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rs ABC List

We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writers: biographical and bibliographic data, overseas literary events and international media coverage.

Writer

Yu Hongjun(유홍준)

There may be additional restrictions against the use of photographic works, which are protected by copyright. Please inquire before use.

Title
Yu Hongjun
Family Name
Yu
First Name
Hongjun
Preferred Name
-
Pen Name
Yoo Hongjun, 劉 洪埈, 兪弘濬
ISNI
0000000053463333
Birth
1949
Death
-
Occupation
Writer
Period
Modern
Representative Works
-
  • Descriptions
  • English(English)
  • Korean(한국어)

 

Introduction

 

Yu Hongjun (1962-) is a Korean poet. His poetry is particularly noted for the outstanding presentation of abstract concepts in concrete and sensory images. He has won the Young Poets Award and the Sowol Poetry Award from the Korean Poets Association.

 

Life

 

Yu was born in 1962 in Sancheong, South Gyeongsang Province.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he found a job sewing at a hanbok (Korean traditional garment), shop. After, Yu traveled to various regions and worked a variety of jobs such as a forest preservation worker, a greengrocer, a paper mill work, among others. In 1990, while working at a paper factory in Jinju, Yu entered at the last minute applied for the Factory Literary Award in order to buy his son a bicycle. Although he had not written poetry since high school, Yu followed his friends in their literary pursuit and won the highest prize at the Gaecheon Arts Festival in 1991 and got to meet poet Kim Eonhee. Learning poetry under Kim Eonhee, Yu won the 1998 New Poet Award from Bansi Literary Magazine for 4 poems, including Jipyeongseoneul milda (지평선을 밀다 Push the Horizon). In 2004, poet Na Huideok organized for the first collection of poems, Sanggae moin gududeul (상가에 모인 구두들 Shoes Gathered at the House of Mourning) (2004). In 2008, Yu worked as guardian of the worked as a nurse at the Hadong Hospital. Since 2011, Yu has been serving as Director of the Lee Byeng-ju Literature Gallery, as well as teaching poetry composition at university.

 

Works

 

Spontaneous Poetry

Yu advocates for his creative theory of the “direct”. “Direct” means using instincts or the body to get into contact with the object, instead of using the mind; with no annotations, footnotes, or commentary. “Direct” is, instead of using the mind to understand, the poetic object is approached directly. “Indirect is boredom and a yawn, Direct is Interesting(fun), Direct is fun”; Sanggae moin gududeul, Naneun unneunda (나는 웃는다 I Laugh), and Jeonyeogui seulha (저녁의 슬하 Evening’s Parental Care) are three of Yu’s poems that follow this “Direct Theory”. The differences are that in the first collection, there is a strong will to breakthrough before any object is picked, in second collection the will got a little weaker, but the object is still approached directly, while the third collection deals with life’s spontaneity.

 

Death

Death is a major motive and driving force in Yu’s poetry. Images of death are repeated in the first collection Sanggae moin gududeul. The title compares describes the disorder of shoes placed in the foyer of a house in mourning, thus expressing metaphorically that death as a familiar daily routine such as taking one’s shoes off, to the people’s disheveled minds. Yu’s early poems about death tend to interpret life as being cold and inevitably ceasing. 

 

In the serial poems, Bukcheon (북천), Yu further expands on his thoughts on the reasons of death. Initially the repeated appearances of Bukcheon, The Northern Country—meaning ‘the world of afterlife’, but also a cemetery, a shaman ruin, a house of death and a universe consisting of time and space symbolizes the cycle of extinction and rebirth.

 

Carnivorism

Slaughter houses and butcher shops often appear in Yu’s poems, as human bodies are often treated like meat. Ecological vegetation does not appear. Yu’s second poetry collection Naneun unneunda portrays carnivorous illusion of an individual waking up with his head being picked and eaten by someone and his pupils being pecked out of his eyes, and comically describes disturbance surrounding the bodily harm to one’s identity and subsequent healing. The predatory imagery of ego that appear as amputation, cannibalism, castration, decomposition, damage, and dissolution symbolizes the carnivorous nature of those in modern consumerism and capitalism feeding upon one another. It can be interpreted that for Yu, death through cannibalism is not tragic, but rather is an escape from the tethers of materialism.

 

Family

In his first poetry collection, Yu also deals with his own painful childhood story. Yu presents a family broken by poverty and violence inflicted by the father. The second collection presents a reconstructing family in the face of destruction. In Banjjogari norae (반쪼가리 노래 Song of Beings being Broken in Half), after repeated fragmentation and reconstitution, family members are able to continue their lives. Repeatedly reconstructing their daily lives can be perceived that this connects the fragmented family members

 

Works

 

1) Poetry Collections                                    

《상가 (喪家)에 모인 구두들》, 실천문학사,  2004 / Sanggae moin gududeul (Shoes Gathered at the House of Mourning), Silcheonmunhaksa, 2004

《나는 웃는다》, 창비, 2006. / Naneun unneunda (I Laugh), Changbi, 2006

《저녁의 슬하》, 창비, 2011. / Jeonyeogui seulha (Evening’s Parental Care), Changbi, 2011

 

2) Collaborations

〈다시 그 공장엘 가보아야겠다〉.권혁웅 외, 《시인으로 산다는 것 우리 시대 시인 20인이 말 하는 나의 삶 나의 시》, 문학사상, 2014. / Dasi geu gongjangel gaboayagetda (I have to go back to the Factory), Gwon Hyeokung, et. al., / Living as a Poet – 20 Poets of my Generation talk about My Life, My Poems, Munsa Literature & Thought, 2014

 

Translated Works

 

Japanese

崔勝鎬劉洪埈金クスル외, 詩と創造 Vol.71, 青樹社, 201014)

鄭浩承 孟文在馬, 敬徳劉외詩と創造 Vol.55, 靑樹社, 2006, 韓成禮 15)

劉弘埈, 奠賛一 ,金海原 詩と 創造Vol.44, 淸水社, 2003,  韓成禮 16)

 

Awards

 

1998 Bansi New Poets Award

2005 Korean Poets’ Association Young Poets Award

2007 1st Sijang Literature Award (I Laugh)

2007 2nd  I Hyeonggi Literature Award (I Laugh)

2008 Culture an Arts Council Creation Fund

2011 Yosan Creation Fund

2013 28th Sowol Literature Award

 

References

 

1) I, Sanggyu, “Talking about my Work(37) Poet Yu Hongjun”, Gyeongnam News, June 4, 2012.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031536

2) Chronology of Charity, “Bukcheon – 2013 28th Sowol Poetry Award-winning Work” , Munsa Literature & Thought, 2013, 235-236.

3) Gim, Sui, “Direct World”, Hankyoreh. January 6, 2017.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777738.html

4) “Poet’s Words”, Parent’s Evening Care, Changbi, 120.

5) Gwon, Yeongmin, “Talk: Meeting with Poet Yu Hongjun”, “Bukcheon – 2013 28th Sowol Poetry Award-winning Work” Munsa Literature & Thought, 2013, 202-203.

6) Gwon, Yeongmin, Ibid., 198.

7)Yu, Seongho, “Commentary: Forms of Life Viewed as Traces of Death”, Shoes Gathered at the House of Mourning, Silcheonmunhaksa, 2004, 111-112.

8) Yu, Seongho, Ibid., 96.

9) Moon, Taejun, “The Reality of Existence through the Lonely Spirit, an Ingenious Masterpiece” “Bukcheon – 2013 28th Sowol Poetry Award-winning Work”, Munsa Literature & Thought, 2013, 148-149.

10) Yu Seongho, Ibid., 115-116.

11) Nam, Jinu, “Criticism: Yu Hongjun’s World of Poetry” “Bukcheon – 2013 28th Sowol Poetry Award-winning Work”, Munsa Literature & Thought, 2013, 220-229.

12) Yu, Seongho, Ibid., 96-99.

13) Choe, Hyeonsik, “Commentary: Cry and Laugh on Days that Flowers Bloom”, I Laugh, 111-114.

14)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Electronic Library https://library.ltikorea.or.kr/node/30834

15)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Electronic Library

https://library.ltikorea.or.kr/node/23047

16)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Electronic Library

https://library.ltikorea.or.kr/node/23031

3) See Also

O, Jinyeong, “Gaining attention for his collection I Laugh, Poet Yu Hongjun’s Confession of Turbulent Life”, Women’s DongA, May 18, 2007.

http://woman.donga.com/3/all/12/137392/1

Jeong, Cheolhun, “Yu Hongjun’s Third Poetry Collection Parent’s Evening Care… coalescing the sorrow of life that he had experienced himself”, Kukmin Ilbo, May 6, 2011.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4930655

Jang, Seokju, “Looking for the poetry and poet, Jang Seokju” ‘Not like Walking Across the Playground’ – Isn’t Life like a Shadow Cast onto a Playground!’, topclass, February 2012.

http://topclass.chosun.com/board/view.asp?tnu=201202100015&catecode=J

 

 

 

도입부

 

유홍준(1962~ )는 한국의 시인이다. 그의 시는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형상으로 보여주는 데 특히 탁월한 성취를 보였다. 한국시인협회 젊은 시인상, 소월시문학상을 받았다. 

 

생애

 

1962년 경남 산청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복사에 취직해 바느질 일을 하였다. 그 후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산판 일, 청과상, 제지공장 근로자1) 등의 다양한 직업을 거쳤다. 

 

1990년 진주 제지공장에 다닐 때 아들의 자전거를 사주려고 공단문학상에 급히 응모하여 대상을 받았다. 고등학교 이후 전혀 시를 쓰지 않았으나 시 쓰는 친구들을 따라 1991년에 개천예술제 백일장에서 장원을 한 뒤에 시인 김언희를 만난다. 김언희의 지도로 시를 배우면서 1998년 시 전문 문예지 《시와 반시》에 〈지평선을 밀다〉 외 4편의 시로 신인상을 수상했다. 2004년 나희덕 시인 주선으로 첫 시집 《상가에 모인 구두들》(2004)을 출간했다. 2008년에는 하동 폐쇄 병동의 보호사로 일했다. 2011년부터 이병주 문학관에서 사무국장을 지내며 대학에서 시 창작을 가르쳤다.2)

 

작품세계

 

직방의 시

 

유홍준은 자신의 창작론으로 “직방”을 내세운다. 직방은 주석, 각주, 주해 없이, 머리 대신 본능과 몸으로 대상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3) 직방은 시적 대상을 머리로 이해하기보다 대상에게 직접적으로 다가가는 것이다. “간접은 지루하고 하품이 나/직접이 재밌고/직접이 즐거워”4) 《상가(喪家)에 모인 구두들》(2004), 《나는, 웃는다》(2006), 《저녁의 슬하》(2011) 등 유홍준의 세 시집은 모두 ‘직방의 시론’에 따라 씌어졌다. 차이점이 있다면 첫 시집은 대상이 무엇인가를 따지기 전에 돌파하려는 의지가 강하고, 두 번째 시집에서는 그 의지가 조금 약하지만 대상에 “직방”으로 다가가려 한다면, 세 번째 시집은 삶의 직접성5)을 다룬다.

 

죽음

 

죽음은 윤홍준 시의 주요 모티브이자 궁극적인 추동력이다.6) 첫 시집 《喪家에 모인 구두들》(2004)부터 죽음의 이미지들이 반복된다. 표제작인 〈喪家에 모인 구두들〉은 상가에 정리되지 않은 구두들을 묘사함으로써 죽음조차 친숙한 일상이 되어버린 사람들의 흐트러진 마음을 비유한다.7) 유홍준의 죽음에 관한 초기 시들은 생을 냉혹하고 소멸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보인다.8)

 

〈북천〉 연작에서 시인은 죽음에 대한 사유를 좀 더 진전시켰다. 초기시 반복해 등장하는 북천은 구체적인 삶의 시공간인 실제 행정 구역일 뿐만 아니라 공동묘지, 무당이 살다 폐허가 된 집으로 채워진 죽음의 거처이며, 소멸과 신생의 순환을 상징하는 시공간이기디도 하다.9)

 

육식

유홍준에 시에는 도살장과 정육점이 자주 등장하고 인간의 육체도 고기처럼 취급된다. 생태 지향의 식물성은 등장하지 않는다. 두 번째 시집의 표제작 〈나는, 웃는다〉는 잠을 자고 일어났더니 누가 머리를 파먹고 눈동자를 쪼아 먹었다는 카니발리즘적 환상에 기대어 자아의 육체 훼손과 그것의 치유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소동을 우스꽝스럽게 묘사하고 있다.10) 신체 절단, 식인, 거세, 부패, 훼손, 해체의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자아의 약탈적 모습은 서로를 잡아 먹고 잡아먹히는 현대 소비 자본주의의 사회의 육식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식인 과정으로 인한 죽음은 비극이라기보다는 물질성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편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11)

 

가족
첫 시집에서 시인은 유년기의 고통스런 성장담을 주제로 다루었다. 가난과 아버지의 폭력으로 인한 상처12)로 가족은 망가진 상태로 제시된다. 두 번째 시집부터는 파괴 속에서도 재구성되는 가족을 보여준다. 〈반쪼가리 노래〉의 가족 구성원들은 파편과 재구성을 반복하면서 삶을 이어간다. 가족을 반쪼가리로 만드는 것도 생활이지만, 파편화된 가족을 매끄럽게 이어주는 것도 생활이라는 인식이 보인다.13)

 

주요작품 

 

1) 시집
《상가(喪家)에 모인 구두들》, 실천문학사, 2004
《나는, 웃는다》, 창비, 2006.
《저녁의 슬하》 창비, 2011.

 

2) 공동 단행본
〈다시 그 공장엘 가보아야겠다〉, 권혁웅 외, 《시인으로 산다는 것-우리 시대 시인 20인이 말하는 나의 삶 나의 시》, 문학사상, 2014.

 

번역된 작품

 

일본어 
崔勝鎬劉洪埈金クスル 외, 詩と創造 Vol.71, 青樹社, 2010.14)
鄭浩承,孟文在馬,敬徳劉 외, 詩と創造 Vol.55, 靑樹社, 2006, 韓成禮.15)
劉弘埈, 奠賛一, 金海原 詩と創造 Vol.44, 淸水社, 2003, 韓成禮.16)

 

수상내역

 

1998년 시와 반시 신인상
2005년 한국시인협회 젊은시인상
2007년 제1회 시작문학상(《나는, 웃는다》)
2007년 제2회 이형기문학상(《나는, 웃는다》)
2008년 문화예술위원회 창작기금
2011년 요산창작기금
2013년 제28회 소월시문학상

 

참고문헌

 

후주

1) 이상규, 〈나의 작품을 말한다(37) 시인 유홍준〉, 《경남신문》, 2012.6.4.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031536
2) 〈자선연보〉, 《북천 - 2013년 제28회 소월시문학상 작품집》, 문학사상사, 2013, 235-236쪽.
3) 김수이, 〈직방의 세계〉, 《한겨례》, 2017.1.6.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777738.html
4) 〈시인의 말〉, 《저녁의 슬하》, 창비, 120쪽.
5) 권영민, 〈대담 - 유홍준 시인과의 만남〉 《북천 - 2013년 제28회 소월시문학상 작품집》, 문학사상사, 2013, 202-203쪽.
6) 권영민, 위의 책, 198쪽.
7) 유성호, 〈해설: ‘죽음‘의 흔적으로 바라본 생의 형식들〉, 《상가에 모인 구두들》, 실천문학사, 2004, 111-112쪽.
8) 유성호, 위의 책, 96쪽. 
9) 문태준, <존재의 실상을 고혼으로 묘파한 수작>, 《북천 - 2013년 제28회 소월시문학상 작품집》, 문학사상사, 2013, 148-149쪽.
10) 유성호, 위의 책, 115-116쪽.
11) 남진우 〈평론 - 유홍준의 시 세계〉, 《북천 - 2013년 제28회 소월시문학상 작품집》, 문학사상사, 2013, 220-229쪽.
12) 유성호, 위의 책, 96-99쪽.
13) 최현식, 〈해설 꽃피는 시절을 울고 웃다〉, 《나는, 웃는다》, 111-114쪽.
14) 《한국문학번역원》 전자도서관 번역서지정보 https://library.ltikorea.or.kr/node/30834
15) 《한국문학번역원》 전자도서관 번역서지정보 https://library.ltikorea.or.kr/node/23047
16) 《한국문학번역원》 전자도서관 번역서지정보 https://library.ltikorea.or.kr/node/23031


기타 참고 자료
오진영, 〈시집 ‘나는, 웃는다’로 주목받는 시인 유홍준 파란만장 삶 고백〉, 《여성동아》,  2007.05.18.http://woman.donga.com/3/all/12/137392/1
정철훈, 〈유홍준 세 번째 시집 ‘저녁의 슬하’… 직접 보고 듣고 느낀 삶의 비애 녹여내〉, 《국민일보》, 2011.5.6.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4930655
장석주, 〈장석주의 詩와 詩人을 찾아서 (55) 유홍준 〈운동장을 가로질러간다는 것은〉- 삶이란 운동장에 드리운 그림자 같지 않은가!〉, 《topclass》, 2012년 2월호.
http://topclass.chosun.com/board/view.asp?tnu=201202100015&catecode=J

Original Works5 See More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

    Naui munhwayusandapsagi 1

    Yu Hongjun / 유홍준 / 1993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詩と創造

    Yu Hongjun et al / 유홍준 et al / -
  • Korean(한국어) Printed/Published Work
    詩と創造

    Choi Seung-Ho et al / 최승호 et al / -

Translated Books5 See More