research on the Yongdamyusa), Minjogmunhwasa, 1987.

≪후천을 열며≫, 동학사, 1996 / Hucheoneul yeolmyeo, Donghagsa, 1996.

≪동학사상과 한국문학≫, 사곰, 1999 / Donghagsasanggwa hangugmunhak (Donghak Philosophy and Korean Literature), Sagom, 1999.

≪초기 동학의 역사≫, 신서원, 2000 / Chogi donghagui yeogsa (History of the Early Donghak Movement), Sinseowon, 2000.

≪박인환 평전≫, 모시는사람들, 2003 / Park In-hwan pyeongjeon (Biography of Park In-hwan), Mosinsaram, 2003.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모시는사람들, 2004 / Donghaggyojo Su-un Choe Je-u (Choe “Su-un” Je-u, Founder of the Donghak Movement), Mosinsaram, 2004.

≪용담유사 연구≫, 모시는사람들, 2006 / Yongdamyusa yeongu (Research on the Yongdamyusa), Mosinsaram, 2006.

≪동학 천도교의 어제와 오늘≫, 한양대학교출판부, 2013 / Donghak cheondogyoui eojewa oneul (The Past and Present of Donghak Cheondoism), Hanyang University Press, 2013.

≪일하는 한울님≫, 모시는사람들, 2014 / Ilhaneun haneullim (The Working Haneullim), Mosinsaram, 2014.

 

5) Annotations and translations

≪동경대전≫, 동학사, 1996 / Donggyeongdaejeon (Donggyeongdaejeon), Donghagsa, 1996.

≪용담유사≫, 동학사, 1999 / Yongdamyusa (Yongdamyusa), Donghagsa, 1999.

≪어면순≫, 송세림 편저, 윤석산 편역, 문학세계사, 1999 / Eomyeonsun (Shield Against Sleep), Munhagsegyesa, 1999.

≪도원기서≫, 모시는사람들, 2012 / Dowongiseo (Dowongiseo), Mosinsaram, 2012.

최제우, 용담유사, 1881 / CHONDOGYO SCRIPTURE, trans. Yoon Seoksan and Kim Yong Cho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7.

 

Awards

 

Korea Joongang Daily New Writer’s Contest (1967) for “Pyeonji”[14]

Kyunghyang Daily News New Writer’s Award (1974) for “Bada sogui raempeu”[15]

Korea Poetry Award (2001) for Jeok[16]

Pyeonun Literary Prize (2009) for Bap nai, jam nai[17]

Korean PEN Literary Prize (2013)[18]

 

References

 

1) Notes

[1] Jeong, Han-yong, “Fiercely rising to the Challenge of Composing the Ultimate Poetry—Poet Yoon Seoksan Awarded Pyeonun Literary Prize for Anthology Bap nai, jam nai,” Munhwa Journal 21, April 15, 2009, http://mhj21.com/12115.

[2] Lee, Geon-cheong, “A Poetic Vision Rising to the Challenge of Pioneering New Sentiment,” Munhwa Journal 21, July 6, 2009, http://www.mhj21.com/15127.

[3] Moon, Su-jeong, “Poet Yoon Seoksan Appointed Chair of Society of Korean Poets,” Kukmin Ilbo, April 4, 2018,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928584&code=13150000&cp=nv.

[4] Cheondoism is a religion founded in 1860 by Choe Je-u. It was originally known as the Donghak (lit. “Eastern Studies”) Movement and was founded to counter the influx of Seohak (lit. “Western Studies”), that is, Catholicism, with a nationalist faith. In 1905, Son Byong-hi, the third leader of the movement, renamed the faith to “Cheondoism.”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wiki/천도교.

[5] The Yongdamyusa is a collection of nine essays written in the Hangul by Cho Je-u in order to popularize the doctrines of Cheondoism.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wiki/용담유사.

[6] The Donggyeongdaejeon is Donghak scripture written by Choe Je-u in Classical Chinese.

Wikipediahttps://ko.wikipedia.org/wiki/동경대전.

[7] Kim, Jong-cheol, “’I want to make Cheondoism accessible for all’,” Cheonji Ilbo, July 17, 2010,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49856.

[8] A warrior from the Goguryeo dynasty, Ondal was famous for his stupidity as a young man, but married a princess of Goguryeo and became a renowned warrior. As is typical of hero narratives, the story of Ondal ends when he is struck by an arrow in battle and die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8837.

[9] An official from the Unified Silla era. According to folklore, a spirit that caused contagious illnesses took on human form and slept with Cheoyong’s wife, but when Cheoyong witnessed the act, he refused to show anger and moved the spirit’s heart. Afterwards, people would stick talismans bearing Cheoyong’s likeness on their doors in order to ward off evil spirits and welcome good fortune.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5713.

[10] Jeong, Han-yong, “Fiercely rising to the Challenge of Composing the Ultimate Poetry—Poet Yoon Seoksan Awarded Pyeonun Literary Prize for Anthology Bap nai, jam nai,” Munhwa Journal 21, April 15, 2009, http://mhj21.com/12115.

[11] Jeong, Han-yong, “Fiercely rising to the Challenge of Composing the Ultimate Poetry—Poet Yoon Seoksan Awarded Pyeonun Literary Prize for Anthology Bap nai, jam nai,” Munhwa Journal 21, April 15, 2009, http://mhj21.com/12115.

[12] Yoon, Seoksan, Naneun jigeum unjeonjung, Prunsasang, 2013, Publisher’s Comments, https://book.naver.com/bookdb/publisher_review.nhn?bid=7135581.

[13]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https://library.ltikorea.or.kr/node/9644.

[14] “New Faces and Works on the Literary Stage | Winners of the Korea Joongang Daily New Writer’s Contest,” JoongAng Ilbo, January 1, 1967, https://news.joins.com/article/1101088.

[15] “‘Badasogui raempeu’ wins ‘74 Kyunghyang Daily News New Writer’s Award,” Kyunghyang Daily, January 1, 1974, 

[16] “Veteran Poets Take Literary Prizes,” Kyunghyang Daily, November 23, 2001,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111231918281&code=100100.

[17] “Poets Yoon Seoksan and Kim Subok Win Pyeonun Literary Prize,” Yonhap News, April 24, 2009,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2626961.

[18] International PEN: Korean PEN Literary Prize Winner List

http://www.penkorea.or.kr/boards/view/historyaward/1043/page:1/ls:T

 

2) See also

Yoo, Seong-ho, “Discovering Depth in Daily Life: Yoon Seoksan’s Poetry Anthology Bap nai, jam nai,” Bonjilgwa Hyunsang vol. 15, 2009.

Yoo, Seong-ho, “Existential Discoveries on the Way to a Frugal Life: Yoon Seoksan’s Poetry Anthology Naneun jigeum unjeonjung,” Bofnjilgwa Hyunsang vol. 32, 2013.

 

도입부

 

윤석산(1946~)은 한국의 시인이다. 대학교에서 수십 년간 한국어문학을 가르쳤으며, 다수의 천도교 연구서를 발간하기도 했다. 초기의 시집에서는 고전 설화와 역사적 인물의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였다면, 후기의 시집에서는 평범하고 소박한 일상의 풍경을 사색하는 경향을 보인다. 

 

생애

 

시인 활동
1946년 충청남도 공주에서 태어났다. 1967년 고등학교에 재학하던 중 신문사에서 주관하는 공모전에 응모하여 동시 〈편지〉가 당선되었다. 어린 나이에 수상한 것이 화제가 되어 당시 라디오 방송의 뉴스에 나오기도 했다. 이후 시 부문 공모전에 여러 번 도전하여 1974년 시 〈바다 속의 램프〉가 당선되어 등단했다.1) 1975년 비슷한 시기에 데뷔한 여러 시인들과 함께 잡지 〈신감각〉을 창간하여 새로운 시적 감각으로 주목을 모았다.2) 《바다 속의 램프》(1980), 《적》(2000), 《밥 나이, 잠 나이》(2008) 외 다수의 시집을 발표했다. 2018년 한국시인협회 회장으로 선출되었고3), 편운문학상, 한국 PEN 문학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천도교4) 연구
윤석산은 천도교 연구자로도 잘 알려져 있다. 조부와 외조부 모두 천도교인이며 부친 역시 독실한 천도교인이다. 부친은 한국전쟁 당시 총살을 당할 위기에서 기도를 하여 총알을 맞고도 살아나는 기적을 경험했다고 한다. 윤석산은 부친의 권유로 천도교인이 되었다. 천도교의 경전인 《용담유사》5)를 주제로 박사학위 논문을 썼으며 이후 수십 년간 동학 연구에 매진하여 많은 연구서를 발간하였다. 천도교를 널리 알리기 위해 한문 경전인 《동경대전》6)을 한국어로 풀었으며, 미국 로드아일랜드 대학의 김용준 명예교수와 함께 미국 출판사에서 영어 번역본을 내기도 했다.7)

 

작품세계

 

초기시
윤석산의 초기시에는 전통적인 설화와 역사적인 인물을 소재로 한 연작시들이 많다. 

 

《온달의 꿈》(1986)에서는 온달8)이, 《처용의 노래》(1992)에서는 처용9)이 시의 소재가 된다. 윤석산은 전통 설화의 주인공 온달과 처용에 대해 현대적인 재해석을 시도한다. 고전과 현대가 단절된 것처럼 생각하는 사고를 깨뜨리고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기 위해서이다. 가령 〈처용가〉에서 처용이라는 인물은 고전 설화 속의 처용으로만 묘사되지 않고 현재 서울의 거리를 헤매고 있는 시적 화자와 겹쳐진다. 이로써 설화 속 인물의 고뇌는 현대에도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문제로 되살아난다.10)

 

《용담 가는 길》(1997)은 천도교 창시자인 최제우의 생애를 주제로 한다. 천도교를 소재로 삼는 대부분의 시가 서사시 형식을 취하는 것과 달리 윤석산은 의도적으로 서정시 형식을 택한다. 서정시 형식에 힘입어 최제우의 생애 자체에 내포된 웅대한 서사적 골격을 바탕으로 최제우의 삶과 사유가 서정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용담 가는 길》을 통해 최제우는 단순히 과거에 존재했던 역사적 인물이 아니라 현대인들에게 여전히 의미 있는 가르침을 주는 지혜로운 존재로 재탄생한다.11)

 

후기시
윤석산의 후기시는 설화나 역사 대신 평범한 일상을 사색하는 경향을 보인다. 《나는 지금 운전중》(2013)에 수록된 〈일요일 전철 4호선〉, 〈전철 안 홍해〉, 〈신도림 전철역〉 등에서 시인은 특히 현대 한국인에게 가장 친숙한 교통수단 중 하나인 지하철을 시의 대상으로 삼는다. 휴일을 맞아 서울로 이동하는 외국인 노동자, 음악을 틀고 구걸을 하는 맹인, 복잡한 환승역에서 물건을 판매하는 노점상 등은 지하철에서 흔하게 목격할 수 있는 대상들이다. 빠르게 움직이는 사회에서 사람들은 매일 반복되는 풍경들을 쉽게 지나치곤 한다. 그러나 시인은 평범한 일상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바라봄으로써 그 속에서 평범하지 않은 삶의 모습을 발견한다. 가령 〈오리정 순두부〉는 연말임에도 불구하고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한 외국인 노동자들과 그들을 돕고 있는 연변 사람의 모습을 묘사한다. 소유한 것이 많지 않지만 서로를 돕는 이들의 모습은 따뜻한 인간애를 일깨우며 우리가 지켜야 할 삶의 가치가 무엇인지를 돌아보게 만든다.12)

 

주요작품

 

1) 선집
《견딤에 대하여》, 시선사, 2004.

 

2) 시집
《바다 속의 램프》, 고려원, 1980.
《온달의 꿈》, 정음사, 1986.
《처용의 노래》, 문학아카데미, 1992.
《용담 가는 길》, 동학사, 1997.
《적》, 시와시학사, 2000.
《밥 나이, 잠 나이》, 황금알, 2008.
《나는 지금 운전중》, 푸른사상, 2013.
《절개지》, 도훈, 2018.

 

3) 산문집, 수필집
《용담에서 고부까지》, 신서원, 1999.
《어머니께서 담배를 태우게 된 연유》, 태학사, 2016.

 

4) 연구서 및 평전
《고전적 상상력》, 민족문화사, 1983.
《용담유사연구》, 민족문화사, 1987.
《후천을 열며》, 동학사, 1996.
《동학사상과 한국문학》, 사곰, 1999.
《초기 동학의 역사》, 신서원, 2000.
《박인환 평전》, 모시는사람들, 2003.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모시는사람들, 2004.
《용담유사 연구》, 모시는사람들, 2006.
《동학 천도교의 어제와 오늘》, 한양대학교출판부, 2013.
《일하는 한울님》, 모시는사람들, 2014.

 

5) 주해서 및 번역서
《동경대전》, 동학사, 1996.
《용담유사》, 동학사, 1999.
송세림 편저, 윤석산 편역, 《어면순》, 문학세계사, 1999.
《도원기서》, 모시는사람들, 2012.
CHONDOGYO SCRIPTURE, translated by Yoon Suk-San and Kim Yong-Cho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7.13)

 

수상내역

 

196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수상작 〈편지〉)14)
197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당선 (수상작 〈바다 속의 램프〉)15)
2001년 한국시문학상 (수상작 《적》)16)
2009년 편운문학상 (수상작 《밥 나이, 잠 나이》)17)
2013년 한국 PEN 문학상18)

 

참고문헌

 

(1) 후주 (Notes)
1) 정한용, 〈시의 궁극을 향한 치열한 응전의 시-시집 ‘밥 나이, 잠 나이’로 편운문학상 본상 수상-윤석산 시인〉, 《문화저널21》, 2009.04.15. http://mhj21.com/12115 
2) 이건청, 〈신서정의 지평을 개척해 온 응전의 시세계〉, 《문화저널21》, 2009.07.06.
http://www.mhj21.com/15127
3) 문수정, 〈한국시인협회장에 윤석산 시인〉, 《국민일보》, 2018.04.04.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928584&code=13150000&cp=nv
4) 천도교는 1860년 최제우가 만든 종교이다. 본래는 서학, 즉 천주교의 유입에 대항하여 민족주의 신앙을 제창하며 동학이라고 이름 붙였으나 1905년 제3대 교주인 손병희에 의해 천도교로 개칭되었다.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천도교
5) 《용담유사》는 최제우가 동학의 교리를 대중화하기 위해 한글로 지은 가사 아홉 편을 모은 책이다.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용담유사
6) 《동경대전》은 최제우가 한문으로 쓴 동학 경전이다.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동경대전
7) 김종철, 〈“천도교를 누구나 알기 쉽게 전하고 싶습니다”〉, 《천지일보》, 2010.07.17.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49856
8) 온달은 고구려 시대에 활약한 장수이다. 어린 시절에는 바보로 유명했으나 고구려 공주와 결혼하면서 훌륭한 장수로 거듭났다. 영웅 설화의 일반적인 구조와 마찬가지로 온달의 일대기는 전투에 출전한 온달이 화살에 맞아 전사하는 결말로 끝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8837
9) 처용은 통일 신라 시대의 관리이다. 설화에 따르면 전염병을 퍼뜨리는 귀신이 인간의 모습으로 변하여 처용의 아내와 동침하였으나 처용이 그 장면을 목격하고도 노하지 않아 귀신을 감동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이후 사람들은 귀신을 물리치고 경사를 맞아들이기 위해 처용을 그린 부적을 문에 붙이곤 하였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5713
10) 정한용, 〈시의 궁극을 향한 치열한 응전의 시-시집 ‘밥 나이, 잠 나이’로 편운문학상 본상 수상-윤석산 시인〉, 《문화저널21》, 2009.04.15. http://mhj21.com/12115
11) 정한용, 〈시의 궁극을 향한 치열한 응전의 시-시집 ‘밥 나이, 잠 나이’로 편운문학상 본상 수상-윤석산 시인〉, 《문화저널21》, 2009.04.15. http://mhj21.com/12115
12) 윤석산, 《나는 지금 운전중》, 푸른사상, 2013, 출판사 서평.
https://book.naver.com/bookdb/publisher_review.nhn?bid=7135581
13) 한국문학번역원 디지털도서관 https://library.ltikorea.or.kr/node/9644
14) 〈문단에 새얼굴·새 작품|신춘〈중앙 문예〉당선작품 발표〉, 《중앙일보》, 1967.01.01. 
https://news.joins.com/article/1101088
15) 〈‘74경향 신춘문예 당선시 바다속의 램프〉, 《경향신문》, 1974.01.01.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10100329215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4-01-01&officeId=00032&pageNo=15&printNo=8697&publishType=00020
16) 〈문학상 수상한 원로 두 시인〉, 《경향신문》, 2001.11.23.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111231918281&code=100100
17) 〈편운문학상에 윤석산·김수복 시인〉, 《연합뉴스》, 2009.04.24.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2626961
18) 국제PEN한국본부 PEN 문학상 수상자 명단 
http://www.penkorea.or.kr/boards/view/historyaward/1043/page:1/ls:T

 

(2) 기타 참고 자료 (See Also)
유성호, 〈일상에서 발견하는 삶의 깊이-윤석산 시집 《밥 나이, 잠 나이》〉, 《본질과현상》 15, 2009.
유성호, 〈비워가는 생을 향한 존재론적 발견-윤석산 시집 《나는 지금 운전 중》〉, 《본질과현상》 32, 2013.

Original Works6 See More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詩と創造

    Yoon Seoksan et al / 윤석산 et al / -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詩と創造

    Yoon Seoksan et al / 윤석산 et al / -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詩と創造

    Yoon Seoksan et al / 윤석산 et al / -

Translated Books5 Se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